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시 예산부족으로 공익활동지원센터 설립 늦어져…“올해도 어려워”

윤현서 기자 2024. 3. 25. 16:24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안양시청 전경. 안양시 제공

 

안양시가 시민들의 욕구 증가와 복잡한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익활동지원센터(지원센터)를 건립하기로 했으나 예산 부족으로 올해 설립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25일 시에 따르면 지원센터를 설립하기 위해 리모델링비와 임차료 등 9억원의 사업비를 요구했지만 예산 부서가 예산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3억원만 편성해 시의회에 제출했다. 시의회는 시가 제출한 3억원의 예산 중 1억원을 삭감해 현재 2억원의 사업비만 확보된 상태다.

지원센터는 공익활동 영역 전반을 의미하는 ‘시민사회’를 지원하는 중간 지원조직으로 시민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제도와 정책 개선 활동, 교육‧훈련을 통한 인재 육성 등 인적·물적 지원을 주관하는 기관이다.

앞서 시는 지난 2022년 10월 시민사회 수요에 따른 공익활동을 펼칠 수 있도록 시민사회 활성화 및 공익활동 증진에 관한 조례안을 제정했다. 이 조례를 근거로 시는 시민사회단체와 행정을 연결하는 공익활동지원센터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지원센터는 상담실과 사무실, 회의실 등이 들어갈 수 있도록 전용면적 330㎡ 안팎, 센터장과 직원 등 종사자 3~4명 등으로 구상하고 있다.

이처럼 관련 조례 제정과 지원센터 규모까지 결정하고도 예산이 확보되지 않아 지원센터를 설립하지 못하자 일부 시민단체는 추경에 예산을 편성해 연내 센터를 설립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지원센터 설립은 시민단체를 지원하기 위한 것인인데 예산이 부족해 설립을 미룬다는 것은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며 “시는 추경에 관련 예산을 편성해 반드시 올해 지원센터를 설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 관계자는 “올해는 정부로부터 받는 교부금 등의 지원이 많이 감소하는 바람에 지원센터의 전체 사업비를 확보하지 못했다”며 “하지만 시민단체가 하루빨리 지원센터를 설립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아 추경에 예산을 요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윤현서 기자 031@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