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근 전 무료 셔틀버스 확인하세요”…서울 자치구, 시내버스 파업에 운행

김지호 2024. 3. 28. 13:4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 시내버스가 28일 오전 4시부터 운행을 중단한 가운데 서울 자치구가 무료 셔틀버스를 운행하면서 시민 불편 줄이기에 나섰다.
서울 시내버스 노조가 12년 만에 파업에 돌입한 28일 오전 서울 송파구의 한 버스 정류장 전광판에 곧 도착하는 버스가 없음을 알리는 안내문이 표시되고 있다. 연합뉴스
28일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 25개 자치구는 이날부터 지하철 출퇴근을 빠르게 연계하기 위해 무료 셔틀버스를 운행한다. 운행이 중단된 시내버스 노선 중 마을버스가 다니지 않는 지역을 중심으로 주요 거점부터 지하철역까지 민·관차량 400여대를 투입한다.
종로구는 2개 노선에서 버스 6대를 동원해 1일 총 108회를 운행한다. 운행시간은 오전 5시부터 오후 11시까지고 배차간격은 30분이다. 중구는 2개 노선에서 전세버스 10대를 동원해 1일 총 80회를 운행한다. 평일은 오전 6시부터 오후 11시까지 운행하고 주말에는 오전 7시부터 오후 10시까지 운행할 예정이다. 배차간격은 20~30분이다.
자치구 무료 셔틀버스 운행계획. 서울시 제공
서울 용산구는 오전 6시부터 무료 셔틀버스 운행을 시작한다. 평일 오전 6시부터 오후 10시까지, 주말에는 오전 7시부터 오후 9시까지 운영한다. 배차간격은 20~30분이다. 용산구는 지역을 4개 권역으로 나눠 주요 지하철역을 도는 노선을 운영한다. 노선마다 전세버스를 2대씩 1일 총 16대를 투입한다.

성동구는 5개 노선에서 버스 33대를 1일 총 140회 운행한다. 평일에는 오전 6시부터 자정까지 주말에는 오전 7시부터 오후 11시까지 운행한다. 배차간격은 10~20분이다. 광진구는 4개 노선에서 버스 30대를 1일 총 211회 운행한다. 운행시간은 오전 7시부터 오후 8시까지고 출근 시간(오전 7~9시)과 퇴근 시간(오후 5~7시)에 집중배차 한다. 배차간격은 7~10분사이다.

동대문구는 8개 노선에서 전세버스 16대를 운행한다. 노선별로 2대씩이고 1일 총 162회 운행한다. 운행시간은 오전 7시부터 오후 8시까지고 배차간격은 30분이다. 중랑구는 6개 노선에서 버스 21대를 1일 총 195회 운행한다. 평일에는 오전 6시부터 오후 11시까지 운행하고 주말에는 오전 8시부터 오후 10시까지 운행한다. 배차간격은 15~25분이다.
자치구 무료셔틀버스 운행계획. 서울시 제공
성북구는 2개 노선에서 버스 6대를 1일 총 150회 운행한다. 평일에는 오전 6시부터 오후 11시까지 운행하고 주말에는 오전 7시부터 오후 10시까지 운행한다. 배차간격은 10분이다. 강북구는 1개 노선에서 버스 5대를 1일 총 39회 운행한다. 운행시간은 오전 5시부터 자정까지고 배차간격은 20분이다.

도봉구는 5개 노선에서 22대를 1일 총 213회 운행한다. 평일에는 오전 6시부터 오후 11시까지 운행하고 주말에는 오전 7시부터 오후 10시까지 운행한다. 배차간격은 20~30분이다. 노원구는 3개 노선에서 버스 9대를 1일 총 160회 운행한다. 평일 운행시간은 오전 6시부터 오후 10시까지고 주말에는 오전 7시부터 오후 10시까지 운행한다. 배차간격은 15~20분이다.

은평구는 8개 노선에서 버스 28대를 1일 총 332회 운행한다. 운행시간은 오전 5시부터 자정까지고 배차간격은 20~30분이다. 서대문구는 2개 노선에서 버스 6대를 1일 총 60회 운행한다. 운행시간은 평일 오전 6시부터 오후 11시까지고 주말에는 오전 7시부터 오후 10시까지다. 다만 서울여자간호대학교(홍은동) 코스는 운행하지 않는다. 배차시간은 20~30분이다.
자치구 무료 셔틀버스 운행계획. 서울시 제공
마포구는 2개 노선에서 버스 11대를 1일 총 187회 운행한다. 운행시간은 평일 오전 5시부터 자정까지고 주말에는 오전 7시부터 오후 10시까지다. 배차간격은 5~15분이다. 양천구는 오전 6시부터 무료 셔틀버스를 투입했다. 무료 셔틀버스는 총 20대로 파업 당일인 28일부터 파업 종료 시까지 오전 6시에서 오후 11시까지 운행한다. 배차간격은 출·퇴근 시간에는 15~20분 간격이고 그 외 시간에는 30분 간격으로 운행할 예정이다.

강서구는 2개 노선에서 버스 10대를 1일 총 96회 운행한다. 강서구 셔틀버스는 출퇴근 시간에 맞춰 운행될 예정이다. 운행시간은 평일 오전 7~11시와 오후 4~8시다. 배차시간은 8~15분이다. 구로구는 7개 노선에서 버스 18대를 1일 총 270회 운행한다. 운행시간은 평일 오전 5시부터 오후 11시까지고 주말에는 오전 7시부터 오후 10시까지다. 배차간격은 15~25분이다.

금천구는 2개 노선에서 버스 18대를 1일 총 90회 운행한다. 평일에는 오전 5시부터 자정까지 운행하고 주말에는 오전 7시부터 오후 10시까지 운행한다. 배차시간은 10~20분이다. 영등포구는 5개 노선에서 버스 30대를 1일 총 200회 운행한다. 운행시간은 평일 오전 5시부터 오후 11시까지고 주말에는 오전 7시부터 오후 10시까지 운행한다. 배차시간은 10~15분이다.

동작구는 5개 노선에서 버스 46대를 1일 총 232회 운행한다. 운행시간은 평일 오전 6시부터 오후 11시까지고 주말에는 오전 7시부터 오후 10시까지다. 배차간격은 30~50분이다. 관악구는 7개 노선에서 버스 30대를 1일 총 720회 운행한다. 운행시간은 평일 오전 6시부터 오후 10시까지고 주말엔 오전 6시부터 오후 10시까지다. 배차간격은 10분이다.

강남구는 13개 노선에서 버스 21대를 1일 총 240회 운행한다. 운행시간은 평일 오전 6시부터 오후 10시까지고 출퇴근 시간에 집중배차된다. 배차간격은 15~30분사이다. 송파구는 9개 노선 23대를 1일 총 360회 운행한다. 운행시간은 오전 5시30분부터 오후 11시30분까지다. 배차간격은 19~30분이다.

서초구는 버스 총 10대를 6개 노선에서 운행한다. 전체 운행시간은 우면·양재·서초 지역 80분, 내곡 지역 65분 등이다. 강동구는 오전 5시부터 무료 셔틀버스인 비상수송버스(25인승 이상)를 총 35대 투입해 5개의 임시노선을 마련하고 이용자가 지하철역과 원활하게 환승할 수 있게 운행한다.

각 자치구는 버스당 공무원을 배치해 승·하차 지도와 노선 등을 안내할 예정이다. 이어 자치구는 많은 주민이 비상수송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정류소에 셔틀버스 운행 안내문 부착, 안내 문자 발송, 홈페이지 안내 등에 나선다. 자치구별 무료 셔틀버스 운행계획은 해당 주소(https://url.kr/wqluks)로 접속하면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김지호 기자 kimjaw@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