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삼성, SSD 가격 25% 파격 인상…낸드 수요 대폭발

최승진 기자(sjchoi@mk.co.kr), 오찬종 기자(ocj2123@mk.co.kr) 2024. 4. 1. 18:1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2~3주 사이 낸드플래시 메모리 제품인 기업용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가 품귀 현상을 빚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삼성전자는 올해 2분기 기업용SSD 가격을 올 1분기에 비해 최대 25% 올린다는 계획을 세운 것으로 전해졌다.

1일 반도체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해 최악의 불황기를 겪었던 낸드 부문의 기업용 SSD 가격을 올해 2분기 20~25% 인상할 전망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델·HPE 등 글로벌 서버 기업
AI 대응 스토리지 확충 본격화
2주 사이 SSD 품귀현상 발생
기업SSD 50% 점유 삼성전자
감산기조 종료·증산까지도 검토
최근 2~3주 사이 낸드플래시 메모리 제품인 기업용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가 품귀 현상을 빚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성형 인공지능(AI) 열풍과 함께 글로벌 빅테크들의 데이터센터 구축이 잇따르면서다. 특히 데이터센터에 필요한 저장장치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

이에 삼성전자는 올해 2분기 기업용SSD 가격을 올 1분기에 비해 최대 25% 올린다는 계획을 세운 것으로 전해졌다. 또 감산기조에 있던 기업용SSD 생산을 정상화하는 것은 물론 증산까지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1일 반도체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해 최악의 불황기를 겪었던 낸드 부문의 기업용 SSD 가격을 올해 2분기 20~25% 인상할 전망이다. 삼성전자는 당초 전분기 대비 15% 수준에서 인상할 계획이었지만, 예상을 뛰어넘는 수요 급증에 가격인상 폭을 확대다.

대용량 저장장치인 SSD는 낸드플래시 메모리로 제작된다. 삼성전자는 기업용SSD 시장의 절반 가량을 차지하고 있는 지배적 사업자로, 가격 결정에 절대적인 영향력을 갖고 있다.

삼성전자가 이처럼 가격인상에 나선 것은 엔비디아·테슬라를 비롯한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의 AI 관련 스토리지 서버 확대 움직임이 본격화한 데 따른 것이다. 델테크놀로지스와 휴렛패커드(HPE) 같은 주요 서버 기업들이 SSD 구매를 위해 경쟁적으로 달려드는 상황이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스토리지 용량을 확대하려는 서버 기업들의 SSD 주문이 최근 몰려들고 있다”며 “일부 제품은 품귀현상까지 일어나고 있어 증산까지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1분기 말인 최근 2주간 이같은 수요가 집중돼 오는 5일 발표 예정인 삼성전자의 올해 1분기 잠정실적 발표에도 호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SK하이닉스 역시 기업용 SSD 품귀현상의 수혜를 입을 전망이다.

김동원 KB증권 리서치본부장은 “낸드 생산기업들의 감산 전략이 주효했다”며 “공급을 줄이다보니 고객사들도 하반기 물량 부족을 우려해 미리 선주문을 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