[격전지]'서울 편입 이슈' 경기 고양을...한준호 vs 장석환

강민경 2024. 4. 6. 05:1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4월 총선 관심 지역을 소개해 드리는 '민심 2024, 격전지를 가다', 오늘은 현역 민주당 한준호 의원과 도전자 국민의힘 장석환 후보가 맞붙은 경기 고양을로 가보겠습니다.

전통적으로는 민주당 강세 지역이란 평이 많지만, 서울 편입 이슈가 얽히며 판세를 가늠하기 어려운 지역이란 해석도 나옵니다.

강민경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기자]

제가 나와 있는 이곳은 서울과 가장 맞닿아 있는 곳, 경기도 고양을입니다.

전통적으로는 야권 강세 지역이란 평가가 많습니다.

현재는 민주당 초선 의원이 버티고 있는데요.

이곳에 국민의힘의 도시 개발 전문가가 도전장을 내밀었습니다.

공식 선거운동을 시작한 현장에 가봤습니다.

현역은 더불어민주당 초선, 언론인 출신 한준호 의원입니다.

청와대 행정관을 거쳐 국회에 입성한 뒤 원내대변인을 지냈습니다.

지난 대선 땐 이재명 대표의 수행실장을 맡으며 인지도를 쌓았고, 지금은 주민 접점을 넓히고 있습니다.

[한준호 / 더불어민주당 경기 고양을 후보 : 다들 물가 올랐다고 난리네. (너무 비싸요. 파는 사람도 힘들어요, 비싸면.)그러니까요, 얼마나 올랐어요, 가격이?]

도전장을 내민 국민의당 후보는 장석환 전 대진대 교수입니다.

당내 경선에서 전 고양시 부시장을 꺾고 본선에 진출했습니다.

수자원 분야에 특화된 도시공학 전문가로 꼽히는데, 고양시 개발을 약속하며 출사표를 던졌습니다.

[장석환 / 국민의힘 경기 고양을 후보 : (잘 됐으면 좋겠어요.) 나중에 여기 종상향 하는 것, 개발하는 것, 제가 열심히 한 번 하겠습니다.]

고양을은 고양의 지역구 4곳 가운데에서도 진보 세가 강하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그러나 서울 편입 이슈가 얽힌 만큼 판세를 쉽게 가늠하기 어렵다는 해석도 있습니다.

이 지역의 최대 변수는 여당이 던진 '서울 편입' 이슈입니다.

양쪽의 공약도 이 지점에서 첨예하게 갈립니다.

국민의힘 소속 장석환 후보는 덕양구의 서울 편입과 행신동을 중심으로 한 도시 재개발을 약속합니다.

그린벨트가 풀린 지 십수 년째인데 개발 속도는 느리다며 서울의 위성도시에서 벗어나겠다고 공약합니다.

[장석환 / 국민의힘 경기 고양을 후보 : 신도시와 서울시 사이 낙후되고 소외된, 침체된 이 덕양구야말로 (서울시 편입과) 재개발 재건축만이 유일한 희망이라고 많은 분이 생각하고 있고….]

민주당 한준호 후보는 도시 자체의 발전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경의선 지하화를 도시 개발의 주축으로 내걸고, 고질적 차량 정체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제안합니다.

[한준호 / 더불어민주당 경기 고양을 후보 : 고양시는 자족 기능을 갖춘 3기 신도시를 만들어야 하는데 만일 서울로 편입이 된다면 서울 인구의 10분의 1에 달하는 고양구가 될 텐데….]

지역 대진표 확정이 상대적으로 늦었던 만큼 유권자들은 공약을 비교하고 꼼꼼하게 투표하겠단 입장입니다.

생활권의 숙원사업을 해결하는 쪽에 표를 주겠다는 부동층이 적잖습니다.

[한동순 / 고양시 덕양구 삼송동 : 지역적으로 좀 발전을 시킬 수 있는 후보가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서울시 편입되면 좋죠, 저희는. 여러 가지 혜택이 많잖아요, 서울시에는.]

[송정화 / 고양시 덕양구 행신동 : 정말 힘들잖아요, 자영업자들. 그래서 특별히 좀, 어려운 부분 좀…이번 기회에는 정말 완전하게 바꿨으면 좋겠어요. 그렇게 어영부영 바꾸지 말고….]

서울 편입 추진이냐 자족 기능 강화냐, 두 후보가 남은 기간 부동층의 마음을 얼마나 사로잡을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립니다.

YTN 강민경입니다.

촬영기자: 이현오

YTN 강민경 (kmk0210@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Copyright ©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