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산불 1년 앞둔 이재민들, 한전 상대 손해배상 소송 제기

박영서 2024. 4. 4. 16:1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4월 강릉에서 발생한 대형산불로 인해 보금자리를 잃은 이재민들이 한국전력공사를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했다.

4일 강릉산불 비상대책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3일 춘천지법 강릉지원에 한전을 상대로 '산불로 인한 손해를 배상하라'는 소장을 냈다.

한전의 과실 여부를 수사 중인 강릉시 산림특별사법경찰은 산불 발생 이후 현재까지 한전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총 네 차례에 걸쳐 참고인 조사를 진행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깃줄 단선이 산불 원인이므로 민·형사상 책임져야" 주장
'업무상 실화' 여부 수사 장기화…특사경, 관련 자료 검토 중
강릉산불 원인 조사 (강릉=연합뉴스) 지난해 4월 11일 산림청 관계자들과 경찰 등이 화재 원인을 조사하는 모습. [산림청 제공. 연합뉴스 자료사진]

(강릉=연합뉴스) 박영서 기자 = 지난해 4월 강릉에서 발생한 대형산불로 인해 보금자리를 잃은 이재민들이 한국전력공사를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했다.

4일 강릉산불 비상대책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3일 춘천지법 강릉지원에 한전을 상대로 '산불로 인한 손해를 배상하라'는 소장을 냈다.

피해 품목을 정리하며 형사사건 수사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던 이재민들은 수사가 장기화하자 민사소송을 제기했다.

소송에는 우선 이재민 35명이 참여했으며, 비대위는 소송인단을 추가로 모집할 계획이다.

최양훈 비대위원장은 "웬만하면 형사사건 수사 결과를 기다리려고 했는데 진전도 없고, 피해 주민들은 속이 타고 있는데 한전은 연락도 없어 민사소송을 제기했다"고 말했다.

이어 "발화 원인 자체가 전깃줄 단선에 의한 것이므로 한전은 민·형사상 모든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끊어진 전선 (강릉=연합뉴스) 지난해 4월 11일 강원 강릉시 난곡동에서 발생한 산불과 관련해 발화지점으로 추정되는 전신주의 끊어진 전선 모습. [산림청 제공. 연합뉴스 자료사진] [2023.07.20 송고]

한편 산불 원인과 책임을 둘러싼 수사는 결론을 내지 못한 채 장기화하고 있다.

한전의 과실 여부를 수사 중인 강릉시 산림특별사법경찰은 산불 발생 이후 현재까지 한전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총 네 차례에 걸쳐 참고인 조사를 진행했다.

특사경은 한전 측에 여러 차례 관련 자료를 요청해 전신주에 쓰인 제품들이 적정한 규격인지, 관리지침 등을 충실하게 이행했는지 등을 집중해서 들여다보고 있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과 한국산불방지기술협회 모두 '강풍에 쓰러진 나무에 의한 전선 단선'이라는 감정 결과를 내놓은 가운데 한전 측은 한국전기설비규정에 따라 전선을 설치한 점을 들어 잘못이 없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반면 이재민들은 나무와 전신주 간 거리와 관계 없이 발화 원인 자체가 '전선 단선'인 만큼 한전에 과실이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지난해 4월 11일 강릉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로 사망 1명, 중상 1명 등 인명피해와 주택 204동, 숙박·음식점 등 소상공인 147업체, 농·축산시설 55건, 산림 121ha 등 생활 기반 건축물 피해가 다수 발생해 274억원의 피해가 났다.

이재민은 274가구 551명이 발생했다.

conanys@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