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로 인한 극지방 변화, 지구 자전에도 영향…시간 측정에도 혼란

서필웅 2024. 3. 28. 15:4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기후변화로 녹아내린 빙하가 지구의 자전 속도까지 바꾸고 있으며 지구가 한바퀴 자전하는 것을 기준으로 정해지는 '시간'의 설정에까지 혼란을 일으키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결과적으로 인간이 초래한 기후변화가 지구의 자전 속도에까지 영향을 미친 셈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후변화로 녹아내린 빙하가 지구의 자전 속도까지 바꾸고 있으며 지구가 한바퀴 자전하는 것을 기준으로 정해지는 ‘시간’의 설정에까지 혼란을 일으키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있다.

미국 CNN 방송 등이 27일(현지시간)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UC샌디에이고) 스크립스 해양학연구소의 지구물리학자 던컨 애그뉴 박사 연구팀이 이날 네이처지에 ‘지구온난화로 연기된 세계 시간 측정의 문제’라는 논문을 발표했다. 극지방에서 녹아내린 빙하가 지구의 자전 속도를 바꾸고 있다는 것이 논문의 핵심 내용이다. 

지구온난화로 터전 잃은 북극곰들이 먹이를 찾아 돌아다니는 모습. EPA연합뉴스
논문은 점점 따뜻해지는 날씨의 영향으로 빙하가 녹아내리며 늘어난 해수가 해류를 타고 남쪽으로 이동해 적도지방의 질량이 극지방보다 커졌고, 이에 따라 지구의 자전 속도가 늦어졌다고 분석했다. 애그뉴 박사는 “빙판 위에서 회전하는 스케이터가 팔을 내리거나 다리를 뻗으면 회전 속도가 느려지고, 팔을 안쪽으로 당기면 더 빠른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면서 최근 지구 자전 속도가 변화하는 원리를 설명했다. 

결과적으로 인간이 초래한 기후변화가 지구의 자전 속도에까지 영향을 미친 셈이다. 미국 NBC방송은 “인류가 통제할 수 없는 것으로 여겨졌던 지구의 자전이라는 요소에 인간의 영향이 작용하고 있는 것을 시사하는 연구결과”라고 평했다.

지구 자전 속도의 변화에 따라 인간이 느끼는 ‘시간’도 변화할 수밖에 없게 됐다. 인류는 오랫동안 지구가 한바퀴 자전하는 것을 24시간으로 정해왔기 때문이다. 다만, 1960년대 이후 기존의 지구 자전을 기반으로 하는 ‘그리니치 표준시(GMT)’ 대신 원자가 에너지를 방출하는 주기를 이용한 원자시계를 기준으로 한 ‘협정표준시(UTC)’가 사용되고 있어 표준시간 자체가 변화하지는 않는다. 

대신 ‘윤초’ 개념의 혼란은 불가피하다. 윤초는 원자시계로 측정된 시간과 지구 자전을 기반으로 측정된 시간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UTC에 더하는 ‘1초’로 1972년 이후 27차례 추가됐다. 최근 지구 외핵의 회전 속도가 느려진 영향 속 지구 자전이 빨라져 2016년 이후 윤초는 추가되지 않고 있으며 2026년부터는 아예 윤초를 빼는 것도 과학계가 고려 중이었는데 극지방 얼음이 녹으며 그 가능성이 3년 정도 늦춰졌다고 애그뉴 박사의 연구팀은 지적했다.

기후변화가 더 심화될 경우 지구 자전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토머스 헤링 MIT 지구물리학 교수는 “많은 이들이 우려하는 것처럼 빙하가 녹는 속도가 더 빨라질수록 지구 자전에 미치는 영향도 더욱 커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서필웅 기자 seoseo@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