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외이사 연봉도 삼성이 최고…업종별 '극과 극'

이인준 기자 2024. 3. 28. 11:4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주요 300대 기업에서 활동하는 사외이사의 작년 한해 평균 급여는 5700만원으로 집계됐다.

삼성전자 같은 대기업 이사회의 일원으로 '억대 연봉'을 받는 사외이사도 있지만, 이들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에 그친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가 28일 발표한 '국내 주요 300대 기업의 2023년 사외이사 및 상근 감사 보수 현황 분석'에 따르면, 사외이사 1030명에게 지급한 지난해 연간 보수 총액은 590억9400만원 수준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억대 연봉 사외이사, 12곳…삼성전자 사외이사 최고
패션·고무 등 일부 업종은 2000만~3000만으로 '편차'
"유명인 영입에 적극적…일부 기업 급여 높아지는 추세"


[서울=뉴시스]이인준 기자 = 국내 주요 300대 기업에서 활동하는 사외이사의 작년 한해 평균 급여는 5700만원으로 집계됐다.

삼성전자 같은 대기업 이사회의 일원으로 '억대 연봉'을 받는 사외이사도 있지만, 이들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에 그친다. 업종별 사외이사 급여 편차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가 28일 발표한 '국내 주요 300대 기업의 2023년 사외이사 및 상근 감사 보수 현황 분석'에 따르면, 사외이사 1030명에게 지급한 지난해 연간 보수 총액은 590억9400만원 수준이다.

연간 평균 보수는 5737만원이다. ▲2019년 4880만원 ▲2021년 5410만원 대비 꾸준한 상승 추세다.

지난해 감사위원을 겸하는 사외이사들의 1인당 평균 보수는 6059만원으로, 비(非) 감사위원 사외이사 그룹군 평균 5126만원보다 933만원 높았다. 작년 기준 대기업 300곳에서 활약하는 상근 감사는 96명이다.

같은 대기업 사외이사지만, 대우는 '극과 극'이다.

지난해 억대 연봉을 받는 사외이사의 비율은 6.4%로 조사됐다. 삼성, SK, 현대차, LG, 포스코 등 국내 5대 그룹의 핵심 계열사에 속한 사외이사들에 해당한다.

사외이사의 연봉이 1억원이 넘은 곳은 12개사다. 삼성전자는 국내 기업 중 사외이사 평균 보수가 가장 높다. 지난해 총 6명의 사외이사에게 총 12억원, 1인당 평균 2억300만원을 지급하며 사상 첫 사외이사 보수 2억원 시대를 열었다.

이어 ▲SK텔레콤(1억6360만원) ▲SK이노베이션(1억6120만원) ▲SK하이닉스(1억5510만원) ▲삼성물산(1억4620만원) ▲포스코홀딩스(1억1630만원) ▲현대차(1억1460만원) ▲네이버(1억1130만원) ▲SK가스(1억580만원) ▲LG전자(1억430만원) ▲SK네트웍스(1억360만원) ▲SKC(1억300만 원) 등 순이다.

업종별로는 ▲전자(8197만원) ▲유통·상사(7905만원) ▲석유화학(7370만원) ▲정보통신(6990만원) ▲금융(6948만원) ▲철강(6104만원) ▲자동차(5549만원) 순으로 높았다.

반면 패션 업종에 속한 사외이사들의 평균 급여가 2952만원으로 가장 낮았다. 지난 2019(3029만원)과 2021년(3070만원)보다 더 낮아졌다. 이어 '고무·플라스틱'도 지난해 평균 3712만원으로, 3000만원대 수준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9년(3717만원)과 2021년(3934만원)에도 3000만원대에 머물렀다.

☞공감언론 뉴시스 ijoinon@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