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함·영·장…냉랭한 민심 속 "4선 vs 교체"[4·10총선 D-10]

송창헌 기자 2024. 3. 31. 07:0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치 무관심에 피로감까지 '투표 포기층' 넘쳐
"그래도 민주당" vs "뭘 했는지" 현역 심판론도
'3선' 의원 vs 군수 대결 속, 비민주 선전 관심
투표율, 연고주의, 지자체·의회 역학관계 변수
[무안=뉴시스] 송창헌 기자 = 30일 오후 전남 담양의 한 아파트 단지 앞에서 고령의 유권자가 선거벽보를 유심히 살펴보고 있다. 2024.03.30 goodchang@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광주=뉴시스] 송창헌 기자 = "누가 잘했다, 못했다 말 할 것 있것소? 도찐개찐(도긴개긴) 이지라우. 먹고 사는 일이 시방 젤로 중요하제∼"

30일 오후 전남 담양 공용버스터미널 주변. 삼삼오오 모여 커피 한 잔에 담배 한 대, 이른바 '커담'으로 잠깐의 여유를 즐기던 택시기사들에게 총선 분위기를 묻자 약속이나 한 듯 손사래를 치며 하나 둘 자리를 떴다.

"정치얘기는 꺼내지도 마시라"는 표현은 점잖은 축에 든다. "누굴 뽑든 어차피 그놈이 그놈 아니냐'는 거친 언사도 나왔다.

"그래도 싫든 좋든 민주당 후보를 찍겠다"는 60대 기사는, 이유를 묻자 "정권교체는 해야 할 것 아니요?"라고 되물었다. 정권심판론으로 읽힌다.

터미널에서 3∼4㎞ 떨어진 한 아파트 어린이집 앞에 모인 2030 육아맘들의 정치 불신도 꽤나 깊었다. "솔직히 공약을 잘 지키지 않잖아요" 셋 중 둘은 "찍을 사람도, 투표할 생각도 없다"고 까지 말했다.

인근 주공아파트에서도 '투표 포기층'이 적잖았지만 "그래도 지역 발전에 조금이라도 도움될 후보를 찾는 중"이라는 유권자들도 있었다.

[함평=뉴시스] 송창헌 기자 = 29일 오전 전남 함평군 나산면 나산 전통 5일시장에 장날인데도 인적이 끊겨 대다수 점포가 셔터를 내린 채 영업을 하지 않고 있다. 2024.03.30 goodchang@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전날 함평 나산 전통 5일시장. 장날이지만 인적은 온데 간데 없고 적막감마저 감돌았다. 냉랭한 민심은 이 곳도 마찬가지.

"사람이 있어야 속옷 하나라도 팔 거 아니요. 장이 서질 않은 지 오래됐당께∼"

가게 운영 40여 년 만에 이런 불황은 처음이라는 팔순의 잡화점 주인도, "손님이 하루 1∼2팀인 날이 많지만, 폐업했단 소리 듣기 싫어 문을 연다"는 50대 국밥집 여주인도 "민생고(苦) 해결"을 후보 선택의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꼽았다.

읍내에서 만난 한 중년 남성은 "DJ(김대중 전 대통령) 같은 사람이 없다"며 불현듯 'DJ 향수'를 떠올리기도 했다. 공사장에서 만난 한 40대 인부는 "매번 투표해도 달라진 게 없다"고 실망감을 드러낸 뒤 "그래도 여기(함평) 출신이 당선되면 좋지 않겠냐"고 연고지 후보에 대한 우호적 표심을 내비쳤다.

5파전이 진행중인 전남 담양·함평·영광·장성 선거구. 맨 왼쪽부터 더불어민주당 이개호 후보, 국민의힘 김유성 후보, 새로운미래 김선우 후보, 개혁신당 곽진오 후보, 무소속 이석형 후보. (사진=각 후보 캠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4개 군(郡)으로 이뤄진 담양·함평·영광·장성 선거구에는 모두 5명의 후보가 본선 링에 올랐다.

4선에 도전하는 민주당 이개호 정책위 의장, 3회 연속 현역 단수공천에 반발해 탈당 후 무소속 출마한 이석형 전 함평군수, 전남 유일의 새로운미래 후보인 영광 출신 김선우 전 복지TV 사장, 경찰공무원 출신 국민의힘 김유성 대한탐정연합회 전남회장, 개혁신당 곽진오 전 독도연구소장 등이다.

50대인 김선우 후보를 제외하고는 모두 60대고, 출신 지역도 담양, 함평, 영광 등으로 갈린다.

3선 의원 대 3선 군수의 양강 대결 속에 '2강 3약'의 초반판세를 보이는 가운데 선거 무관심과 연고지 후보 지지 성향은 뚜렷하다. 변수이자 관전포인트이기도 하다.

2020년 제21대 총선 당시 함평을 제외한 나머지 3곳의 투표율은 60%대에 그쳤고, 2016년 19대 총선에선 죄다 60% 초반 투표율로 17개 군(郡) 가운데 12위(담양), 15위(함평), 16위(장성), 17위(영광)를 차지했다, '하위 톱3'를 한 선거구에서 독식한 셈이다.

선거구 사정에 밝은 한 지역인사는 "소위 '담·함·영·장'은 소지역주의 성향이 비교적 강한 곳"이라며 "공약 만큼이나 투표율에 대한 셈법과 전략, 연고주의, 단체장·의회와의 관계가 성패의 관건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인사는 "국민의당 '녹색돌풍'이 몰아친 20대 총선 때도 광주·전남에서 유일하게 민주당이 승리한 곳인 데다 정권 심판론이 최대 이슈로 부각되고 있어 민주당 후보가 유리한 고지이긴 하지만 3회 연속 당내 경선을 패싱한 데 대한 '특혜 공천' 논란과 비민주당 후보들의 면면도 만만찮아 결과를 예단하긴 어렵다"고 밝혔다.

'담양은 민주당, 함평과 영광은 무소속과 비민주당, 장성은 백중세'라는 의견과 함께 '공식선거운동에 돌입하면서 현역 지지율이 상승 곡선을 타고 있다'거나 '정권심판과 함께 현역 심판론까지 일면서 현직이 타이틀 방어에 고전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런 가운데 각 후보들은 정권 심판과 지역 발전(이개호), 인물 교체와 정권 심판(이석형), 여당 프리미엄과 막대한 예산 확보(김유성), 호남정치 복원과 성공한 경영인 정치(김선우), 첨단산업 유치와 청년실업 해결(곽진오) 등을 기치로 내걸고 표밭을 새벽부터 밤늦도록 누비고 있다.

[함평=뉴시스] 송창헌 기자 = 29일 오후 전남 함평군 함평읍 4거리에 22대 총선 출마자들의 선거현수막이 내걸려 있다. 2023.03.29 goodchang@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공감언론 뉴시스 goodchang@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