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개 관절 가진 로봇이 자율 주행까지...올해의 로봇 5대 트렌드는

채제우 기자 2024. 4. 4. 17:5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WEEKLY BIZ] ‘똑똑·성실한’ AI로봇 확산, ‘사람의 조수’ 코봇 등장

WEEKLY BIZ 뉴스레터 구독하기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146096

일러스트=김영석

한 세기 전인 1921년, 이탈리아 영화 ‘머캐니컬 맨(Mechanical Man)’에 등장한 로봇은 고철 덩어리에 가까웠다. 걸음은 뒤뚱였고 주먹을 뻗으면 ‘삐거덕’ 소리가 났다. 그러나 이 상상 속의 ‘고철 로봇’은 진화를 거듭해 인간의 삶 속에 깊숙이 들어오고 있다. 인공지능(AI)이 ‘로봇 혁명’을 가속화하고 있고, 점점 사람을 닮아가는 휴머노이드 로봇이 인간 일손을 돕는 시대다.

WEEKLY BIZ는 마리나 빌 국제로봇연맹(International Federation of Robotics·IFR) 회장을 인터뷰해 올해의 로봇 산업 5대 트렌드를 진단했다. IFR은 1987년부터 로봇 산업 동향, 국가별 로봇 밀도 등 각종 분석과 통계를 제공하고 있는 국제 단체다. 빌 회장은 “(미래에도) 로봇은 인간의 업무(task)를 대체할 수는 있지만, 인간의 일(job)을 대신할 수는 없을 것”이라며 “로봇은 오히려 사람들이 부가가치 높은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궂은일, 위험한 일을 대신해주며 전반적인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것”이라고 했다.

마리나 빌 국제로봇연맹(IRF) 회장/국제로봇연맹 제공

◇트렌드1: AI와 결합한 로봇

IFR은 올해 로봇 산업의 중요한 트렌드로 ‘AI와 로봇의 결합’을 첫손에 꼽았다. AI는 공장에서 부품을 조립하는 산업용 로봇에서부터 카페에서 커피를 내리는 서비스용 로봇까지 다양한 로봇을 한 차원 높은 수준으로 끌어올릴 것이란 예상이다. 빌 회장은 “AI 로봇은 학습을 통해 작업 방식, 가동 시간 등에 대해 최적화된 알고리즘을 스스로 구상해 업무 능률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AI를 탑재한 로봇은 인간의 명령을 보다 정확히 이해하는 것은 물론, 별다른 지시 없이도 ‘똑똑하고 성실한 일꾼’이 될 것이란 얘기다. AI 로봇 등장으로 로봇 판매량도 크게 오르는 추세다. IFR에 따르면, AI 로봇의 등장으로 2022년 전 세계 화물용 로봇 판매량(8만6000대)은 전년 대비 44%가량 올랐다.

◇트렌드2: 조수 로봇, 코봇(Cobot) 시대

코봇(cobot)이란 ‘협력(Collaborative)’이란 뜻의 영단어와 로봇(Robot)을 합친 단어로 ‘협업 로봇’이라고도 불린다. 통상 사람을 안내하거나 보조하는 로봇처럼 인간을 돕는 협력적인 로봇을 일컫는다. 산업용 로봇이 수백㎏의 육중한 물건을 빠르게 옮기는 등 사람이 할 수 없는 일을 하는 게 특징이라면, 코봇은 사람 근처에서 단순 반복 작업을 도와주는 일종의 ‘조수’ 역할을 한다. 각종 센서 기술 등으로 사람의 동작을 알아채고 주변 상황을 인식해 안전한 작업을 도울 수 있기 때문에 산업 현장에서 사람의 작업 부담을 덜어주는 역할로 주목받고 있다.빌 회장은 “최근 코봇의 행동을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출시돼 인력난이 심한 산업 현장에서 숙련공들의 일손을 돕는 일이 늘고 있다”고 했다. 글로벌 시장 조사기관 스태티스타에 따르면, 글로벌 코봇 시장 규모는 2022년 8억달러에서 2030년 20억달러로 2.5배 수준으로 커질 전망이다. 일터에서 사람과 로봇이 손발을 맞추며 일하는 풍경이 보다 흔해질 것이란 얘기다.

스페인의 한 식당에서 유니버셜로봇이 만든 코봇이 요리사들과 함께 음식 재료를 다듬고 있다./유니버셜로봇

◇트렌드3: 유연성에 이동성까지 갖춘 모마 로봇

고속·고정밀 작업에 쓰이는 ‘6축 로봇(6개의 관절을 가진 로봇)’과 이동이 가능한 ‘자율 모바일 로봇(AMR·Autonomous Mobile Robot)’이 결합한 ‘모마(MoMa·Mobile Manipulator) 로봇’도 최근 산업 현장에서 각광받는 추세다. 6축 로봇은 로봇 팔 형태로 여러 방향으로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한 게 장점인데, 여기에 자율 주행 기능까지 탑재된 게 모마 로봇의 특징이다. IFR은 “모마 로봇은 작업 공간을 오가며 다양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공정별로 서로 다른 기계를 사용하는 제조업에서 쓸모가 크다”고 설명했다. 예컨대 자동차 공장에선 부품 운반, 조립 등 갖가지 공정이 있는데, 이 과정에서 모마 로봇이 유기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도라봇의 모마 로봇/도라봇

◇트렌드4: ‘디지털 트윈’으로 연습

최근 로봇 산업에선 ‘디지털 트윈’을 활용해 필요한 로봇을 적재적소에 투입하는 것도 특징이다. 디지털 트윈이란 디지털 가상 공간에 실물과 동일한 물리법칙으로 동작하는 쌍둥이(twin) 모형을 만드는 기술이다. 여기에 실시간 운영 데이터를 입력해 각종 모의실험을 거쳐 실물의 미래를 예측하는 데 사용된다. 제조 업체들의 경우 공장을 자동화하기 전에 어떤 로봇을 어디에 몇 대 투입할지 모의실험이 가능해졌다는 뜻이다. 빌 회장은 “디지털 트윈으로 (각 기업들이) 시행착오와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됐다”며 “로봇 활용이 막연했던 기업들의 진입 장벽도 크게 낮춰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트렌드5: 사람과 닮아가는 휴머노이드 로봇

사람과 똑 닮은 휴머노이드 로봇의 진화도 빨라지고 있다. 최근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엑스(X·옛 트위터)에 자사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2가 사무실에서 사람처럼 팔을 흔들며 자연스럽게 걷는 모습을 공개했다. 이 2세대 휴머노이드 로봇은 1세대보다 약 30% 빠른 속도로 걷고 다섯 손가락을 움직여 세밀한 움직임이 가능하다고 한다. 휴머노이드 로봇에 대한 빅테크 기업들 투자도 늘고 있다. 최근 블룸버그통신은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와 엔비디아가 휴머노이드 로봇을 개발하는 미국 스타트업 ‘피겨AI’에 각각 1억달러와 5000만달러를 투자한다고 전했다. 시장 규모도 덩달아 커지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그랜드뷰리서치에 따르면,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규모는 지난해 13억1000만달러에서 2030년에는 50억4000만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연평균 21.1% 성장하는 셈이다.

24일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자신의 엑스에 공개한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 /엑스

WEEKLY BIZ 뉴스레터 구독하기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146096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