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싼車, 타봤자 소용없더라”…속썩이지 않는 2천만원대 SUV, 엠블럼 바꿨더니 [왜몰랐을카]

최기성 매경닷컴 기자(gistar@mk.co.kr) 2024. 4. 4. 07:0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골 비난’ QM6, 진국 역할
원소스멀티유즈·가성비 덕분
QM6, 르노코리아 먹여 살려
엠블럼, 태풍의 눈→‘로장주’
로장주를 채택한 QM6 전면과 후면, 매경 편집 [사진출처=르노코리아]
신차는 사는 순간 중고차가 된다. 출고된 지 1년도 지나지 않아 중고차 가격이 10% 안팎 떨어진다.

문제는 더 있다. 극지·혹한·폭염 테스트 등을 거쳐서 나오더라도 개발 당시 발생하지 못한 결함이 속출한다.

“신차가 나오면 가능하면 1년, 적어도 6개월 뒤에 구입하라”는 말이 나온 이유도 여기에 있다.

8년 간 품질 검증한 ‘진국 아빠차’
태풍의 눈(왼쪽)과 로장주, 매경 편집 [사진출처=르노코리아]
르노코리아 QM6는 품질만 놓고 본다면 속 썩이지 않는 보기드문 신차다. 처음 출시된 지 8년째여서 웬만한 결함 문제는 해결해서다.

정비사들의 점검능력과 숙련도도 향상됐다. 품질 문제로 골치 아플 일이 적다.

단점이 있다. ‘사골’이라고 비난을 받는 것처럼 2016년 출시 당시 모습을 사실상 거의 유지하고 있다.

지난 2019년 부분변경 모델로 거듭났고, 이후에도 디자인을 다듬고 첨단 편의 사양을 추가하기는 했다. 소비자들이 체감할 만한 두드러진 큰 변화는 적었다.

QM6가 단순히 우려먹는 사골에 그쳤다면 벌써 도태됐을 가능성이 높다. 기아 쏘렌토, 현대차 싼타페 등 막강한 경쟁차종이 있는 국산 중형 SUV 시장에서 경쟁력이 없다면 십중팔구 멸종됐다.

QM6 퀘스트 [사진출처=르노코리아]
현실은 달랐다. QM6는 사골이라는 비판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르노코리아 대들보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보릿고개를 넘어가는 데 큰 힘이 되고 있다.

국토교통부 자동차 통계를 사용하는 카이즈유 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QM6는 지난해 1만1146대가 판매됐다. 르노코리아 판매차종 중 1위였다.

사골 비난과 달리 현대차·기아가 장악한 국내 자동차시장에서 1만대 이상 팔렸다.

현재까지 누적 판매대수는 25만여대에 달한다. 대대적인 완전변경없이 스테디셀러 자리를 지키고 있는 유일한 국산 SUV다.

QM6 LPG 모델 [사진출처=르노코리아]
QM6가 존재감을 유지하는 비결은 완성도 높은 초기 디자인을 바탕으로 작지만 큰 변화를 추구한 ‘원 소스 멀티 유즈’(One Source Multi Use)와 높은 ‘가성비’(가격대비성능)에 있다.

차종은 하나지만 다양한 버전으로 내놔 소비자들의 니즈를 ‘맞춤저격’했다. 디젤차가 SUV 시장을 이끌 때 보다 정숙한 가솔린차로 승부수를 던졌다.

LPG차를 국가유공자나 장애인이 아니더라도 살 수 있게 된 뒤에는 국산 SUV 최초로 LPG엔진을 달았다. 힘이 부족하고 적재공간도 부족하다는 단점도 해결했다.

지난해 더뉴 QM6를 내놓을 때는 국내 최초로 비즈니스·오토캠핑에 적합한 ‘2인승 밴’으로 나왔다.

로장주 엠블럼 채택, 작지만 큰 변화
QM6 로장주 [사진출처=르노코리아]
QM6는 또 한번의 ‘작지만 큰 변화’를 시도한다. 엠블럼 교체다.

르노코리아(대표이사 스테판 드블레즈)는 기존 르노코리아자동차에서 ‘르노코리아’로 사명을 변경하고 공식 엠블럼도 ‘태풍의 눈’에서 다이아몬드 형상의 르노 엠블럼 ‘로장주’로 변경한다고 3일 발표했다.

이번 사명 및 엠블럼 변경은 125년 역사의 프랑스 브랜드 ‘르노’의 가치를 국내 고객들과 보다 적극적으로 공유하면서, 자동차 판매·제조사를 넘어 모빌리티 브랜드로 나아간다는 의미를 담았다고 설명했다.

로장주를 적용한 QM6 [사진촬영=최기성 매경닷컴 기자]
르노코리아가 현재 국내 시장에 판매 중인 차량 일부도 새로운 모델로 변경한다. QM6는 기존 모델명을 유지하면서 로장주 엠블럼을 적용한다.

애프터마켓에서 일부러 돈을 주고 전후면, 휠, 스티어링휠 등에 적용된 태풍의 눈을 로장주로 바꿀 필요가 없어졌다.

해외 시장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는 XM3는 글로벌 모델과 동일한 차명과 엠블럼을 채택한다. ‘뉴 르노 아르카나’(new Renault Arkana)로 새롭게 출시한다. 단, SM6는 모델명과 엠블럼 모두 기존 그대로 유지한다.

QM6 퀘스트 [사진출처=르노코리아]
QM6는 르노 소속을 알려주는 새로운 모델로 진화하지만 3000만원대 가성비 높은 패밀리 SUV라는 매력은 유지한다.

QM6는 4000만원에서 5000만원을 넘어 6000만원대에 진입하고 있는 중형 SUV 시장에서 보기드물게 시작가가 2000만원대다.

“더 비쌀 필요 없다”며 알뜰 소비를 중시하는 아빠차 구매자들을 공략한다. QM6 퀘스트는 오빠차 구매자들도 유혹한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