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무암 삼킨 플라스틱…제주 몸살 났다

박종식 기자 2024. 3. 25. 11:0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제주 제주시 용담로 환경보호단체 '디프다 제주' 사무실은 변수빈 대표와 동료들이 제주 바다에서 주운 쓰레기로 가득했다.

지난해 12월 제주에서 쓰레기 줍기 캠페인을 벌였던 환경운동연합은 "플라스틱 쓰레기가 빠르게 미세 플라스틱으로 바뀌고 있다"며 "해양 쓰레기 예방과 수거 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고 밝혔다.

돌, 바람, 여자가 많아 삼다도라 불렸던 제주가 미래의 어느 날 플라스틱 쓰레기가 더해져, 사다도라 불릴지 모를 일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 순간 코멘터리 제주 해양 쓰레기
불에 타 녹은 플라스틱이 제주 현무암에 붙어 만들어진 ‘짝퉁’ 돌.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이게 돌이 아니라 플라스틱이라고요?”

제주 제주시 용담로 환경보호단체 ‘디프다 제주’ 사무실은 변수빈 대표와 동료들이 제주 바다에서 주운 쓰레기로 가득했다. 북한제 링거액 주머니, 중국산 영양제 통, 88올림픽 기념 팽이 등 온갖 쓰레기 사이에 눈에 띄는 물체가 보였다. 겉보기에 영락없는 돌이었지만, 변형된 플라스틱이었다. “이건 불에 타 녹은 플라스틱이 돌에 붙어 만들어진 거예요.” 변 대표가 여러 돌 중 제주 현무암에 붙어 만들어진 ‘짝퉁’ 돌을 들어 보였다. 마치 플라스틱이 돌을 삼키고 있는 모양새였다.

제주 바다에서 수거 한 88올림픽 기념 팽이. 박종식 기자
북한에서 생산된 링거액 주머니. 박종식 기자
제주 바다에서 수거한 중국제 영양제 통. 박종식 기자

2014년 캐나다 지질학자들은 미국 하와이 남동쪽 카밀로 해변에서 플라스틱과 화산암, 모래, 조개껍데기 등이 한데 뒤엉킨 덩어리를 찾아 새로운 유형의 지질학적 물질이라는 의미로 ‘플라스티글로머레이트’(plastiglomerate)라는 이름을 붙였다. 전문가들은 이런 ‘플라스틱 돌덩이’가 인간 활동으로 지구 지질이 변화하는 ‘인류세’(Anthropocene)를 상징하는 지표석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인류세는 인류 문명의 발전을 추구하는 인간 활동이 지구의 토양과 바다, 대기에 큰 영향을 끼쳐 새로운 지질 시대를 만들어가고 있다는 뜻이다. 지난 2월 국제지질학연합은 인류세를 채택하지 않기로 최종적으로 결정했지만 학계에선 여전히 현대 문명의 이면을 상징하는 용어로 받아들이고 있다.

1984년 출시됐던 럭키 나너 린스 통. 박종식 기자
30여 년 전 단종된 한일소주. 박종식 기자
1977년 출시된 해태 맛기차 청포맛 포장지. 박종식 기자

몇몇 전문가만의 관심사였던 플라스틱 돌들이 이제 한반도 주변 바다에서도 발견되고 있다. 2021년 기준 제주 바다에서 수거된 쓰레기는 2만2082톤으로 2019년(1만2308톤)보다 1만톤 가까이 늘었다. 쓰레기 중 가장 많은 것이 플라스틱이었다. 지난해 12월 제주에서 쓰레기 줍기 캠페인을 벌였던 환경운동연합은 “플라스틱 쓰레기가 빠르게 미세 플라스틱으로 바뀌고 있다”며 “해양 쓰레기 예방과 수거 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고 밝혔다. 유엔환경계획은 1950년 200만톤이던 플라스틱 폐기물이 2017년 3억4800만톤으로 늘었고 2040년에는 두배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

제주 비양도에서 디프다 제주 회원들과 시민들이 쓰레기를 수거하고 있다. 박종식 기자

돌, 바람, 여자가 많아 삼다도라 불렸던 제주가 미래의 어느 날 플라스틱 쓰레기가 더해져, 사다도라 불릴지 모를 일이다.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Copyright © 한겨레.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