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 “노트북 50만대 규모 연산 1초 만에 뚝딱”… NHN클라우드 ‘국가 AI 데이터센터’ 가보니

광주광역시=김송이 기자 2024. 3. 25. 09: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 21일 광주광역시 북구 오룡동에 위치한 NHN클라우드의 국가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8.8kW의 전력 밀도를 가진 전산실 1의 용량까지 합하면 국가 AI 데이터센터의 총 IT 용량은 3.2MW다.

김동훈 NHN클라우드 대표는 "국가 AI 데이터센터는 AI 중심으로 구축하기 위해 GPU를 전기, 건축, 공조, 설비 등 모든 분야에 반영했다"면서 "데이터센터 설계 단계부터 AI 인프라를 반영한 것은 NHN클라우드가 유일하다"고 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엔비디아 H100 1000여대 갖춰… 국내 클라우드서비스 중 최대
연산능력 88.5PF·저장 용량 107PB… 1TB 하드디스크 10만7000개 규모
랙당 전력밀도, 일반 데이터센터 3배인 15kW
WCU 등 고효율 냉방시스템 도입… 서버 열기 신속하게 식혀

지난 21일 광주광역시 북구 오룡동에 위치한 NHN클라우드의 국가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아파트 3층 높이(7.5m)의 전산실에 들어가자 대화를 주고받기 힘들 정도의 굉음이 들렸다. 전산실 내 총 260개 선반에 촘촘히 꽂혀 있는 엔비디아 그래픽처리장치(GPU) 기반 서버에서 나오는 열기를 식히기 위해 팬이 돌아가고 있었기 때문이다.

NHN클라우드의 국가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전산실./NHN클라우드 제공

국가 AI 데이터센터는 글로벌 상위권 수준의 초고사양 컴퓨팅 자원을 도입했다. 컴퓨팅 연산능력 88.5페타플롭스(PF), 저장 용량 107페타바이트(PB) 규모의 인프라를 갖췄는데, 88.5PF는 업무용 노트북 약 50만대 규모의 연산 처리를 1초 만에 수행 가능한 수준이다. 저장 용량 107PB는 1테라바이트(TB) 하드디스크 10만7000개에 해당한다.

특히 현존 최고 사양의 상용 GPU로 평가받는 엔비디아 H100를 약 1000개 확보했다. 국내 클라우드서비스제공사(CSP) 중 최대 규모다. 회사 측은 AI 기술 연구개발(R&D)에 최적화한 첨단 인프라를 조성하기 위해 엔비디아 H100을 탑재했다고 설명했다. 이 센터는 작년 10월 개소 후 반년도 채 되지 않아 서울대 산학협력단, 파수, 티맥스AI 등 470여개 기업·기관을 고객으로 확보했다.

NHN클라우드는 지난 2021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광주광역시가 추진하는 ‘인공지능 중심 산업융합 집적단지 조성 사업’의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 및 운영 사업자로 선정됐다. 이후 2년이 넘는 건설 과정을 거쳐 작년 4월 데이터센터 건물 사용 승인 후 인프라·장비를 설치하고 문을 열었다.

AI 특화 데이터센터를 만들겠다는 NHN클라우드의 고심을 곳곳에서 느낄 수 있었다. 전산실 2의 서버랙(Rack) 당 전력 밀도는 15kW로, 일반 데이터센터(4.8kW)의 3배 이상이다. 이는 에어컨 9대와 TV 98대를 동시에 가동할 수 있는 전력 수준이다. 8.8kW의 전력 밀도를 가진 전산실 1의 용량까지 합하면 국가 AI 데이터센터의 총 IT 용량은 3.2MW다.

국가 AI 데이터센터 옥상에 설치된 공랭식 프리쿨링 냉동기./NHN클라우드 제공

국가 AI 데이터센터에는 고효율 냉방시스템이 도입됐다. WCU(Wall type cooling unit)가 대표적이다. WCU는 양방향에서 찬 공기를 동시에 공급, 서버에서 배출되는 열기를 빠르게 식힌다. 또 장비에서 배출되는 더운 공기와 냉각을 위해 공급되는 차가운 공기의 흐름을 분리하는 컨테인먼트를 적용해 전산실에 드나드는 공기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이날 찾은 데이터센터 옥상에서는 공랭식 프리쿨링 냉동기를 볼 수 있었다. 프리쿨링 냉동이란 냉수를 바깥 공기와 간접적으로 열교환을 한 후 냉각에 사용하는 것인데, 이 데이터센터에 설치된 냉동기는 바깥 공기 온도가 5℃ 이하일 때는 100% 프리쿨링으로 가동돼 일반 장비 대비 에너지를 약 20% 저감한다. 물의 증발잠열을 이용해 냉방을 돕는 기술도 적용됐다.

재난·재해 상황에서도 데이터센터 운영이 가능하도록 티어(Tier)3 등급의 설비를 갖췄다. 티어3은 4단계로 이뤄진 데이터센터 등급 표준규격 중 3단계로 설비 이중화 등으로 무중단 유지보수가 가능한 상태를 말한다. 국가 AI 데이터센터의 경우 정전이 될 경우 15분까지는 무정전전원장치(UPS)로 가동되고, 정전 상태가 15분이 넘어가면 비상발전기를 통해 최소 27시간 가동이 가능하다.

김동훈 NHN클라우드 대표는 “국가 AI 데이터센터는 AI 중심으로 구축하기 위해 GPU를 전기, 건축, 공조, 설비 등 모든 분야에 반영했다”면서 “데이터센터 설계 단계부터 AI 인프라를 반영한 것은 NHN클라우드가 유일하다”고 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