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5회_황사 전망과 화재 예방대책

2024. 3. 22. 06:0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Q. 황사 현상 원인은? 건조지역 흙먼지가 강한 바람 타고 이동하는 현상 국내에 영향 미치는 발원지는 내몽골고원·고비사막 저기압 통과 후 하강기류에 의해 황사 떨어져

Q. 황사와 미세먼지 차이는? 황사는 주로 토양의 칼륨·철분 등으로 구성 미세먼지는 화석연료 연소로 인한 오염물질로 구성 황사와 미세먼지 발원지·원인·성분에 따라 차이 나

Q. 황사 발생 시 대응은? 기상청 전국 30곳에서 황사 관측소 운영해 감시 황사의 강도와 예상 지속시간 따라 황사특보 발표 미세먼지 농도 800㎍/㎥ 지속 예상 땐 황사 경보 발령

Q. 국내 황사 일수는? 2010년 이후 황사 발생일 연 평균 6.3일 관측돼 2023년 11.6일 발생·역대 두 번째로 많이 관측 황사 발원지와 가까운 지역에서 더 많이 관측돼

Q. 황사 대처요령은? 기상청 날씨누리 통해 대기질 정보 수시로 확인 외출할 때는 보건용 마스크 착용해야 황사 심할 땐 귀가 후 손과 얼굴 깨끗이 씻어야

Q. 날씨와 황사 전망은? 올 봄 평년보다 따뜻하고 강수량 많을 전망 황사 발원지 메말라 대규모 모래폭풍 발생할 수도 미세먼지와 황사 예년보다 심해 대기질 악화할 듯

Q. 봄철 건설현장 화재 주의해야? 소방청 건설현장 대상 화재안전관리 실시 가연성 물질·위험물 많아 화재 위험성 높아 피난구·소방시설 충분히 확보되지 않아 대피 어려워

Q. 건설현장 화재 피해 상황은? 최근 5년 동안 건설현장 화재 총 3790건 발생 건설현장 화재로 56명 사망하고 279명 부상 부주의·전기적 요인·기계적 요인 때문에 발생

Q. 봄철 건설현장 화재 예방대책은? 건설현장 내 무허가 위험물 사용여부 점검 실시 용접작업 땐 불티 발생·소화기와 방화포 비치해야 연면적 1만㎡ 건설현장 대상으로 화재안전 점검 실시

Q. 원룸·빌라 밀집 지역 화재 주의해야? 좁은 골목과 주차된 차량으로 소방차 진입 어려워 최근 10년간 연평균 주택화재 건수 7647건 발생 화재 발생 시 초기 진압 위한 소화기 설치해야

Q. 주택용 소방시설 종류는? 가정용 소화기 세대별로 1개 이상씩 설치해야 정해진 구획마다 단독 경보형 감지기 1개씩 설치해야 2020년 기준 전국 주택용 소방시설 설치율 35.4%

Copyright © MB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