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농구 신인상 경쟁…유기상 '굳히기' vs 박무빈 '막판 추격'

박지혁 기자 2024. 3. 21. 09:3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23~2024시즌 프로농구 정규리그가 막바지로 치닫는 가운데 생애 단 한 번만 받을 수 있는 신인상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 중이다.

현재까지는 창원 LG의 유기상과 울산 현대모비스의 박무빈 2파전 양상이다.

유기상은 정규리그 48경기에 출전해 평균 23분28초를 소화하며 평균 8.3점 2.2리바운드를 기록 중이다.

소속팀 LG가 정규리그 2위로 4강 직행에 유리한 고지에 자리한 점도 신인상 경쟁에서 유리하게 작용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LG 유기상, 역대 신인 최다 3점슛·꾸준함·팀 순위 강점
현대모비스 박무빈, 경기 수 적지만 기록은 가장 좋아
[서울=뉴시스] 황준선 기자 = LG 유기상이 19일 경남 창원시 창원체육관에서 열린 2023-2024 프로농구 창원 LG와 안양 정관장의 경기에서 드리블 하고 있다. 유기상은 이날 경기에서 시즌 90번째 3점 슛을 넣으며 역대 프로농구 신인 한 시즌 최다 3점포 신기록을 달성했다. (사진=KBL 제공) 2024.03.19.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박지혁 기자 = 2023~2024시즌 프로농구 정규리그가 막바지로 치닫는 가운데 생애 단 한 번만 받을 수 있는 신인상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 중이다.

현재까지는 창원 LG의 유기상과 울산 현대모비스의 박무빈 2파전 양상이다. 유기상과 박무빈은 지난해 신인 드래프트에서 각각 전체 3순위, 2순위로 지명을 받았다.

경쟁에서 앞선 이는 유기상이다.

유기상은 정규리그 48경기에 출전해 평균 23분28초를 소화하며 평균 8.3점 2.2리바운드를 기록 중이다. 경기당 1.9개를 성공한 3점슛이 강점이다. 성공률도 43.5%로 준수하다.

3점슛에선 역대 신인 기록도 갈아치웠다. 이번 시즌 모두 90개를 달성하면서 1998~1999시즌 신기성(나래·현 DB)과 2013~2014시즌 김민구(KCC)가 기록했던 신인 최다 88개를 넘어섰다.

[서울=뉴시스]프로농구 현대모비스 신인 박무빈, 루이비통 런칭 행사 참석 (사진 = 울산 현대모비스 제공)

명품 슈터 출신 조상현 감독의 지도를 받으며 팀 내에서 확고한 자원으로 자리매김했다. 슈팅과 수비에서 공헌도가 매우 높다.

소속팀 LG가 정규리그 2위로 4강 직행에 유리한 고지에 자리한 점도 신인상 경쟁에서 유리하게 작용한다.

반면 박무빈은 부상으로 인해 데뷔가 늦었다. 지난해 12월 처음 코트를 밟아 정규리그 31경기에서 24분25초를 뛰며 8.9점 4.3어시스트 3.2리바운드를 기록했다.

신인 선수 중 득점, 어시스트, 리바운드 수치는 제일 좋다. 다재다능함이 강점으로 승부처에선 해결사 역할도 주저 없이 맡아 신인답지 않다는 호평을 받았다.

안준호 감독이 새롭게 지휘봉을 잡은 국가대표팀에도 신인 중 유일하게 이름을 올렸다.

현대모비스의 주축 가드 서명진이 부상으로 시즌을 접으면서 출전 기회를 잡은 박무빈은 기대이상의 제 몫을 하며 중책을 잘 소화했다.

[서울=뉴시스] 김진아 기자 = 21일 서울 잠실학생체육관에서 열린 2023 KBL 신인선수 드래프트에서 수원 KT에 1순위로 지명된 문정현이 소감을 말하고 있다. 2022.09.21. photocdj@newsis.com

유기상과 비교하면 활용할 수 있는 옵션이 더 다양하다는 평가도 듣는다. 그러나 부상으로 인해 출전 경기 수가 적고, 현대모비스가 6위에 머물러 있는 점이 투표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오는 24일 LG와 현대모비스의 정규리그 마지막 대결이 펼쳐진다. 두 신인의 마지막 진검승부다. 신인상은 기자단 투표로 선정된다.

같은 시기 신인 드래프트 전체 1순위로 수원 KT에 입단한 문정현은 48경기에서 평균 15분45초를 뛰며 4.9점 3리바운드 1어시스트를 기록했다. 지난해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국가대표로 뛰며 기대를 모았지만 슈팅과 스피드에서 약점을 드러내며 기대에 못 미쳤다.

향후 발전 가능성은 여전히 높다는 평가를 받는다.

☞공감언론 뉴시스 fgl75@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