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지피티가 쓴 자소서, 기업 65.4% “불이익 줄 것”

박태우 기자 2024. 3. 24. 13:5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겨레 뉴스레터 H:730 구독하기.

매출액 500대기업 가운데 10곳 중 6곳은 '챗지피티 자소서'에 불이익을 줄 것이라는 설문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기업들 73%는 자소서 작성 과정에 챗지피티를 사용하는지를 판별하지 않고 있었다.

기업들은 챗지피티로 인해 '자소서 선별 역량을 강화'(51.1%)하거나, '자소서 외 다른 전형이 강화'(41.0%)할 것이라고 답변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고용노동부 ‘기업 채용동향조사’
73% “챗지피티 작성여부 판별 안해”
클립아트코리아

☞한겨레 뉴스레터 H:730 구독하기. 검색창에 ‘h:730’을 쳐보세요.

챗지피티(ChatGPT) 등 생성형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채용을 위한 자기소개서를 작성하면 어떻게 될까. 챗지피티 자소서를 받아든 채용담당자는 ‘기술 변화를 활용해 긍정적’이라고 생각할까, ‘창의성이 없어서 부정적’이라고 생각할까. 매출액 500대기업 가운데 10곳 중 6곳은 ‘챗지피티 자소서’에 불이익을 줄 것이라는 설문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24일 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은 매출액 500대 기업(315곳 응답)을 대상으로 지난해 11~12월 진행한 ‘2023년 하반기 기업채용 동향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결과를 보면, 챗지피티를 활용한 자소서에 대한 인식을 물었더니 “독창성과 창의성이 없어서 부정적”이라고 답한 기업이 64.1%로, “기술변화를 활용해 긍정적”이라고 답한 13.7%보다 압도적으로 높았다. 채용에 영향이 없다고 답한 곳은 22.2%였다.

기업들 73%는 자소서 작성 과정에 챗지피티를 사용하는지를 판별하지 않고 있었다. 그러나 활용이 확인되면, 해당 전형에서 감점(42.2%)하거나 불합격 처리(23.2%)하는 등 불이익을 줄 것이라는 기업이 ‘영향 없다’(34.6%)고 한 기업보다 많았다. 기업들은 챗지피티로 인해 ‘자소서 선별 역량을 강화’(51.1%)하거나, ‘자소서 외 다른 전형이 강화’(41.0%)할 것이라고 답변했다.

한편, 채용방식으로 정기공채만 운영하는 기업은 단 1%에 불과할 정도로 수시채용이 보편화되는 가운데, 채용전형에서 가장 중요한 전형은 서류(7.3%), 필기(0.6%)보다는 면접(92.1%)으로, 면접을 통해 직무능력을 중점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이 채용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기준은 직무 관련 일경험(35.6%) 직무역량(27.3%), 전공지식(22.5%) 순으로 나타났다. 기업에 도움이 되는 취업지원서비스 역시 일경험 기회 제공(76.2%)으로, 멘토링 등 취업특강(52.7%), 직무별 맞춤 교육훈련(51.4%) 등보다 높았다. 기업이 원하는 채용을 위한 ‘일경험’은 3~6개월짜리 장기인턴십(74.0%), 기업수행 프로젝트 참여(68.9%) 등으로 나타났다.

박태우 기자 ehot@hani.co.kr

Copyright © 한겨레.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