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은 소득순?…"소득 높을수록 사회적 지위 높다" 생각도

2024. 3. 19. 19:4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앵커멘트 】 행복은 소득순일까요? 우리 사회의 많은 사람들은 그렇게 생각한다는 씁쓸한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가구 소득이 높을수록 더 행복하다고 느끼는 것은 물론 사회적 지위 수준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강재묵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기자 】 대학생 최유석 씨는 취업 준비를 위해 학교 수업과 스터디를 병행하고 있습니다.

진로를 고민하며 적성 뿐 아니라 월급 수준도 떼놓고 생각할 수 없습니다.

▶ 인터뷰 : 최유석 / 대학교 3학년 - "내가 금전적으로 좀 부족하고 한계를 느낀다면 그러한 행복감을 찾을 수 있는 방법도 약간 한계가 있는…."

국책연구원인 한국행정연구원 조사 결과 국민 대다수가 가구 소득이 높을수록 더 큰 행복을 느낀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월 가구 소득이 100만 원 미만인 경우 6.1점의 행복감을 보였는데, 600만 원 이상 소득 구간에서는 6.8점의 행복감을 보였습니다.

▶ 인터뷰(☎) : 김대종 / 세종대 경영학과 교수 - "실질적으로 대한민국 국민들이 행복에 가장 크게 중요한 요소는 바로 경제적인 만족도입니다. 경제적인 만족도가 한 80% 정도…."

▶ 스탠딩 : 강재묵 / 기자 [mook@mbn.co.kr] - "행복은 소득순이라는 표현이 연구 결과로 나타난 셈인데, 자신의 사회적 지위에 대한 인식 역시 가구 소득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월 가구 소득이 100만 원 미만인 경우 자신의 사회적 지위에 대한 인식 점수는 4.8점을 보였지만, 600만 원 이상일 경우에는 5.7점의 수치를 보였습니다.

MBN뉴스 강재묵입니다.

영상취재 : 박준영 기자 영상편집 : 오혜진 그 래 픽 : 이새봄

Copyright © MB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