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노후를 위한 노인복지 정책은?

2024. 3. 25. 10:5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나엘 앵커>

지난 21일, '건강하고 행복한 노후'를 주제로 22번째 민생토론회가 진행됐습니다.

노인 인구 1,000만 명 시대에 맞춰 정부가 다양한 노인복지 정책을 발표했는데요.

자세한 내용, 서울 스튜디오에 나와 있는 보건복지부 이기일 제1차관과 이야기 나눠봅니다.

안녕하세요.

(출연: 이기일 / 보건복지부 제1차관)

이나엘 앵커>

'초고령사회' 진입이 눈앞으로 다가오면서 어떻게 하면 건강하고 행복한 노후를 보낼 수 있을지 걱정하는 국민들이 많습니다.

우선, 지난 21일 진행된 민생토론회에서 주로 어떤 내용을 논의했나요?

이나엘 앵커>

내년이면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20% 이상이 고령층인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전망인 만큼, 우리나라의 고령화 진행 속도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것 같은데요.

초고령사회는 지금과 무엇이 달라질까요?

이나엘 앵커>

그렇다면 지금부터 민생토론회에서 논의된 다양한 정책 중 우선 어르신께서 건강하실 때 혜택 받으실 수 있는 정책에 대해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복지부과 통계청이 내놓은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노인빈곤율은 OECD국가 중 최고 수준으로, 기본적인 식사조차 해결하기 어려운 노인들이 많은데요.

이들을 위한 대책은 무엇이 있을까요?

이나엘 앵커>

작년 말이었죠, 폐지수집 노인 대책을 발표하면서 전수조사 계획을 말씀하셨는데요.

추가 대책이 있나요?

이나엘 앵커>

건강한 삶을 위해서는 노년에도 꾸준한 운동, 체육 활동이 중요한데 활성화 방안이 있을까요?

이나엘 앵커>

요즘 식당이나 카페에 가보면 키오스크가 없는 매장을 찾는 게 어려울 정도로 보편화 되어 있는데요.

이처럼 키오스크, 스마트폰 등으로 인해 어르신이 사용에 어려움을 겪고 소외되는 현상이 우려가 되는데 이에 관한 대책도 포함되어 있을까요?

이나엘 앵커>

행복한 노후 못지않게 건강한 노후도 중요할 텐데요.

다음으로는 어르신께서 편찮으실 때 어떤 지원 받으실 수 있을지 살펴보겠습니다.

사실 어르신들께서 시설보다는 집에서 노후를 보내고 싶어 하실 텐데요.

이러한 'aging in place'를 지원하기 위한 대책도 마련했다고요?

이나엘 앵커>

한편으로 불가피하게 요양시설에 보내는 경우에도 가족들의 걱정이 클 텐데요.

요양시설 서비스와 관련된 문제가 여러 차례 지적됐기 때문인데요.

이 부분, 대책이 있을까요?

이나엘 앵커>

지금까지 보건복지부 이기일 제1차관과 이야기 나눴습니다.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K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