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리산을 향하는 왕의 행차길 ‘세조길’ [두시기행문]

2024. 4. 5. 08: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충북 보은과 경북 상주 등에 걸쳐 있는 속리산은 1970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우리나라 명산이다.

'속세로부터 떠나온 산'이라는 의미를 담은 속리산은 오래 전부터 손꼽히는 명산대천 중 하나로 여겨져 신라 때도 신라의 오악과 함께 국가적 제사를 올리는 장소였다.

인근으로 태조 왕건이 말을 타고 속리산에 오르기 위해 박석을 깔아 길을 만들었다고 전해지는 말티재도 명소로 꼽힌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문장대는 속리산의 절경과 하늘 높이 치솟아 있는 바위가 마치 흰구름과 맞닿는 듯하여 운장대 라고도 한다. 문장대를 세번 오르면 극락에 갈 수 있다는 속설도 전해져 내려온다.

충북 보은과 경북 상주 등에 걸쳐 있는 속리산은 1970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우리나라 명산이다. ‘속세로부터 떠나온 산’이라는 의미를 담은 속리산은 오래 전부터 손꼽히는 명산대천 중 하나로 여겨져 신라 때도 신라의 오악과 함께 국가적 제사를 올리는 장소였다.

신라시대 대문장가 고운 최치원 선생은 이곳에 들어와 ‘도불원인인원도 산비이속속이산(道不遠人人遠道 山非離俗俗離山·바르고 참된 도는 사람을 멀리하지 않는데 사람은 그 도를 멀리하려 들고, 산은 속과 떨어지지 않는데 속이 산과 떨어졌다)라는 시를 읊은 데서 속리산이라는 이름이 유래됐다.

산세가 수려하고 기암 절경이 뛰어나 한국 8경 중 하나로 예부터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곳이다. 봄에는 산 벚꽃이 여름에는 푸른 소나무, 가을에는 만산홍엽(滿散紅葉)의 단풍이 있고 겨울에는 동양화 같은 경관이 아름답다.

속리산 법주사는 신라시대 지어진 유서 깊은 사찰로 높이 33m, 100여t에 이르는 거대한 청동미륵대불을 볼 수 있다.

속리산은 법주사(사적 명승지4호), 문장대, 정2품 소나무(천연기념물 103호) 등으로 유명하다.

법주사는 팔상전(국보 제55호), 쌍사자석등(국보 제5호) 등의 문화재가 있고 국내 최대의 금동미륵대불이 위치해 있다. 문화재 관람료 명목으로 등산객들에게 통행료를 징수하였으나 지난해 5월 폐지됐다.

문장대는 해발 1033m로 속리산의 절경과 하늘 높이 치솟아 있는 바위가 마치 흰구름과 맞닿는 듯하여 운장대 라고도 한다. 문장대를 세번 오르면 극락에 갈 수 있다는 속설도 전해져 내려온다.

정2품 소나무는 세조대왕(1464년)이 법주사로 행차하던 날 대왕이 탄 연(輦·왕이 타는 가마)이 소나무에 걸릴 것을 염려해 ‘연 걸린다’ 라고 소리치자 소나무가지가 번쩍 들려 무사히 통과했다는 연유로 이 나무에 정2품의 벼슬을 내렸다. 수명 500~600년으로 천연기념물이며 단아한 모습으로 속리산의 입구를 지키고 있다.

속리산 세조길은 법주사에서 복천암까지 약 3.2㎞의 산책로로 조선 세조가 직접 왕래하던 길이다.

법주사로부터 세심정까지의 약 2.4㎞ 구간의 세조길은 1450년 조선의 7대 왕이었던 세조가 직접 속리산을 왕래하던 길이다. 2016년 9월 처음 개통 이후 현재까지도 사랑받는 산책길로 각광받고 있다.

세계 유네스코에 등재 되어있으며 각종 문화재가 있고 옛 사찰의 정취를 느낄 수 있는 법주사를 시작으로 세조가 바위 그늘에 앉아 잠시 생각에 잠겼던 눈썹바위, 직접 목욕한 목욕소, 성스러운 불당 바로 앞이니 모두 말에 내려 걸어가도록 했다는 하마비 그리고 ‘세속을 떠난 산에서 마음을 씻는 정자’인 세심정을 만날 수 있다.

사계절 풍광이 아름다운 속리산에서는 자연 그대로의 고요함을 느낄 수 있다.

탐방로는 법주사부터 시작하는 왕복 약 6.4㎞로 복천암까지 향한다. 남녀노소 쉽게 걸을 수 있는 산책길로 사회적 약자를 배려한 무장애탐방로 구간도 마련되어 있다. 사계절 뚜렷한 수변 경관과 피톤치드 풍부한 자연환경을 느끼며 건강해지는 느낌과 힐링을 선사한다. 아름다운 경치와 산세를 느끼며 자연 그대로의 모습과 고요하고 편안한 느낌의 저수지의 풍경을 담을 수 있다.

속리산 법주사 초입 산채비빔밥 거리에는 다양한 먹거리와 숙소들도 많이 있어 사시사철 많은 사람들의 방문이 끊이질 않고 있다. 특히 식당마다 특색 있는 산채비빔밥과 버섯전골이 매력적이다. 인근으로 태조 왕건이 말을 타고 속리산에 오르기 위해 박석을 깔아 길을 만들었다고 전해지는 말티재도 명소로 꼽힌다.

김희중 칼럼니스트 iong5636@naver.com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