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알지식] 기자들이 바짝 긴장하는 날, 만우절은 왜 4월 1일?

김지원 기자 2024. 4. 1. 17:3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08년 4월 1일 만우절을 맞아 영국 BBC가 공개한 '날고 있는 펭귄(Flying Penguin)'이라는 이름의 가짜 다큐멘터리 비디오. 이후 펭귄이 날고 있는 모습은 컴퓨터 그래픽으로 밝혀졌다. /BBC 유튜브

매년 4월 1일은 기자들이 바짝 긴장하는 날이다. 만우절(萬愚節)을 맞아 친구들의 장난기 어린 거짓말과 함께 전 세계 매체들의 그럴듯한 가짜 뉴스가 쏟아지기 때문이다. 만우절은 ‘거짓말을 하거나 장난을 쳐도 나무라지 않는 날’로, 영어로는 ‘에이프릴 풀스 데이(April Fools’ Day·4월 바보의 날)’라고 한다. 정확한 기원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유력설 가운데 하나는 한 해가 매년 1월 1일에 시작된다고 선언한 1564년 프랑스 샤를 9세의 칙령이다.

이전까지는 춘분(春分)과 부활절 즈음인 매년 3월 말, 4월 초를 새해 시작으로 보고 축제를 벌였다. 그런데 해마다 춘분·부활절 날짜가 달라 혼란이 있었다. 상당수는 새 조치를 모르는 채 종전처럼 3월 말, 4월 초에 축제를 즐겼다고 한다. 세상이 바뀐 줄 모르는 이들을 놀리면서 장난 삼아 거짓말을 한 것이 만우절의 유래라는 설이 있다. 프랑스어로 만우절은 ‘푸아송 다브릴(Poisson d’avril·4월의 물고기)’이다. 4월에 물고기가 잘 ‘낚인다’는 점에서 쉽게 속아 넘어가는 사람을 부르는 말로도 쓰인다. 독일은 아프릴셰르츠(Aprilscherz·4월의 농담), 중국은 위런제(愚人節·사람을 놀리는 날)라고 한다.

-

🌎조선일보 국제부가 픽한 글로벌 이슈! 뉴스레터 구독하기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275739

🌎국제퀴즈 풀고 선물도 받으세요!https://www.chosun.com/members-event/?mec=n_quiz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