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카페] 지구온난화 방지엔 뱀 고기가 최고?

이영완 과학에디터 2024. 3. 18. 11: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다른 가축보다 사료 훨씬 덜 먹고 빨리 자라
체온 유지하는 데 음식 에너지 쓰지 않는 덕분
같은 변온동물인 곤충도 단백질 대안으로 부상
곤충처럼 동물 사료 이어 식용으로 상용화 가능
버마 비단뱀. 동남아시아에서 사육하는 비단뱀은 같은 단백질을 키우는 데 들어가는 사료가 다른 가축보다 훨씬 적다./Daniel Natusch

20세기 후반에 인구가 급증하면서 육류 소비도 4500만t에서 2억2900만t으로 5배로 증가했다. 이에 맞춰 가축 사육과 사료 생산량도 늘다 보니 생태계 파괴를 피할 수 없었다. 사료작물을 키우려면 삼림을 없애고 농지를 늘려야 했다.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던 숲이 줄어들자 지구온난화 속도도 빨라졌다.

고기를 먹으면서 숲도 보호할 방안이 없을까. 과학자들이 대안의 단백질을 제시했다. 바로 뱀과 곤충이다. 사람들이 혐오하는 식품이지만, 생산성이 워낙 월등한 데다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도 다른 가축들보다 훨씬 적다는 것이다.

◇단백질 생산에 들어가는 사료량 가장 적어

호주 맥쿼리대의 다니엘 나투쉬(Daniel Natusch) 박사 연구진은 지난 15일 국제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동남아시아에서 사육하는 비단뱀이 다른 가축보다 사료량도 적고 환경 피해도 적어 지속 가능한 육류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중국과 동남아시아에서는 예전부터 뱀고기를 즐겼다. 뱀 가죽은 패션 제품의 재료로 인기가 높으며, 쓸개즙은 한약재로 팔린다. 나투쉬 박사는 영국과 호주, 남아프리카공화국, 베트남 과학자들과 함께 태국 우따라딧주와 베트남 호치민시에 있는 비단뱀 농장 두 곳에서 그물무늬비단뱀(학명 Malayopython reticulatus)과 버마비단뱀(Python bivittatus) 4601마리의 성장률을 분석했다.

비단뱀은 농장에서 논에서 잡힌 쥐나 생선을 갈아 만든 어분(魚粉) 사료를 먹고 자란다. 분석 결과 비단뱀은 다른 가축보다 사료를 덜 먹고도 1년 만에 판매가 가능할 정도로 성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에 따르면 뱀의 사료요구율(feed conversion ratio)은 1.2로 다른 가축보다 월등했다. 사료요구율은 사료량을 가축의 건조 중량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숫자가 작을수록 같은 사료로 더 많은 고기를 얻을 수 있다는 말이다.

소고기는 사료요구율이 10이며, 돼지와 닭은 각각 6과 2.8이다. 논문 공동 저자인 호주 맥쿼리대 릭 샤인(Rick Shine) 교수는 “포유류나 조류 같은 항온동물은 체온을 유지하는 데 섭취한 음식의 에너지 90%를 소비한다”며 “변온동물인 뱀은 햇빛을 받고 체온을 올려 섭취한 음식을 살로 바꾸는 데 훨씬 효율적이다”고 밝혔다. 같은 변온동물인 연어, 귀뚜라미도 사료요구율이 각각 1.5, 2.1로 낮았다.

사료에 들어간 단백질량을 동물의 단백질 무게로 나눈 값도 뱀이 2.4로 다른 동물보다 작았다. 연어와 귀뚜라미는 이 값이 각각 3과 10이었다. 항온동물인 소와 돼지, 닭은 각각 83, 38, 21로 훨씬 높았다. 기존 가축은 단백질을 키우려면 뱀보다 훨씬 단백질 사료를 많이 먹어야 한다는 말이다.

그래픽=손민균

◇폐기물 거의 없어 친환경 사육도 가능

연구진은 뱀이 농가에 피해를 주는 설치류나 해충을 먹이로 삼기 때문에 사료를 제공하려고 농지를 개간할 필요가 없다고 밝혔다. 나투쉬 박사는 “특히 뱀은 최대 127일 동안 먹이를 먹지 않아도 체중이 0.004%밖에 줄지 않아 사료 공급이 어려워지는 상황에도 대처할 수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 시기에 축산농가들은 가축들에게 제때 사료를 주지 못해 어려움을 겪었다. 샤인 교수는 “상업적 뱀 농장의 투입물과 산출물, 비용과 편익을 처음으로 심층 분석한 결과”라며 “돼지보다 비단뱀을 키우는 것이 농민에게 경제적으로나 위기 적응력에서 더 낫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게다가 뱀은 뼈까지 소화해 소나 돼지처럼 축산 폐기물이 거의 나오지 않는 것도 장점이라고 연구진은 밝혔다. 특히 최근 문제가 되는 가축의 온실가스 배출을 막을 수 있다. 가축은 분뇨와 트림, 방귀 등으로 메탄 같은 온실가스를 직접 배출한다. 사료 생산 과정에도 화석연료가 들어가 간접적으로 온실가스가 나온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인류가 배출하는 온실가스의 18%가 가축에게서 나온다. 뱀은 먹이를 찾지 않을 때는 좁은 공간에 가만히 있어, 기존 대형 축산농가에서 문제가 되는 동물 복지 문제에서도 벗어날 수 있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나투쉬 박사는 국제자연보전연맹(IUCN)과 함께 야생 동물 보전과 병립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비단뱀 사육을 연구해왔다. 비단뱀 사육이 투명하게 관리되면 관련 산업과 야생 비단뱀을 모두 보호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당장 전 세계에서 뱀 고기를 소비할 수 있을 것 같지는 않다. 문화적 장벽이 엄연히 존재하기 때문이다. 뱀에게 먹일 사료도 쉽게 구할 수 있어야 대량 사육이 가능하다. 뱀에게 먹일 쥐를 따로 사육해야 한다면 경제성이 떨어진다.

동남아시아 비단뱀 농장. 비단뱀은 고기와 가죽, 지방과 담즙을 얻기 위해 사육된다./Daniel Natusch

◇곤충은 식용보다 가축 사료로 인기

전문가들은 비단뱀이 새로운 단백질원이 되려면 곤충 사육의 전례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곤충 역시 뱀과 같은 변온동물이어서 생산성이 높다. 물 소비도 적고 온실가스 배출 문제도 없다. 게다가 뱀처럼 세계 인구 20억명이 이미 식용으로 소비하고 있다. 닭과 돼지는 절반 정도만 먹을 수 있지만, 귀뚜라미는 80% 이상을 먹을 수 있다.

곤충이 고효율 단백질원이라는 데에는 누구나 동의하지만, 곤충을 극도로 꺼리는 서구에서 식품으로 먹는 것은 다른 문제다. 이 때문에 서구 국가들은 처음에는 가축의 사료를 곤충으로 대체하는 데 집중했다. 사람이 먹을 가축이나 물고기를 곤충으로 키우자는 말이다. 유럽연합(EU)은 닭 배설물로 키운 집파리 구더기를 압착, 건조해 돼지 사료로 쓰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빌앤드멀린다재단도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사료용 곤충 공장을 지원했다.

가축 사육에는 사료가 엄청나게 들어간다. 전 세계 콩의 80% 이상이 사료로 쓰인다. 곤충은 그 양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영국 식품환경연구소는 1헥타르(1만㎡) 면적에서 1년에 콩 1t을 수확할 수 있지만, 곤충 단백질은 무려 150t을 생산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세계식량기구(FAO)는 2014년 보고서에서 곤충은 물고기를 갈아 만든 어분 사료나 콩 사료를 25~100% 대체할 수 있다고 밝혔다. 반려동물 사료도 가능하다. 2019년 바이오기업 요라(Yora)는 영국 최초로 곤충으로 만든 반려견 사료를 출시했다.

하지만 효과는 뭐니 뭐니 해도 사람이 먹는 식품 쪽이 확실하다. 최근 서구에서도 식용 곤충 쪽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미국에서는 2016년 북미식용곤충연합이 출범했다. 회원사를 보면 대부분 과거 미끼용으로 곤충을 기르던 농가들이었다. 이들이 최근 몇 년 사이 식품 시장으로 눈을 돌린 것이다. 미국 프로야구팀 시애틀 매리너스는 멕시코인들이 즐겨 먹는 메뚜기 튀김을 구장에서 선보여 큰 인기를 얻었다.

국내에서는 곤충이 건강에 좋다는 점을 내세웠다. 농촌진흥청과 세브란스병원은 2015년 갈색거저리 유충을 이용한 암환자용 식단을 개발해 특허를 출원했다. 암환자는 체력 유지와 상처 회복에 단백질이 필요하다. 실제로 강남세브란스병원에서 시험한 결과 곤충식을 먹은 환자는 일반식 환자보다 체중 손실이 덜했다고 한다. 뱀고기도 사료를 거쳐 건강식으로 인기를 얻을지 모를 일이다.

미국 프로야구팀 시애틀 매리너스는 메뚜기 튀김을 구장에서 선보여 큰 인기를 얻었다./시애틀 매리너스

참고 자료

Scientific Reports(2024), DOI: https://doi.org/10.1038/s41598-024-54874-4

EU PROteINSECT, https://www.proteinsect.eu/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