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밀단편에 이어 한식 브랜드 또 선보일 것”…교촌, K1 핫소스에 이어 한식으로 확장

안병준 기자(anbuju@mk.co.kr) 2024. 3. 21. 14:1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교촌이 만든 ‘찐 한식’ 요리 ‘메밀단편’ 첫 선
국산 100% 순메밀가루로 매일 아침 면 뽑아
1++등급의 한우와 닭으로 육수 우려내고
3대째 기름집의 들기름·무형문화재 방짜유기 사용
프리미엄 전통주 ‘은하수 막걸리’도 인기
메밀단편 반상과 은하수막걸리
“교촌이 치킨을 넘어 ‘K1 핫소스’ 등 소스와 한식으로 확장하고 있습니다. 메밀단편에 이어 기발한 한식 브랜드도 준비하고 있고 곧 보여드릴 수 있을 것입니다”

송원엽 교촌에프앤비 글로벌미주·신사업부문 혁신리더는 21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에 소재한 메밀단편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교촌그룹은 외식에 한정하지 않고 글로벌 종합식품기업으로 도약하려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교촌에프앤비는 2년여 동안 공을 들여 메밀단편 메뉴를 개발해 지난달 초 브랜드를 출시했다. 한국적이고 토속적인 식재료인 메밀과 들기름, 한우 등 명품 재료들로 근사한 한 끼를 제공하겠다는 권원강 교촌에프앤비 회장의 뜻이 반영됐다는 후문이다.

송 혁신리더는 “가장 한국적인 재료로 장인의 가치를 담을 수 있는 브랜드를 고민해왔다”면서 “식자재부터 우리만의 그릇까지 찾아다니며 최고의 조합을 찾았다”고 말했다.

메밀단편은 밀가루나 전분을 첨가하지 않은 강원도 봉평의 국내산 함량 100% 순메밀가루로 매일 아침 메밀면을 뽑는다. 메밀은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라, 보릿고개를 넘길 수 있는 서민들의 귀중한 식재료였지만 투박하고 거친 탓에 옛 문헌에는 많이 기록되어 있지 않다.

육수는 1++등급의 한우와 닭으로 만들며, 들기름은 파주에서 3대째 운영 중인 마정기름집에서 받아 사용한다. 매장에서 사용하는 식기 또한 무형문화재 명예보유자 이봉주 장인이 직접 만든 방짜유기를 공수해 왔다.

송 혁신리더는 “당분간 가맹사업보다는 직영점을 통해 고객들이 드실 수 있게 할 것”이라면서 “백화점과 오피스 상권 중심으로 추가 매장을 낼 것”이라고 밝혔다.

메밀단편 여의도점은 고객들의 재방문율이 40%를 웃돌 정도로 방문 고객들의 만족도가 높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해외 진출에 대해서도 자신감을 드러냈다.

송 혁신리더는 “미국 뉴욕 스타 셰프가 왔다 갔는데 미국에도 매장을 내야 한다는 얘기를 들었다”면서 “식재료 확보 등 미국 상황에 맞게 조정한 다음 진출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이어 “독특하고 기발한 한식브랜드를 내놓을 계획이며 해외 브랜드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21일 메밀단편 여의도점에서 송원엽 교촌에프앤비 글로벌미주·신사업부문 혁신리더가 메밀단편을 설명하고 있다.
메밀단편의 대표메뉴인 ‘메밀면’은 100% 국내산 메밀로 만들어 가장 자랑스럽게 내세울 수 있는 메뉴로 꼽힌다. 메밀에는 글루텐 성분이 없어 면을 뽑으면 식감이 거칠고 면이 뚝뚝 끊어지기 쉬운데, 이를 개선하기 위해 메밀 알곡의 60%를 차지하는 겉껍질을 모두 벗겨내 곱게 갈고 미량의 소금으로만 반죽·숙성, 주문 즉시 면을 뽑아 내고 있다.

사이드 메뉴 중 ‘수제 곤드레 전병’의 경우 매일 20개만 한정 판매하는데, 20개 제품에 10kg에 달하는 배추를 사용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수분을 짜내 4분의 1로 압축한 배추와 곤드레, 돼지고기, 파, 청양고추 등을 메밀 전으로 감싸 담백한 맛이 일품이다.

음식과 곁들일 전통주에도 힘을 썼다. 메밀단편에서 판매 중인 ‘은하수 막걸리’ 2종은 교촌의 관계사 ‘발효공방 1991’에서 만든 전통주로, 아이스 버킷에 담아 전용 잔과 함께 내놓으며 이색적인 재미요소를 선사한다.

‘은하수 막걸리’는 경상북도에서 해발고도가 가장 높은 영양군에 위치한 100년 전통의 양조장에서 만들어진 ‘감향주(甘香酒)’를 현대화한 전통주이다. 천혜의 자연환경을 고스란히 담고자 물, 쌀, 누룩 외에 어떠한 첨가물도 사용하지 않았다는 점이 특징이다.

달고 향기로운 술이라는 뜻의 ‘감향주’는 1670년경 장계향 선생이 집필한 ‘음식디미방(飮食知味方·음식지미방)’에 소개된 바 있다. 찹쌀과 누룩을 아낌없이 사용하고 물을 거의 넣지 않아 수저로 떠먹는 되직한 막걸리로, 쌀이 귀하던 시절 양반들만 먹을 수 있던 고급 막걸리였다.

‘발효공방 1991’은 장계향 선생의 후손인 13대 종부 조귀분 명사로부터 한국 고유의 전통주인 감향주 양조법을 직접 전수 받아 현대화해 은하수 막걸리를 선보였다. 옛 것을 익혀 새로운 것을 만드는 ‘법고창신(法古創新)’의 정신으로 태어난 프리미엄 막걸리인 셈이다.

‘은하수 6도 막걸리’는 깔끔한 청량감으로 기름진 음식과 조화롭게 어울려 메밀단편의 ‘닭불고기’와 ‘수제 곤드레 전병’ 등과 잘 어울린다.

저녁 메뉴로는 부드럽게 삶은 1++ 한우 양지와 사태, 차돌박이를 야채와 데쳐먹는 전통 전골 요리 ‘한우 어복쟁반’을 선보인다.

은하수막걸리와 한우수육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