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으로 대박" 서점엔 재테크 책 가득…일본 8800조원 움직일까

윤세미 기자 2024. 3. 25. 06: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일본은 저축을 좋아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일본은행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가계가 보유한 현금과 저축액은 1000조엔(약 8800조원)이 넘는 것으로 집계된다.

일본은 가계 금융자산 가운데 저축이 52.6%를 차지할 정도로 투자에 보수적이다.

1990년대 초 버블 붕괴 후 자산 가치 폭락을 경험한 일본인들은 자산을 지키기 위해선 저축만 한 게 없다는 생각을 갖게 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일본은 저축을 좋아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버블 붕괴에 따른 트라우마와 오랫동안 이어진 경기 불황 속에 자산을 지키는 방법으로 투자 대신 안전한 저축을 택했기 때문이다. 일본 가계 저축액은 약 8800조원에 이른다. 그러나 이제 일본이 디플레이션 수렁에서 벗어나면서 일본인들의 보수적 투자 관점도 변화해 증시 등에 자극이 될 수 있단 관측이 나온다.

/AFPBBNews=뉴스1

일본은행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가계가 보유한 현금과 저축액은 1000조엔(약 8800조원)이 넘는 것으로 집계된다. 달러로 환산하면 약 7조달러로 독일과 영국의 연간 국내총생산(GDP)을 합친 수준이다.

일본은 가계 금융자산 가운데 저축이 52.6%를 차지할 정도로 투자에 보수적이다. 이는 미국(12.6%), 유로존(35.5%)과 큰 차이다. 1990년대 초 버블 붕괴 후 자산 가치 폭락을 경험한 일본인들은 자산을 지키기 위해선 저축만 한 게 없다는 생각을 갖게 됐다. 경제 호황을 경험한 적 없는 젊은 세대 역시 소비나 투자보단 저축을 선호한다.

하지만 이제 인플레이션 시대로 이동하면서 일본인들의 투자에도 변화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일본은행에 따르면 주가 상승과 맞물려 지난해 일본 가계가 보유한 주식과 채권 가치는 2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현금 저축은 1% 증가에 그쳤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최근 일본 서점엔 금융 지식과 투자 방법을 안내하는 책들로 가득하다고 전했다.

일본 닛케이225지수 추이/그래픽=최헌정

인베스코자산운용의 토모 기노시타 글로벌 시장 전략가는 "시장 급등으로 많은 가계가 상당한 자본 이득을 맛보면서 투자에 대한 관점이 점점 바뀌고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가계가 정부 정책에 응답한다면 시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본다. 자산운용사 얼라이언스번스타인은 가계 저축액의 2%만 증시로 이동해도 규모가 1400억달러(약 187조원)에 달한다며 시장이 반응하기에 충분하다고 봤다. 지난해 외국인 투자자들은 그 절반에도 못 미치는 자금으로도 일본 증시 랠리를 촉발했단 설명이다.

일본 정부도 시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개인 투자자들을 증시로 유인하는 데 적극적이다. 올해 1월부터 '소액투자 비과세제도'(NISA)를 대폭 확대하면서 비과세 기간을 평생으로 연장했고, 연간 납입 한도액을 120만엔에서 360만엔으로, 누적 한도를 600만엔에서 1800만엔까지 각각 3배씩 늘렸다.

일본을 방문한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인 블랙록의 래리 핑크 회장 역시 21일 니혼게이자이 인터뷰에서 "일본 경제는 본격적인 선순환에 들어섰다. 일본 주식은 여전히 상승 여지가 있다"면서 특히 "NISA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여전히 일본 경제와 기업에 대한 뿌리 깊은 불신은 극복할 과제다. 여전히 일본의 임금 인상률은 인플레이션을 따라잡지 못하면서 가계 재정에 부담을 주고 있다. 일본의 1월 실질 임금은 전년 대비 0.6% 감소해 22개월째 마이너스 행진을 이어갔다. 마이니치신문의 최신 조사에서 응답자 87%는 경제가 좋아지고 있음을 체감하지 못한다고 답했다. 이번 봄 임금협상에서 대기업들이 평균 5% 넘는 인상률로 급여를 올려 변화의 조짐도 인다.

윤세미 기자 spring3@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