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연이 1년처럼…어르신 시인들의 농익은 회한과 익살 [책&생각]

임인택 기자 2024. 4. 5. 05:0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잘 있냐 하기에/ 그렇다고 했다/ 얼굴 한번 보자길래/ 그러자고 했다/ 가을 산 깊어지기 전에/ 함께 보자고 했다" 일흔다섯 윤상철(부산)씨의 시 '안부'다.

"잘 노는 친구 잘 베푸는 친구 다 좋지만/ 이제는 살아 있어 주는 사람이 최고구나" 노래('절친', 이상훈, 77·경기 고양)했으니, 가령 시인 황동규(86)의 "기다렸는가? 첫눈 내리는 저녁이다.// 아직 한 대포 아는 친구에게 전화를 건다"('첫눈 내리는 저녁')와도 호응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제1회 ‘어르신의 재치와 유머’ 짧은 시 공모전에서 우수상을 받은 김남희(74·경기 고양)씨의 시 ‘봄맞이’에 김우현 작가가 그린 삽화. “이제는 여자도 아니라 말하면서도/ 봄이 되면 빛고운 새 립스틱 하나 사 들고/ 거울 앞에서 가슴 설레네” 문학세계사 제공

살아 있다는 것이 봄날
성백광 외 지음, 김우현 그림 l 문학세계사 l 1만6800원

“잘 있냐 하기에/ 그렇다고 했다/ 얼굴 한번 보자길래/ 그러자고 했다/ 가을 산 깊어지기 전에/ 함께 보자고 했다” 일흔다섯 윤상철(부산)씨의 시 ‘안부’다.

“살며시/ 입 다문 사진보다/ 활짝 웃는/ 영정사진 더 슬프다” 일흔 허만덕(경기 안양)씨가 썼다. 제목 ‘사진’.

비장할 필요 없다. “임종하시는 어머니 손 잡고, ‘엄마 곧 만나요’ 하고선/ 하루에 꼭 챙기는 한 줌의 영양제” 제목 ‘영양제’(김명희, 75·대구)다.

당초 ‘짧은 시’ 공모전이긴 해도, 이들은 에두르지 않는다. 은유도 어지간히 없다. 생략이 많아 자연 여운이 된다. 한국시인협회와 대한노인회가 주최한 제1회 ‘어르신의 재치와 유머’ 짧은 시 공모전에 응모된 시 100편을 엄선해 이달 펴낸 ‘시집’의 제목은 ‘살아 있다는 것이 봄날’이다. 최우수상을 받은 시 ‘봄날’에서 따왔다.

“죽음의 길은 멀고도 가깝다/ 어머니보다 오래 살아야 하는 나를 돌아본다/ 아! 살아 있다는 것이 봄날” (김행선, 70·서울 영등포)

이번 공모전에서 최우수상을 받은 김행선(70·서울 영등포)씨의 시 ‘봄날’과 나란한 삽화. 김우현 삽화가는 AI를 초기 활용해 그림을 완성했다. 문학세계사 제공
박주용(62·경기 고양)씨의 시 ‘내 옷은 사계절용 하나’에 김우현 작가가 그린 삽화. “남은 시간은 얼마 안 되는데/ 하루하루는 너무 길다/ 먹는 밥도, 잠자리도, 보는 사람도/ 매일 매일 변함이 없다/ 늘 새로운 꿈을 꾸지만/ 자다 일어나도 세상은 늘 같다/ 책장에 꽂혀 있는 책들은/ 제목조차 보이지 않고/ 옷장 속에 옷들은 색색이지만/ 내가 입은 옷은 사계절 환자복 하나” 문학세계사 제공

시집엔 한 연을 넘는 시도 그닥 없다. ‘1연’이 ‘1년’인 양 바로 지금의 희락, 절망, 욕망, 회한과 익살 따위로 시는 농익는다.

“길을 가다 문득 돌아보니/ 내가 걸어온 발자국이 보이지 않네/ 다시 돌아 앞으로 가려 하나/ 길이 전혀 보이지 않네/ 멀리서 나를 바라보니/ 내가 바로 미세먼지네” 김중대(78·경기 남양주)씨의 ‘미세먼지’처럼, 일상이 곧 시적 반전이다. 휴대폰은 세탁기에서 돌고, 한참 찾아 헤매던 안경이 손에 쥐어져 있다. 생의 욕구도 이 균열에서 나온다.

“돼지 꿈꾸었다는 마나님 앞세우고/ 로또복권 사러 가는 길에서/ 1등 당첨되면 십일조 헌금하자고 합의했는데/ 그 십일조가 세전 10%냐, 세후 10%냐/ 옥신각신하다가/ 복권은 못 사고 막걸리만 한 통 사 가지고 돌아왔다”(‘로또’, 양종술, 77·경기 하남)

“아내의 닳은 손등을/ 오긋이 쥐고 걸었다/ 옛날엔 캠퍼스 커플/ 지금은 복지관 커플” 대상을 받은 성백광(63·대구)씨의 ‘동행’이다.

올초 출간된 일본 노년들의 센류(짧은 정형시) 모음집(‘사랑인 줄 알았는데 부정맥’)이 눈길을 끌었다. 2001년부터 매년 공모전을 해오고 있다.

국내 처음으로 지난달 중순까지 한달 진행된 이번 공모전엔 최고령 98살 응모자를 포함해 접수된 시만 5800편이 넘었다고 한다. 예심서 100편, 이중 12편을 김종해·나태주·유자효 시인이 입상시켰다. 나태주 시인은 ‘작품해설’에서 “(예심작에) 깜짝 놀랄 만한 이름들이 응모작 속에 들어 있었다”며 “묘하게도 기성 시인들의 작품만 입상작에서 모조리 빠져 있었다”고 썼다.

“잘 노는 친구 잘 베푸는 친구 다 좋지만/ 이제는 살아 있어 주는 사람이 최고구나” 노래(‘절친’, 이상훈, 77·경기 고양)했으니, 가령 시인 황동규(86)의 “기다렸는가? 첫눈 내리는 저녁이다./…/ 아직 한 대포 아는 친구에게 전화를 건다”(‘첫눈 내리는 저녁’)와도 호응한다. 여든둘에 출간한 시집 ‘오늘 하루만이라도’에 있다.

김종해 시인은 “삶의 가장 진실한 순간들”의 “포착”이라 말한다. ‘어르신’에 씌운 고정관념 밖 진실들. “손주들이 오면 고맙다/ 손주들이 가면 더 고맙다” 김왕근(64·서울 송파)씨의 ‘손주들’이고, “이 당 저 당 다 있어도/ 경로당이 최고입니다” 일흔다섯 신동고(서울 동대문)씨의 ‘최고의 당’이다.

임인택 기자 imit@hani.co.kr

Copyright © 한겨레.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