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인 노예가 세운 첫 독립국가의 파탄

정인환 기자 2024. 4. 2. 18:0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쿠바와 자메이카가 지척인 카리브해의 히스파니올라섬 서쪽에 아이티가 있다.

사탕수수 농장에서 혹사당하던, 아프리카에서 건너온 흑인 노예들이 무장혁명으로 1804년 세운 나라다.

아이티는 라틴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연안에서 서구 제국주의를 몰아내고 들어선 첫 독립국가다.

흑인 노예가 세운 첫 독립국가의 파탄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포토스퀘어]아이티의 혼돈
2024년 3월1일 아이티 수도 포르토프랭스에서 아리엘 앙리 총리의 퇴진을 요구하는 시위가 벌어졌다. 화염에 휩싸인 거리에서 한 참가자가 아이티 국기를 들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REUTERS

쿠바와 자메이카가 지척인 카리브해의 히스파니올라섬 서쪽에 아이티가 있다. 사탕수수 농장에서 혹사당하던, 아프리카에서 건너온 흑인 노예들이 무장혁명으로 1804년 세운 나라다. 아이티는 라틴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연안에서 서구 제국주의를 몰아내고 들어선 첫 독립국가다.

가진 것 없는 신생국의 앞날은 순탄치 않았다. 외세의 힘은 여전히 막강했고, 왕정과 공화정을 오가며 정치는 안정될 줄 몰랐다. 급기야 1915년 미국 해병대가 들이닥쳐 나라를 접수했다. 1934년 미군이 물러간 뒤에도 나아질 건 없었다. 외세와 결탁한 군사독재가 뒤를 이었고, 부자 세습독재가 기승을 부렸다. 1986년 민중봉기로 독재자가 축출됐지만 정정 불안은 그칠 줄 몰랐다. 선거와 쿠데타가 되풀이됐다. 툭하면 허리케인이 할퀴고 지나갔고, 잊을 만하면 대지진과 감염병이 창궐했다. 가난한 이들이 흙으로 빵을 구워 허기를 채웠다.

2021년 7월 조브넬 모이즈 당시 대통령이 사저에서 무장괴한의 총에 맞아 숨졌다. 모이즈 대통령이 숨지기 전 총리로 지명한 아리엘 앙리가 후계자로 나섰다. 앙리 총리 정부는 정국을 장악하지 못했다. 수도 포르토프랭스의 거리에서 반정부 시위가 그칠 줄 몰랐다. 국민 90%가 극빈층인 나라에서 빈민가를 중심으로 독버섯처럼 번진 갱단의 폭력이 불을 뿜었다.

2024년 2월29일 포르토프랭스를 사실상 장악한 갱단 두목 지미 셰리지에가 기자회견을 열고 앙리 총리 정부 ‘퇴진 투쟁’을 선포했다. 사로잡은 적을 불태우는 잔학함으로 ‘바비큐’란 별칭이 붙은 자다. 치안을 유지할 경찰력 지원을 요청하러 케냐를 방문 중이던 앙리 총리는 귀국길이 막혔다. 그는 3월11일 사임을 발표했다.

후임 정부는 아직 구성되지 않았다. 국가는 작동을 멈췄다. 거리는 갱단이 장악했다. 흑인 노예가 세운 첫 독립국가의 파탄이다.

사진 REUTERS·AP 연합뉴스·EPA 연합뉴스, 글 정인환 기자 inhwan@hani.co.kr

2024년 3월25일 아이티 주민들이 식량과 생필품 등을 구하려 도미니카 국경 지역에 늘어서 있다. EPA 연합뉴스
2월5일 아이티 수도 포르토프랭스에서 열린 반정부 집회에서 오토바이를 탄 참가자들이 마체테(날이 넓고 긴 칼)를 손에 든 채 거리를 내달리고 있다. REUTERS
2월6일 포르토프랭스에서 열린 반정부 집회에서 한 참가자가 아리엘 앙리 총리의 퇴진을 촉구하는 손팻말을 들어 보이고 있다. REUTERS
3월6일 포르토프랭스의 국제공항 들머리에서 병사들이 들고 나는 사람들을 살피고 있다. AP 연합뉴스
3월11일 포르토프랭스의 거리에 소총으로 무장한 갱단 조직원들이 앉아 있다. REUTERS

Copyright © 한겨레2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