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주 만에 상승 전환’ 서초... 신고가 거래 이어져

박지윤 기자 2024. 3. 21. 17:4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 서초구 아파트값이 15주 만에 상승 전환에 성공했다.

그러면서 "이들은 10년 이상의 장기적인 관점에서 부동산 시장을 본다. 미국 금리 인하, 서울 아파트 공급 부족 등으로 가격이 계속 상승할 것이라고 보는 것"이라며 "서초에서 20억원이 넘는 아파트들은 매물 자체도 많지 않고 수억원의 웃돈을 줘야만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초롯데캐슬프레지던트, 7억원 ↑
래미안서초에스티지, 14.5억↑
롯데칠성 부지 개발 가시화에 “자산가들 투자”

서울 서초구 아파트값이 15주 만에 상승 전환에 성공했다. 아파트 신고가 거래도 이어지고 있다.

17일 오후 3시 서울 서초구 서초동 롯데칠성음료 부지 전경. /박지윤 기자

21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서울 서초구 서초동 ‘서초롯데캐슬프레지던트’는 지난 1일 전용 119㎡(22층)이 28억원에 거래돼 신고가를 갱신했다. 4년 전 같은 면적(16층) 전고가(21억원)와 비교하면 7억원 상승한 가격이다.

서초동 ‘아크로비스타’ 역시 신고가를 갈아 치웠다. 지난달 26일 전용 138㎡(24층)이 26억6000만원에 매매 거래됐다. 지난해 9월 같은 면적(21층)이 26억5000만원에 팔렸는데, 이보다 1000만원 올랐다.

‘래미안서초에스티지’도 지난달 21일 전용 139㎡(12층)이 34억원에 팔렸다. 전고가 대비 14억원 이상 거래 가격이 뛰었다. 이는 6년 전 같은 면적(15층)보다 14억5000만원 상승한 금액이다.

서초구는 이번 주(18일 기준) 0.01% 상승하면서 15주 만에 오름세로 돌아섰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초구는 지난해 11월 넷째주(27일 기준)부터 올해 2월 넷째주(26일 기준)까지 14주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이후 이달 첫째주(4일 기준) 보합으로 돌아섰다가 지난주(11일 기준) 0.01% 떨어졌는데. 이번주 다시 0.01% 올라갔다.

전문가들은 최근 서초 롯데칠성음료부지 개발사업이 가시화하면서 고액 자산가들사이에서 투자 가치가 높은 랜드마크 단지를 선점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현금성 자산이 많은 고액 자산가들은 고가 아파트 수요가 더 커질 것으로 보고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미국 금리 인하, 아파트 공급 부족 등으로 가격이 오를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개발업계 관계자는 “최근 서울 강남 노른자위 땅으로 꼽히는 롯데칠성음료부지 개발사업이 곧 본격화될 것이라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며 “서초역에서 교대역, 강남역으로 이어지는 4만3438㎡ 규모 부지가 개발되면 인근에 위치한 아파트값은 지금보다 올라갈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지난해 서초를 비롯한 강남3구(강남·송파·서초)와 마·용·성(마포·용산·성동) 등 한강변 아파트들은 노·도·강(노원·도봉·강북)에 비해 가격 하락 폭이 적었다.

윤지해 부동산R114 팀장은 “올해 현금이 많은 고액 자산가들은 금리 인상으로 오히려 자산이 늘어났다”며 “자산가들 입장에서 보면 강남3구와 마·용·성 아파트를 대체할 만한 게 딱히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들은 10년 이상의 장기적인 관점에서 부동산 시장을 본다. 미국 금리 인하, 서울 아파트 공급 부족 등으로 가격이 계속 상승할 것이라고 보는 것”이라며 “서초에서 20억원이 넘는 아파트들은 매물 자체도 많지 않고 수억원의 웃돈을 줘야만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