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업가전이 'AI가전' 원조?…한종희 부회장 "시초보다 소비자 혜택이 더 중요"

권용삼 2024. 4. 3. 17:1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원조 논쟁 자체가 무의미…삼성이 실제 제품으로 AI 생태계 확산"
"기존사업·신성장동력 위해 M&A 필요…여러 회사 들여다보는 중"

[아이뉴스24 권용삼 기자] "인공지능(AI) 가전의 시초보다 소비자들에 빠르게 혜택을 제공하고 가치를 줄 수 있느냐가 중요합니다."

한종희 삼성전자 대표이사 부회장 겸 디바이스경험(DX)부문장이 3일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열린 신제품 출시 미디어데이 '웰컴 투 비스포크 AI'에서 이같이 말했다.

한종희 삼성전자 대표이사 부회장 겸 디바이스경험(DX)부문장이 3일 서울 서초구에 있는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열린 신제품 출시 미디어데이 '웰컴 투 비스포크 AI'에서연설하고 있다. [사진=권용삼 기자]

한 부회장은 이날 최근 경쟁사 LG전자가 '업(UP) 가전이 AI 가전의 시초'라고 밝힌 것과 관련해 어떻게 생각하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시작은 그렇게 중요하지 않다"며 "AI 생태계가 많이 확산하고 있고 누구나 다 한다고 하지만, 실제 제품으로 실생활에 적용된 것은 저희가 제일 많다"고 강조했다.

앞서 조주완 LG전자 최고경영책임자(CEO)는 지난달 26일 정기 주주총회 직후 취재진과 만나 "AI 가전의 시초는 사실 LG전자의 업(UP)가전"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한 부회장의 이번 발언은 AI 가전 주도권을 놓고 견제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한 부회장은 "AI가 80년대 학회에서 처음 나온 개념이고, 이후에도 꾸준히 유행해왔다"며 "AI가전과 관련한 시초 논쟁 자체가 무의미하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최근 AI 기능을 강화한 신제품들을 지속적으로 선보이며 'AI가전=삼성'이라는 이미지를 쌓기 위한 작업에 공을 들이고 있다. 실제 이날 행사에서도 고성능 AI 칩·카메라·센서를 탑재해 AI 기능을 제공하는 냉장고, 일체형 세탁건조기, 로봇청소기, 공기청정기, 인덕션, 에어컨 신제품을 한꺼번에 선보였다. 최근까지 삼성전자가 출시한 AI 제품은 총 15종에 달한다.

그는 "삼성전자는 AI 기능을 대폭 강화한 다양한 제품군을 선보이면서 업계에서 AI 기술의 확산을 리드하고 있다"며 "다양한 스마트홈 기기들을 통해 '모두를 위한 AI' 비전을 완성할 것"이라고 설파했다.

삼성전자 모델이 인공지능(AI) 기반으로 연결성과 사용성이 업그레이드된 신제품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특히 한 부회장은 '비스포크 AI 가전'의 세가지 핵심 기능으로 △보안 △지속 가능한 환경 △접근성을 꼽았다. 그는 "삼성전자는 소비자들이 안심하고 AI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보안을 최우선으로 두고 제품을 개발해왔다"며 "삼성이 자랑하는 엄격한 보안 성능은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특히 '비스포크 AI 패밀리허브' 냉장고와 '비스포크 AI 스팀' 로봇청소기는 글로벌 인증업체인 'UL 솔루션즈'에서 사물인터넷(IoT) 보안 안전성을 검증받아 업계 최초로 최고 등급인 다이아몬드를 획득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AI와 초연결을 기반으로 제품의 기능은 날이 갈수록 빠르게 진화하지만, 고령층이나 장애를 가진 소비자들은 첨단 기능을 사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며 "삼성전자는 다양한 연령 환경에 처한 소비자들이 누구라도 불편함 없이 제품 기능을 100% 누릴 수 있도록 접근성 향상을 위한 노력을 이어오고 있다"고 힘주어 말했다.

이와 함께 한 부회장은 이날 삼성전자의 인수합병(M&A) 계획에 대해 묻는 질문에 "벤처나 스타트업 투자는 많이 하고 있지만, 큰 부분에서 아직 성과를 못 보여드렸다"며 "큰 부분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중요한 것은 현재 우리가 가진 기존 사업을 앞으로 더 탄탄하게 하기 위해서, 새로운 성장동력을 위해서도 (M&A가) 필요하다"며 "그 두 가지 축에 해당하는 여러 회사를 지금 들여다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무현(왼쪽부터) 삼성전자 DA사업부 CX팀장과 한종희 대표이사 부회장 겸 DX부문장, 문종승 DA사업부 개발팀장, 유미영 DA 사업부 SW개발팀장이 3일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열린 신제품 출시 미디어데이 '웰컴 투 비스포크 AI'에서 답변을 준비하고 있다. [사진=권용삼 기자]

이 밖에 AI 가전 생태계를 집 안에서 자동차, 빌딩까지 확장하겠다는 전략도 밝혔다. 한 부회장은 "현재는 제품마다 각기 다른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성능을 갖추고 있지만, 앞으로는 서로 공유해 범용성을 넓힐 것"이라며 "홈 매니지먼트뿐 아니라 자동차, 빌딩 관리 등으로 확장할 것"이라고 제시했다.

이를 위한 현대자동차, 테슬라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와 추가적인 협업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가능성이 있다"며 "테슬라나 현대차와 지금은 매니지먼트 시스템이나 정보를 교환하면서 집 안 상황을 집 밖에서 컨트롤하고, 집 안에서 차 안 내용을 들여다볼 수 있는 부분까지 가 있는데, 아마 무한대로 계속 커질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삼성전자는 이날 글로벌 소비자들이 '비스포크 AI'를 동시에 체험할 수 있도록 업계 최초로 서울, 프랑스 파리, 미국 뉴욕에서 같은 날 미디어데이를 열고 전 국가에서 동시에 신제품을 출시하는 마케팅 전략을 선보였다.

/권용삼 기자(dragonbuy@inews24.com)

Copyright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