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학교 부지에 특목고’ 윤희숙 공약에…장애인 학부모들 ‘눈물 시위’

배시은 기자 2024. 4. 5. 06:0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 성수공고 부지 유치 안 돼”…국민의힘 당사 앞 항의
“우리 아이들 학교 가게 해주세요” 무릎을 꿇은 장애인 학부모들이 4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 앞에서 특수학교가 들어서기로 한 성동구 성수공고 부지에 윤희숙 국민의힘 후보가 특목고를 신설하겠다고 한 총선 공약 폐지를 촉구하고 있다. 정지윤 선임기자 color@kyunghyang.com

권숙 전국장애인부모연대 성동지회 부회장이 4일 서울 영등포구 국민의힘 당사 앞에서 무릎을 꿇고 울먹이며 말했다. “몇년 만에 또 무릎을 꿇게 될 줄 몰랐습니다. 제발 우리 아이들이 학교에 가게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곁에 있던 장애학생 부모들도 잇따라 바닥에 주저앉았다. 한 어머니는 같은 티셔츠를 맞춰 입고 온 아들의 손을 잡고 함께 엎드려 울었다.

전국장애인부모연대 서울지부는 이날 “특수학교 부지에 특목고를 유치하겠다”는 윤희숙 국민의힘 후보(서울 중·성동갑)의 공약을 비판하며 사퇴를 촉구했다.

앞서 서울교육청은 지난해 11월 성수공고 부지에 지체 장애학생을 위한 특수학교(가칭 성진학교)를 신설하겠다는 행정예고를 했다. 반면 윤 후보는 예비후보 시절부터 “성동 교육의 질을 확 높이겠다”며 성수공고 부지에 특목고를 유치하겠다는 공약을 내세웠다.

성동구에서 온 장애학생의 부모들은 “장애학생이 사는 동네에 특수학교가 있다는 것은 기본적인 학습권 보장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자폐가 있는 초등학교 1학년 자녀를 둔 이효진씨(39)는 “특수학교에 아이를 보내고 싶었지만 학교가 멀고 통학이 어려워 일반 학교의 통합학급에 보내고 있다”며 “아이가 집 앞에 있는 학교에 갈 수 있으면 얼마나 좋겠냐”고 했다.

장애학생 부모들은 “8년 전 서진학교 설립 때가 생각난다”고 했다. 2016년 총선 때 강서을에 출마한 김성태 당시 새누리당 의원은 특수학교인 서진학교가 들어서기로 한 부지에 한방병원을 설립하겠다는 공약을 내세워 장애학생 부모들과 갈등을 빚었다. 당시 장애학생 부모들이 주민토론회에서 무릎을 꿇고 눈물로 호소하는 장면이 보도되면서 파장이 일었다. 조지연 한국중증중복뇌병변장애인부모회 부대표는 “특수학교 대상자인 장애학생 중 33%만 특수학교에 다니고 있는 상황”이라며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어려운 지체 장애학생들은 통학 길이 고통 그 자체”라고 말했다. 이어 “성동구의 장애학생 부모들은 성진학교를 간절하게 기다리고 있었다”며 윤 후보의 공약을 비판했다.

윤 후보 캠프 사무장을 맡은 황철규 서울시의원은 “특수학교 자체를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이 학교를 다른 부지에 건설하면 더 좋을 것 같다는 취지에서 나온 공약”이라며 “다른 곳에 특수학교를 지을 수 있도록 학부모들과 소통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배시은 기자 sieunb@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