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체율 급등 새마을금고, 첫 현장 검사 받는다

유준호 기자(yjunho@mk.co.kr)양세호(yang.seiho@mk.co.kr) 2024. 3. 31. 17:5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금감원, 8일부터 건전성 조사
연체율 2년새 2.5배로 상승
뱅크런·부동산PF 여파에
지난해 순이익 95% 급감
금융위선 전담 감시팀 신설

새마을금고에 악재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발생한 뱅크런(대규모 자금 이탈) 여파로 지난해 당기순이익이 전년보다 94.5% 급감한 데 이어 최근에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우려가 커지면서 연체율 상승 등 건전성에도 경고등이 켜지자 금융당국이 처음으로 현장 검사에 나섰다. 또 최근에는 양문석 더불어민주당 후보(경기 안산갑)가 2021년 편법 대출을 받았다는 논란이 일면서 자체 조사에 나섰다.

31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예금보험공사·새마을금고중앙회 등과 함께 오는 8일부터 2주간 새마을금고에 대해 현장 검사를 돌입한다. 자산 규모가 비교적 큰 개별 금고 4곳이 이번 검사 대상이다. 그동안 행정안전부의 관리·감독을 받아오던 새마을금고에 금감원의 현장 검사가 시행되는 것은 처음이다. 이는 금융위원회와 행안부가 지난달 맺은 '새마을금고 건전성 감독 협력체계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에 따라 금감원·예보·새마을금고중앙회가 검사협의체를 구성한 데 따른 것이다. 금융당국이 감독 고삐를 더욱 세게 틀어쥐는 셈이다.

이번 현장 검사에서 금감원은 새마을금고의 연체율 관리 등 건전성 부문을 집중적으로 들여다볼 예정이다. 2021년 말 1.93%였던 새마을금고 대출 연체율은 2022년 말 3.59%로 오른 데 이어 지난해 말에는 5.07%까지 뛰었다. 지난해 말 기준 새마을금고를 제외한 상호금융권 전체 연체율은 2.97%로 2.1%포인트 낮다. 새마을금고 연체율은 지난달 7%대까지 상승한 것으로 추정된다.

부동산 PF 등을 필두로 기업 대출에서 부실이 늘며 새마을금고 연체율이 급상승했다. 행안부에 따르면 새마을금고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2022년 말 1.15%에서 지난해 말 1.52%로 소폭 상승한 반면, 기업대출 연체율은 5.61%에서 7.74%로 급등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부동산 PF 부실 여파 등으로 새마을금고 연체율이 급등한 것으로 보고 있다"며 "이번 현장 검사로 건전성 관리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건전성 우려는 새마을금고 실적과도 맞물려 있다. 새마을금고는 지난해 당기순이익 860억원을 냈다. 이는 전년 1조5573억원보다 94.5% 급감한 수치다. 행안부 관계자는 "작년 말 새마을금고 건전성 지표는 고금리, 부동산 경기 회복 지연 등의 여파로 2022년 말 대비 다소 조정되는 모습을 보였다"며 "올해도 연체율 상승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연체 관리 등에 노력을 지속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금감원은 올해 1분기 저축은행 연체율이 집계되면 새마을금고와 마찬가지로 별도 현장 검사를 벌여 위기 가능성을 점검할 계획이다. 아울러 금감원은 제2금융권 부실 불안으로 과거 실리콘밸리은행(SVB) 사태처럼 예금 대량 인출이 발생하는 상황을 막고자 실시간 시스템을 구축해 가동하고 있다. 해당 시스템은 예수금 변동이 임계치를 넘으면 금융당국 담당자에게 실시간으로 경보 알림이 간다.

금융위도 새마을금고에 대한 감독 수위를 올린다. 금융위는 4월 초 조직 개편을 통해 금융산업국에 새마을금고 관련 업무를 총괄하는 팀을 신설할 방침이다. 금융위는 새마을금고 상시 감독에 필요한 정보를 전산시스템 등을 통해 행안부에서 정기·수시 제공받을 예정이다. 금융위가 새마을금고를 모니터링한 결과는 행안부에도 공유된다. 금융위 관계자는 "행안부와 맺은 업무협약을 이행하기 위한 수준으로 전담팀 준비를 진행하고 있다"며 "세부 내용은 협의 중인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의 관리 체계가 본격화된 만큼 새마을금고의 향후 체질 개선에도 관심이 쏠린다. 새마을금고에서는 지난해 7월 대규모 뱅크런이 발생했다. 남양주동부새마을금고가 600억원대 부실 대출로 화도새마을금고와 합병하기로 하자 대규모 예적금 인출 사태가 벌어지기도 했다. 새마을금고에서는 횡령과 배임 등 금융사고도 끊임없이 벌어지고 있다. 행안부 등에 따르면 2017년 7월부터 지난해 8월까지 새마을금고에서는 횡령·배임·사기·알선수재가 95건 발생했고, 피해액은 643억8800만원에 달했다.

새마을금고는 양 후보의 편법 대출 논란에도 휩쓸렸다. 다만 새마을금고중앙회가 이 문제와 관련해 자체 현장 조사에 나서는 만큼 금융당국은 현장 검사에서 건전성 점검 등에 초점을 맞출 계획이다.

[유준호 기자 / 양세호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