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우머니] "지금 가입하면 호구"…4월 이후 종신보험 가입해야 하는 이유

윤진섭 기자 2024. 3. 20. 09:43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재테크 노하우 100분 머니쇼 '하우머니' - 홍승희 리툴코리아 본부장

Q. 제10차 경험생명표 개정 작업이 완료되면서 다음달 보험료가 조정됩니다. 많은 분들이 경험생명표가 뭐길래 보험사들이 보험료에 일괄 적용하는지 궁금하실 것 같아요. 경험생명표가 무엇인가요?

- "몇 년 더 살 수 있나"…'경험생명표'란?
- 경험생명표, 생명보험 가입자 성별·나이별 사망률표
- 사망·암 발생·수술 등에 대해 성별·연령 따른 보험료율
- 기대여명 증가→사망보험료 감소…통상 건강보험료↑
- 최근 10차 경험생명표 개정…내달 보험사 적용 예정
- 10회 경험생명표 평균수명 남성 86.3세, 여성 90.7세

Q. 4월부터 보험료가 변동되면서 신규 보험 가입이 필요하신 분들은 바쁘게 움직이셔야겠습니다. 3월에 가입해야 좋은 보험, 4월에 가입해야 좋은 보험이 따로 있더라고요?

- 경험생명표 개정에 따른 보험별 유불리는?
- 보험 가입 적기, 건강보험 3월·사망보험 4월 추천
- 보험업계, 4월 암 보험료 평균 10%가량 인상 예상
- 수명 증가로 암 발생률 상승…의료 발전에 생존율↑
- 보험사, 암 진단·치료 등 특약 보험료 산정 요율 증가
- 10회 경험생명표 평균수명 남성 86.3세, 여성 90.7세
- 평균수명 증가, 더 길게 보장 제공…보험료 인상 요인
- 종신 연금보험, 보험료 인상 혹은 지급액 감소 예상
- 종신보험 등 사망 보장 보험, 4월 보험료 인하 전망
- 평균수명 증가, 사망보험금 지연…보험사 수익 예상

Q. 암보험의 보험료 인상 폭이 클 것으로 보인다는데요. 올 초부터 업계 경쟁이 치열하죠. 이미 움직이신 분들도 많습니다. 보험사마다 신규 보험 가입이 늘었다는데요. 보험료, 어느 정도 오르고 또 내리나요?

- 경험생명표 개정에 따른 보험료 변화는?
- 50세 남성 종신보험, 4월 가입 시 20년간 360만 원↓
- 40세 남성 건강보험, 4월 가입 시 20년간 약 31만 원↑

Q. 지금 종신보험에서 함께 이슈가 되는게 있습니다. 단기납 종신보험 환급률 인하를 두고 논의 중인데요. 4월 종신 보험료가 조정되면서 단기납 종신보험 환급률 조정도 함께 될 거라는 얘기가 나옵니다. 환급률이 낮아지면 단기납 종신보험 매력도 사실 사라지는데 이 때문에 지금 가입해야 하는 거 아니냐는 말도 나와요?

- 단기납 종신보험 환급률 조정…가입 시기는?
- 종신보험, '종신토록' 사망 보장…가장 비싼 보험 상품
- 종신보험, 보험료 비싼 만큼 납입 기간 통상 20~30년
- 단기납 종신보험, 납입기간 10년 내 설정 가입 상품
- 짧은 납입 기간…납입보험료 120~130% 환급률 장점
- '목돈' 활용 가능…원금 보장까지 납입 기간 짧은 편
- 일각 '저축성 상품' 안내…금융당국 불완전판매 주의보
- 1월 현장 점검 후 단기납 종신보험 환급률 120%대로
- 조만간 단기납 종신보험 환금률 110%대 조정 가능성

Q. 경험생명표를 사용하는 공단이 있습니다. 바로 국민연금공단인데요. 국민연금공단에서는 통계청의 국민생명표를 사용하고 있어요. 그런데 이번에 별도 경험생명표를 만든다고요?

- 국민연금공단 별도 경험생명표 작성, 이유는?
- 연금공단, 통계청 '국민생명표' 활용 장기 재정 추계
- 국민연금 대부분 직장가입자…전체 인구 지표간 차이
-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 특수성 고려 별도 지표 작성"
- 자체 생명표상 사망률 상향시 미래 지급 연금액 감소

Q. 앞서도 말씀해주셨지만 이번 경험생명표 개정으로 여성의 나이는 90세를 돌파했습니다. 노년이 경제적으로 힘들고 아프다면 마냥 좋다고 할 수만은 없을 것 같아요. 앞으로 더 오래 사는 시대를 맞이할 텐데 경제적으로 의료적으로도 미리 대비해야 할 것은 무엇일까요?

- 고령화 시대, '건강한 장수' 위한 대비책은?
- 점점 길어지는 기대여명…"이후 건강 잘 유지해야"
- 건강한 생활 습관부터 질병 대비 의료비 준비 필수
- 의료기술 빠른 발전…고령자도 적극적 치료받아야
- 갖고있는 사회-개인보장 점검…생활비 계획 살펴야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당신의 제보가 뉴스로 만들어집니다.SBS Biz는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리고 있습니다.홈페이지 = https://url.kr/9pghjn

짧고 유익한 Biz 숏폼 바로가기

SBS Biz에 제보하기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