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행 성공했지만 상장 한달 뒤 매도 경쟁 벌어질 웨어러블 새내기주

배동주 기자 2024. 3. 18. 06: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스닥시장 입성을 앞둔 엔젤로보틱스가 공모 흥행에 성공했음에도 주가 하락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1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엔젤로보틱스의 유통가능주식 수는 상장 첫날인 오는 26일 420만5146주에서 내달 26일 787만9421주로 87% 증가한다.

엔젤로보틱스가 상장 후 발행주식 총수가 1494만5381주인 점을 고려하면 전체의 52%를 넘는 물량이 한달 만에 매물로 출회될 수 있는 셈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엔젤로보틱스 홈페이지 갈무리.

코스닥시장 입성을 앞둔 엔젤로보틱스가 공모 흥행에 성공했음에도 주가 하락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벤처캐피털(VC) 등 투자자들이 일제히 보호예수 1개월만을 확정했기 때문이다. VC 매도 물량이 상장 한달 뒤 한꺼번에 쏟아진다는 얘기다.

1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엔젤로보틱스의 유통가능주식 수는 상장 첫날인 오는 26일 420만5146주에서 내달 26일 787만9421주로 87% 증가한다. 엔젤로보틱스가 상장 후 발행주식 총수가 1494만5381주인 점을 고려하면 전체의 52%를 넘는 물량이 한달 만에 매물로 출회될 수 있는 셈이다.

신규 상장 기업은 통상 유통가능주식 물량을 전체 발행주식 수의 30% 이하로 3개월, 길게는 6개월 넘게 유지한다. 상장 후 곧장 오버행(대규모 물량 출회) 발생 시 주가 유지가 안 되는 것은 물론, 공모주 투자자들의 피해도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최대주주는 최소 1년 보호예수를 약속해야 한다.

엔젤로보틱스의 유통가능주식 물량 급증은 VC 등 재무적투자자(FI)들이 자발적 보호예수 기간을 코스닥시장 상장 규정 내 최소 기간인 1개월로 죄다 맞춘 결과다. 엔젤로보틱스는 웨어러블(착용형) 로봇을 개발·제조해 오면서 창업 이래 계속 적자를 낸 만큼, FI의 수마저도 많다.

스타트업 정보 플랫폼 혁신의숲에 따르면 엔젤로보틱스는 지난 2017년 설립, 지난해까지 시리즈 투자(시드·A·B)와 상장 전 지분투자(프리IPO)까지 총 네차례에 걸쳐 390억원 이상 투자를 유치했다. 증권신고서 내 VC 펀드와 투자조합 수만 26개에 이른다. 이 펀드들과 투자조합 모두 보호예수를 1개월로 정했다.

시장에선 엔젤로보틱스의 상장 후 주가 하락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 증권업계 한 관계자는 “보호예수 1개월 설정은 투자자 보호를 위해 기존 주주 보호예수를 요구하는 한국거래소의 문턱을 넘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을 것”이라면서 “대규모 매도 물량이 출회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엔젤로보틱스가 수요예측 후 공모가를 공모가 희망 범위 상단을 33.3% 초과한 2만원에 확정한 것도 주가 변동 불안을 키우는 요소로 꼽힌다. 지난 8월 프리IPO에서 전환우선주 발행가 기준 주당 1만748원에 투자했던 마지막 투자자들마저도 주당 9252원의 이익을 낼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실제 엔젤로보틱스 공모가 상향 조정으로 상장 후 시가총액은 2800억원으로까지 불어나게 됐다. 프리IPO 당시 1500억원이었던 몸값이 4개월 새 약 두배로 뛰었다. VC업계 한 관계자는 “공모가 조정으로만 33% 평가이익이 발생한 것”이라면서 “공모가 아래로 주가가 떨어지지 않으면 바로 팔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투자 주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공모가가 높게 형성되면서 가장 직전에 투자한 프리IPO 투자자들마저 바로 매도를 칠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전환우선주로 발행된 프리IPO 물량만 93만405주로, 발행주식 총수의 6%가 넘는 것으로 집계됐다.

한편 엔젤로보틱스는 이익 미실현 기술특례로 코스닥시장에 상장한다. 설립 이래 한 번도 흑자를 내지 못했지만, 2026년 추정 순이익 115억원을 기반으로 기업가치를 산정하면서 고평가 논란이 일었다. 엔젤로보틱스는 2022년 56억원의 당기순손실을 냈다. 지난해 잠정 순손실은 93억원으로 집계됐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