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人터뷰]"'온더고'로 전 세계 미식 여행 떠나세요"

이호승 기자 2024. 4. 1. 06: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온더고의 콘셉트는 '세계로 떠나는 미식 여행'입니다."

아워홈이 2019년 출시한 도시락 브랜드 '온더고'(ONTHEGO)에 대한 조재웅 아워홈 온더고 브랜드마케팅 팀장을 한 줄 설명이다.

현재 판매 중인 온더고의 메뉴는 '김치제육덮밥', '오색비빔밥' 등 한식과 돈가스 전문점 사보텐과 협업한 '사보텐 규동', '가츠동', '함박스테이크', '라자냐', 중화식 '첨면장 불향 덮밥' 등 기존의 냉동 도시락 제품으로는 만나보기 힘든 메뉴가 적지 않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조재웅 아워홈 온더고 브랜드마케팅 팀장
"라자냐, 가츠동 등에 이어 프랑스·스페인식 메뉴도 개발 중"
조재웅 아워홈 온더고 브랜드마케팅 팀장(아워홈 제공)

(서울=뉴스1) 이호승 기자 = "온더고의 콘셉트는 '세계로 떠나는 미식 여행'입니다."

아워홈이 2019년 출시한 도시락 브랜드 '온더고'(ONTHEGO)에 대한 조재웅 아워홈 온더고 브랜드마케팅 팀장을 한 줄 설명이다.

조 팀장은 지난 29일 뉴스1과의 인터뷰에서 "프랑스식 메뉴 등까지 개발된다면 온더고의 메뉴는 30여 종에 달할 것"이라며 "온더고의 성장성은 무궁무진 하다"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온더고는 전자레인지에 4~7분만 데우면 바로 먹을 수 있는 아워홈의 냉동 도시락으로 올해로 출시 5년째를 맞는 대표 브랜드다.

현재 판매 중인 온더고의 메뉴는 '김치제육덮밥', '오색비빔밥' 등 한식과 돈가스 전문점 사보텐과 협업한 '사보텐 규동', '가츠동', '함박스테이크', '라자냐', 중화식 '첨면장 불향 덮밥' 등 기존의 냉동 도시락 제품으로는 만나보기 힘든 메뉴가 적지 않다.

현재 판매중인 한식형 메뉴와 △독일식 △이태리식 △중국식 △인도식 △태국식 등 23종의 메뉴에 더해 △프랑스식 △스페인식 메뉴를 개발 중이다.

조 팀장은 개발이 가장 까다로웠던 제품으로 라자냐를 꼽았다. 오븐에서 구워 제공되는 전문점의 라자냐 모습을 구현하기 위해 각각의 원료를 조리 후 조립하는 통상의 조리 공정 대신 별도의 조리 공정을 설계하는 데 공을 들였다.

싱카이 짜장면도 개발 과정이 어려웠던 제품 중 하나다. 전자레인지 조리 후에도 식감을 확보하기 위해 전용 면을 개발하는 과정이 까다로웠다는 게 조 팀장의 설명이다.

개발 기간이 가장 길었던 제품은 사보텐 규동·가츠동이었다. '수분 전이 제어 기술'을 활용해 고객들이 사보텐에서 맛 본 규동과 가츠동의 품질을 구현하는 데 상당한 기간이 걸렸다고 한다.

수분 전이 제어 기술은 재료별 수분의 전이를 억제하는 기술인데, 밥과 고명, 소스 사이에 레이어(층)를 형성해 덮밥 형태로 냉동시켜도 재료의 식감을 보존할 수 있는 기술이다.

조재웅 아워홈 온더고 브랜드마케팅 팀장(아워홈 제공)

조 팀장은 앞으로 한식형 메뉴를 확대하는 한편 프랑스·스페인식 메뉴를 강화할 계획이다.

또 '탑 셀러' 중 하나인 함박스테이크 정식의 메뉴를 강화한 '미니 고구마 함박스테이크 정식'도 기획 중이라고 했다. 기존 함박스테이크 정식에 고구마, 홍피망, 웨지감자, 브로콜리를 추가한 제품이다.

조 팀장은 "'세계로 떠나는 미식 여행'이라는 슬로건을 기반으로 현지 이색 메뉴를 가정에서도 쉽고 간편하게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메뉴를 선보이거나 준비 중"이라며 "소비자 반응이 좋은 RMR(레스토랑 간편식) 제품을 확장해 일식, 중식 중심으로 개발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워홈의 온더고는 지난해 매출이 전년보다 68% 성장했다. 또 지난해부터 K-푸드 대표 메뉴인 김치덮밥·비빔밥·떡볶이 등의 제품을 수출용으로 별도 생산해 수출하고 있다.

yos547@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