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K히든챔피언] 북미 시장서 '제2의 나이키' 신화 쓰겠다

양연호 기자(yeonho8902@mk.co.kr) 2024. 3. 18. 17:2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금까지 패션업계에서 국내 기업이 자체 브랜드로 해외에 진출해 성공한 사례가 없습니다. 특허와 품질로 무장한 윙스풋 브랜드 상표권으로 미국에 진출해 '한국판 나이키' 신화를 쓰는 게 목표입니다."

최근 매일경제와 만난 김영천 윙스풋 회장(사진)은 "오랜 기간 신발 유통사업을 영위하며 쌓아온 노하우와 네트워크, 브랜딩, 상품 디자인, 기획력을 바탕으로 신발뿐만 아니라 의류, 가방, 모자 등 종합 패션 글로벌 회사로 나아갈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신발 전문 패션기업 윙스풋
제작부터 유통까지 한 번에
멀티숍 '와이컨셉'도 순항
자체 브랜드로 美 진출 나서
"年 4만켤레 이상 공급 예정"

◆ MK 히든챔피언 ◆

"지금까지 패션업계에서 국내 기업이 자체 브랜드로 해외에 진출해 성공한 사례가 없습니다. 특허와 품질로 무장한 윙스풋 브랜드 상표권으로 미국에 진출해 '한국판 나이키' 신화를 쓰는 게 목표입니다."

최근 매일경제와 만난 김영천 윙스풋 회장(사진)은 "오랜 기간 신발 유통사업을 영위하며 쌓아온 노하우와 네트워크, 브랜딩, 상품 디자인, 기획력을 바탕으로 신발뿐만 아니라 의류, 가방, 모자 등 종합 패션 글로벌 회사로 나아갈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나이키와 아디다스 같은 글로벌 브랜드의 국내 시장점유율이 70%를 넘는 상황에서 역으로 한국 브랜드의 볼모지인 해외 패션 시장에 'K브랜드'로 출사표를 던진 것이다.

윙스풋은 유통 채널과 자체 브랜드를 모두 갖춘 국내 유일의 신발 전문기업이다. 이 회사를 창업한 김 회장이 신발이라는 한 우물을 파기 시작한 것은 1978년 미국으로 건너가면서다. 국제상사 미국지사에서 근무하던 김 회장은 국제상사가 사라진 뒤 미국 뉴저지에서 플리마켓(벼룩시장)을 시작했다. 이후 리테일 스토어에 뛰어들어 미국 현지에서 '휠라' 브랜드의 디자인 개발과 판매를 주도해 대박을 쳤다. 1988년에는 미국 프로농구(NBA) 선수 패트릭 유잉의 이름을 걸고 만든 브랜드 제품의 디자인과 생산, 글로벌 유통을 총괄하며 유명세를 탔다.

2010년에는 기존 풋락커 프랜차이즈 사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패션 및 라이프스타일 신발 멀티숍인 '와이컨셉(Y.CONCEPTS)'을 운영하기 시작했다. 김 회장은 "독점 라이선스 브랜드(베어파우), 해외 직접 매입 브랜드(폴로), 자체 상표권 보유 브랜드 제품(윙스풋)을 중점적으로 판매하며 풋락커 사업 의존도를 낮추고 상품 차별화와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했다"고 설명했다.

윙스풋은 자체 브랜드 제작 기술력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오랜 기간 신발 유통사업을 하면서 확보한 데이터를 활용해 직접 기획과 제작, 마케팅, 판매를 진행하고 있는 자체 브랜드 '윙스풋' '슈랄라' '마르코폴라'가 대표적이다.

이처럼 독자적인 신발 멀티숍 플랫폼을 통해 독점 라이선스 브랜드와 해외 직접 매입 브랜드를 비롯한 다양한 유통 포트폴리오를 구축한 결과, 윙스풋은 자체 상표권 브랜드 인지도가 동반 상승하는 효과를 톡톡히 누리고 있다. 김 회장은 "베어파우, 폴로 등 잘 알려진 브랜드와 함께 윙스풋 자체 브랜드를 전개하면서 굳이 수십억 원에 달하는 광고 커미션을 부담해 가면서 연예인을 내세울 필요가 없어졌다"며 "글로벌 브랜드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작은 캐주얼 디자인화 시장에서 지배력을 끌어올릴 것"이라고 말했다.

김 회장은 "시가총액이 200조원에 이르는 나이키처럼 한국에서도 윙스풋의 신발 유통사업이 미래 먹거리 중 하나로 인정받는 계기를 만들고 싶다"고 말했다. 회사 관계자는 "북미 현지 업체로부터 먼저 수출 계약을 받았다"며 "연간 4만켤레 이상 제품을 공급할 예정으로 큰 폭의 매출 확대가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양연호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