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공약’ 수혜지 용인 처인구, 2월 땅값 상승률 전국 평균의 6배

김영주 기자 2024. 4. 4. 11:4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치권의 총선용 개발 공약이 집중된 용인, 성남, 화성 등 경기 남부권이 전국 대비 약 6배에 달하는 땅값 상승률을 나타내고 있다.

공사비 급등과 고금리 장기화 등으로 주택 시장 전반은 여전히 냉각기를 이어가고 있지만,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와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등 선거를 앞두고 쏟아낸 개발 공약으로 호재가 몰린 지역은 투자 열기가 달아오른 것으로 분석된다.

처인구 외에도 2월 지가 상승률 상위 지역 대부분이 총선 공약의 수혜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GTX 호재 겹쳐 투자 열기 고조
전국 1·2·3위 처인구가 휩쓸어

정치권의 총선용 개발 공약이 집중된 용인, 성남, 화성 등 경기 남부권이 전국 대비 약 6배에 달하는 땅값 상승률을 나타내고 있다.

공사비 급등과 고금리 장기화 등으로 주택 시장 전반은 여전히 냉각기를 이어가고 있지만,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와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등 선거를 앞두고 쏟아낸 개발 공약으로 호재가 몰린 지역은 투자 열기가 달아오른 것으로 분석된다.

4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월 지가동향’에 따르면 용인시 처인구의 땅값 상승률이 전월 대비 0.501%로 전국 시·군·구 중에서 가장 많이 올랐다. 읍·면·동 단위로 더 세분해보면 처인구 중에서도 SK하이닉스의 메모리 반도체 공장이 들어서는 원삼면이 0.814%로 전국 1위의 상승률을 나타냈다. 이는 전국 지가 상승률 0.134%의 6배에 달하는 수치다. 2위는 삼성전자가 360조 원을 쏟아부어 시스템 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처인구 남사읍(0.744%)이었다. 원삼면에 인접한 백암면도 0.669% 올라 전국 3위의 지가 상승률을 나타냈다.

이들 지역의 지가가 상승세를 타기 시작한 것은 지난해 정부가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계획을 발표하면서부터였다. 특히 여권에서 4월 총선을 앞두고 세계 최대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조성을 위해 전력·용수 등 인프라를 신속 지원하겠다고 공약하면서 상승세에 더욱 불이 붙었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3월 25일 민생 토론회에서 “용인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세계적인 반도체 생산의 거점이자 정보기술(IT) 산업의 중심으로 발전할 곳”이라며 “500조 원가량이 용인에 투자될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처인구 외에도 2월 지가 상승률 상위 지역 대부분이 총선 공약의 수혜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당은 ‘성남 지역 재개발·재건축 규제 완화’를 약속했다. 성남 수정구는 2월 한 달 동안 재개발 사업지 중심으로 땅값이 0.477% 올랐다. GTX-A 노선 개통 호재를 입은 경기 화성시는 0.278%로 전국 5위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김영주 기자 everywhere@munhwa.com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