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지인이 불어넣은 숨, 지역민 호응… 공주가 살아났다 [지방기획]

강은선 2024. 3. 27. 21:3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도시재생으로 활력 되찾은 공주시
2014년 시작된 프로젝트 변화의 씨앗
제민천 흐르는 원도심 문화예술촌 조성
하숙촌·박찬호 골목길 등 정체성 입혀
‘루치아의 뜰’ 중심 색다른 가게도 들어서
입소문 퍼지고 관광객 몰리며 도심 ‘생기’
市 “2023년 60년 만에 인구 증가 전환”
대전 곳곳서도 주민들 동네자산화 사업
창조적 마을 조성 등 다양한 변화 모색

언제부터인가 거리가 썰렁해지고 마을 곳곳 집들이 비어가기 시작했다. 불이 꺼진 골목엔 사람 대신 쓰레기만 가득하다. 가로등마저 깜박거리며 생명력을 다했음을 알릴 때, 작은 불이 들어온다. 묵은 잠에서 깨어난 골목이 숨을 쉬기 시작한다. 기지개를 켠 도시는 생기가 돌고 활력이 솟는다. 살아난 골목은 모세혈관처럼 마을을 불 지핀다. 점은 선에서 공간으로 연결된다.

변화는 느리지만 사라지는 속도는 빠르다. 사라짐을 채우는 시간은 꽤 걸릴 듯하다. 동네가 살아나면 도심이 살고, 그것은 이내 도시의 활력이 된다. 누군가 떠난 자리는 채워지고 이로써 도시는 다시 살아나기 마련이다. 이른바 도시재생이다. 소비되는 도시가 아닌 서로 연결되는 커뮤니티 공간으로 재탄생될 여지가 있는 것이다. 백제 고도(古都)였던 도시도 세월을 이길 수는 없었다. 공동체를 구성할 사람이 외지로 떠났기 때문이다. 남아 있는 사람들이 옛 고도를 지켰다. 충남 공주시 이야기다.
지난해 9월 공주시 제민천이 지나는 산성시장문화공원에서 문화재 야행 행사가 열리고 있다. 공주시 제공
◆제민천으로 몰리는 전국 각지의 청년들

공주시 원도심을 샛강이 묵묵히 흐르고 있다. 도심을 동서로 가로지르는 4.2㎞ 길이의 제민천을 중심으로 공주가 살아나고 있다. 제민천 인근을 걷다 보면 근대역사문화 속 현대의 감성을 느끼게 된다. 제민천과 구도심 신작로로 연결되는 이 골목의 동쪽으론 공주군농협과 중동국민학교, 호서극장, 공주양조장 등이 있었고 서쪽길로는 제민천을 건너 공주사범대학, 공주우체국, 공주읍사무소 등이 있었다. 화신백화점과 일본인이 운영하던 여관 등은 세월과 함께 사라졌다.

옛 공주읍사무소는 전시관이 됐고, 옛 여관의 외관을 살린 게스트하우스, 카페, 갤러리, 와인바가 새롭게 하나의 공간을 만들었다. 이곳은 중동·중학동 등의 법정 이름이 있지만 ‘제민천 마을’로 불린다. 제민천을 줄기로 연결된 공간이다.

공주 도시재생 프로젝트가 시작된 건 2014년이다. 공주시는 2018년까지 도시재생 1단계 사업을 진행했다. 공주 원도심인 웅진동·중학동·옥룡동 일원에 100억원을 투입해 공주문화예술촌을 조성하고, 청년창업 활성화 사업에 나섰다. 근대문화골목길, 박찬호골목길, 하숙촌골목길 등 정체성을 입힌 색다른 공간이 조성됐다. 공주시청소년오케스트라를 만들고, 원도심 그림지도를 설치했다.

상가 앞 의자를 설치해 지나가는 주민의 쉼터를 만들었다. 벽과 벽 사이 유휴공간을 활용해 각종 전시나 플리마켓도 열었다. 중동성당~충남역사박물관~영명학교~유관순길 1.6㎞ 구간의 근대문화골목길은 원도심 지역 내 근대역사문화를 콘셉트로 한 골목길과 근대문화저장소이다. 교육도시로서의 옛 하숙문화의 추억을 살린 골목길 조성 하숙촌은 2.5㎞에 이른다.

제민천에 숨을 불어넣은 건 원주민이 아니라 전국 각지에서 공주로 몰려든 외지인이다. 중동 한 골목 끝에 생긴 카페 ‘루치아의뜰’에서 시작된 도시재생은 출신지만큼 각양각색의 가게와 기존 틀을 깬 사업 모델을 도입했다. ‘공주 한달살이’, 책 만드는 것을 직접 볼 수 있는 ‘책공방’ 등이 시선을 모았다. 한옥게스트하우스를 운영하는 퍼즐랩과 지역 갤러리, 북공방 등을 운영하는 이들도 지역주민들의 눈길을 모았다. 이들 외지 청년이 쇠락하는 공주에 활력을 불어넣으니 관광객 등 사람들이 몰리기 시작했다. 지역문화가 형성되다 보니 도시도 살아나기 시작했다.

공주시 관계자는 “전국 초등학교, 지자체 등에서 도시재생 벤치마킹뿐 아니라 워크숍을 하러 공주를 찾아온다”며 “실제 지난해엔 60여년 만에 인구가 증가세로 돌아서는 등 경제적 효과를 보고 있다”고 말했다.
◆주민 힘으로 한계 넘어 창조적 마을 조성

대전지역 곳곳은 지역주민들이 거주하는 주민과 지역 특성을 살려 동네자산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유성구 대학가인 궁동·어은동에 있는 동네 라이프스타일 컴퍼니 ㈜윙윙과 마을관리 사회적협동조합인 대동 하늘마을이 대표적이다.

‘윙윙’은 궁동에 있는 청년공동체 공간 벌집에서 시작했다. 벌집의 벌들이 날아다니는 소리에 날개라는 뜻인 ‘윙윙(wingwing)’을 더해, ‘우리 같이 날아보자’라는 의미에서 지은 이름이다. 이들은 궁동과 어은동이 행정명으로 분리돼 있지만 하나의 공간이라는 점에서 두 동네 모두를 포괄하는 용어로 ‘어궁동’이란 단어를 쓰고 있다. 윙윙은 청년기본조례 제정 등 정책 제안, 문화기획, 공유공간 운영, 로컬브랜드 창업, 지역공동체 활성화, 도시재생 등 지역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변화를 고민하고 있다.

윙윙 공동체원의 출발은 40여팀의 청년창업팀이다. 이어 1000명이 넘는 시민들이 ‘동네자산화’라는 가치에 공감해 1억원 넘게 투자했다. 현재는 어궁동 7개 건물, 20여개 공간에서 20여개의 창업팀이 활동하고 있다. 충남대학교와 카이스트(KAIST)가 있는 대학가이자 대덕특구가 있는 동네 특성상 지역주민을 비롯해 상인과 대학생, 창업가, 대덕특구 연구원 등 다양한 사람이 서로 경계를 넘어 소통하고 협력하는 마을을 만들어가고 있다.

이태호 윙윙 대표는 “로컬크리에이터로서 윙윙은 창조적 에너지가 넘치는 동네 일명 ‘창조권’을 만드는 걸 추구한다”고 단언했다. 이어 “공간과 전문분야 간의 경계가 허물어 창조적 충돌의 가능성과 임팩트를 높이려고 한다”고 포부를 밝혔다.

쇠락하는 마을의 대명사였던 대전 동구 대동은 주민의 힘으로 자립과 도약 밑바탕을 만들어냈다. 언덕이 많은 마을 특성상 도시개발은 더뎠고 밀리게 됐다. 이곳 주민들은 마을을 살리기 위해 손을 맞잡았다. 마을공동체 사업을 운영하면서 자립적으로 마을을 가꾸기 시작했다.

도시재생 대상지역으로 선정되면서 속도가 붙었다. 2021년 대동 주민들은 어엿한 마을관리 협동조합을 설립하고 자립을 위한 사업을 준비 중이다. 오는 4월 개관하는 ‘달빛아트센터’는 협동조합이 주도적으로 진행한 사업이다. 이곳은 마을박물관, 작품전시공간, 라탄 공예 등 각종 교육공간뿐 아니라 마을 카페와 공동작업소, 공유주방, 체육공간 등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공주·대전=강은선 기자 groove@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