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약 처방 '근골격계 치료' 1위…첩약은 '오적산' 인기

서혜림 2024. 3. 28. 12: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한의원·한방병원에서 가장 인기 있는 첩약은 근골격계 치료에 쓰는 '오적산', 한약방은 '갈근탕'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9월부터 11월까지 한약을 소비하는 한방의료기관(한방병원, 한의원, 요양병원 등) 및 한약 조제·판매기관(약국, 한약방) 3천여곳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한의원과 요양병원 등에서는 근골격계통 처방이 가장 많았고 처방명은 오적산이 1위를 차지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보험·비보험 약제도 근골격계 처방 최다…한약방 감기치료에 '갈근탕' 많아
[보건복지부 제공]

(서울=연합뉴스) 서혜림 기자 = 지난해 한의원·한방병원에서 가장 인기 있는 첩약은 근골격계 치료에 쓰는 '오적산', 한약방은 '갈근탕'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보건복지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2023년 한약 소비 실태조사' 결과를 28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9월부터 11월까지 한약을 소비하는 한방의료기관(한방병원, 한의원, 요양병원 등) 및 한약 조제·판매기관(약국, 한약방) 3천여곳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한약 처방(조제)은 기관명과 보험 여부에 따라 조금씩 달랐지만, 사람들은 공통으로 근골격계통, 호흡기계통 쪽 처방을 선호했다.

우선 첩약의 경우, 한방병원에서는 근골격계통(88.6%)을 가장 많이 처방했으며, 이에 따른 처방명은 오적산(80.3%)이 가장 많았다. 오적산은 근육 관절통에 주로 쓰는 한약이다.

한의원과 요양병원 등도 인기 품목과 처방 분야는 같았다.

약국과 한약방에서는 주로 호흡기계통 관련(48.3%)을 처방했고 이에 따른 처방명은 감기 치료에 주로 쓰는 '갈근탕'이었다.

비보험 한방제제를 살펴보면, 한방병원은 근골격계통 처방이 68.4%로 가장 많았고 이에 따른 처방명은 '당귀수산'(77.6%)이 1위였다. 당귀수산은 어혈을 제거하고 부기를 빼는 한약으로 알려졌다.

한의원과 요양병원 등에서는 근골격계통 처방이 가장 많았고 처방명은 오적산이 1위를 차지했다.

약국과 한약방은 호흡계통(70.6%) 관련 비보험 한약 제제가 가장 많았고, 이 중에서 갈근탕(43.8%)이 주로 처방됐다.

보험 한방제제로는 한방병원의 경우 근골격계통(66.7%), 당귀수산(72.1%)이 가장 많았다.

한의원과 요양 병원 또한 근골격계통 질환 처방이 1위였으며 이에 따른 처방명은 오적산이 모두 1위를 차지했다.

한방병원과 한의원에서는 선호하는 한약 제형은 탕제가 1위였다. 효과가 빠르고 한약재 가감이 편리하다는 이유를 꼽았다.

요양 병원의 경우 환제를 더 선호했는데, 장기 보관에 유리한 점을 이유로 들었다.

서울 경동시장 [촬영 조보희]서울 경동시장 (서울=연합뉴스) 조보희 기자 = 서울 청량리 경동시장. 한약재 전문 상점이 많다 2013.3.6

많이 소비된 한약재는 당귀, 숙지황 등이었다.

기관들은 건강보험 급여 확대 시 우선 적용이 필요한 치료법으로 한방병원과 한의원은 첩약을, 요양병원 등은 한방제제를 꼽았다.

한방병원 진료과목은 한방내과가 98.9%로 가장 많고 한방재활의학과(97.7%), 침구과(97.2%), 한방부인과(95.3%) 순이었다.

한의원 대표자 중 전문의 자격을 가진 비율도 한방내과(68.6%)가 가장 많았다. 그다음으로 침구과(24.8%), 한방부인과(9.6%), 한방부인과(9.6%), 한방재활의학과(5.4%) 순으로 나타났다.

평균 한의사 수는 한방병원은 4.1명, 한의원은 1.2명으로 조사됐다.

sf@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