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 장애인·탈북민 이름으로…아파트 특공 받아 불법 전매한 일당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장애인과 탈북자 명의를 빌려 특별공급 분양권을 확보한 뒤 이를 불법 전매한 일당에게 집행유예와 벌금형이 선고됐다.
차씨 등은 2018년 광주 동구와 전남 화순군 등에서 분양하는 아파트 분양권을 장애인과 북한이탈주민 11명의 명의를 도용해 특별공급을 받은 후 전매 제한 기간 수천만원의 웃돈을 받고 되판 혐의로 기소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2일 법조계에 따르면 광주지법 형사11단독(김성준 부장판사)은 이날 주택법 위반, 공인중개사법 위반 등 혐의로 기소된 특별공급 분양권 전매알선 조직 총책 차모씨(62) 등 3명에게 징역 6개월~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명의를 빌려준 장애인과 북한이탈주민, 명의대여자 모집책과 불법 전매 중개 부동산업자 등 18명에게는 벌금 70만~300만원을 선고했다.
차씨 등은 2018년 광주 동구와 전남 화순군 등에서 분양하는 아파트 분양권을 장애인과 북한이탈주민 11명의 명의를 도용해 특별공급을 받은 후 전매 제한 기간 수천만원의 웃돈을 받고 되판 혐의로 기소됐다.
모집책 3명은 특별공급을 받을 수 있는 청약통장 소유 장애인과 탈북자들에게 접근해 수백만 원의 수수료를 지급하고 특별공급 청약 신청 서류를 받았다. 이런 식으로 확보한 분양권을 6개월 전매가 제한된 기간에도 다른 브로커와 부동산중개업자를 통해 수천만원의 웃돈을 받고 팔았다.
명의를 제공한 장애인들은 대부분 중증장애인이었고, 북한이탈주민 역시 특별공급 자격을 갖췄다. 하지만 경제적 사정으로 청약 신청을 할 수 없는 처지였다.
차씨 등은 장애인, 국가유공자, 탈북자 등을 대상으로 한 기관추천 특별공급 분양의 경우 분양권 당첨 확률이 높다는 점을 악용해 분양권 전매로 차익을 얻기 위해 범행을 사전 공모한 것으로 드러났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단독] “국회의원 아내가 구의원 법카로 밥먹었다”...혹시 또 초밥? - 매일경제
- “소비자 기만했다”…곧바로 사과했는데 검찰에 넘겨진 조민, 왜? - 매일경제
- “아파트값 하락 멈춘 곳 어디?”…슬슬 힘 실리는 ‘집값 바닥론’ - 매일경제
- “여보, 우리도 여기 돈 넣을까”…이틀새 2700억원 몰렸다지만 - 매일경제
- “내가 서울 왜 떠나는 줄 알아?”…탈서울 10만명, 눈물흘린 까닭 - 매일경제
- “꿈의 열차 탈 직장인 설렐까”…지하철 가격으로 탈 수 있다는데 - 매일경제
- “정부는 의사 이길 수 없다”더니…이번엔 “죽어가는 건 국민들” - 매일경제
- 현대로템 K2 전차 18대 폴란드 도착…“신속 출고로 현지 호평” - 매일경제
- "1조 투자 유치할 것 … 안 되면 물러난다" - 매일경제
- “그만할 것 같았다. 진짜” 손흥민, 탁구게이트에 은퇴까지 진지하게 고려했었다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