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광장시장 바가지

황비웅 2024. 4. 4. 05: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외국인 관광객들뿐 아니라 MZ세대에게도 '핫플'이라는 종로 광장시장을 엊그제 찾았다.

걷기도 힘든 인파에 둘러싸여 떡볶이, 순대 등 먹거리를 구경하는 것만으로도 즐거웠다.

겨우겨우 한 포장마차에 자리를 잡고 앉아 순대와 떡볶이를 시켰다.

알고 보니 순대를 두 접시에 나눠 달라고 한 것에 대해 값을 두 배로 받은 것이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외국인 관광객들뿐 아니라 MZ세대에게도 ‘핫플’이라는 종로 광장시장을 엊그제 찾았다. 걷기도 힘든 인파에 둘러싸여 떡볶이, 순대 등 먹거리를 구경하는 것만으로도 즐거웠다. 겨우겨우 한 포장마차에 자리를 잡고 앉아 순대와 떡볶이를 시켰다. 인원이 많아 자리를 넓게 앉다 보니 음식을 나눠야 했다. 순대를 앞접시 두 개에 나눠 달라고 부탁했던 기억이 난다. 너무 사람이 많고 복잡해 얼른 계산을 하고 빠져나왔다. 찹쌀꽈배기가 유명하다더니 외국인들 대부분은 찹쌀꽈배기 집에 길게 줄을 서 있었다.

그런데 나중에 보니 계산이 맞지 않았다. 이게 어찌 된 일일까. 알고 보니 순대를 두 접시에 나눠 달라고 한 것에 대해 값을 두 배로 받은 것이었다. 지난해 말 광장시장의 바가지 상술 보도로 전국이 떠들썩했고, 상인회에서 어깨띠를 매고 자정 결의대회까지 열었던 게 생각난다. 그런데 온라인상에서 바가지 논란은 올해도 계속되고 있었다. 포장마차 주인아주머니는 단순히 계산을 착각한 걸까.

황비웅 논설위원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