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 온난화 계속되면 2100년 한반도 대형산불 1.6배↑

정혜윤 2024. 3. 16. 05:3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온난화가 계속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매년 '재난 급' 산불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2100년에는 대형 산불이 지금보다 약 1.6배 증가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습니다.

정혜윤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지난달 말, 미국 텍사스에서 발생한 역대 최대 규모의 산불입니다.

서울 면적의 7배가 넘는 지역이 잿더미로 변했습니다.

지난해 8월에는 하와이에서도 태풍이 몰고 온 강풍으로 대형산불이 걷잡을 수 없이 확산하며 100명 넘는 사망자가 발생했습니다.

이 밖에도 그리스 산불(23년 8월)과 캐나다 산불, 남미 칠레 산불(24년 2월) 등 전 세계적으로 '메가 파이어'로 불리는 초대형 산불이 속출하고 있습니다.

온난화가 원인으로 지목되는데, 산림이 타면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가 다시 온난화를 부추기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권춘근 / 산림과학원 산불연구과 연구사 : 온난화는 대형산불이 발생하기 쉬운 조건으로 변하게 하고, 다시 대형산불이 발생하고 이산화탄소가 배출되고….]

온난화 속도를 늦추지 못한다면 미래 전망은 더 암울합니다.

UNEP, 유엔환경계획 보고서에 따르면 기후변화로 인해 전 세계 대형 산불은 1990~2020년 대비 2030년 14%, 2050년 30%, 2100년엔 50%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닙니다.

지금과 같은 온난화 추세가 계속되면 1990~2020년 대비 2040년엔 31%, 2050년엔 57%, 그리고 2100년에는 158%, 약 1.6배나 증가할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전 세계 전망보다 더 심각합니다.

[권춘근 / 산림과학원 산불연구과 연구사 : 최근 5년 발생한 대형 산불 건수는 연평균 6.4건 정도입니다. 온난화가 이대로 진행할 경우 70여 년 뒤에는 대형 산불이 약 1.6배 늘어나 약 17건 정도가 발생할 수 있다는 걸 의미합니다]

한여름 장마와 집중호우, 태풍 기간 2달 정도를 제외하면 연중 대형산불이 발생할 수 있다는 얘기가 됩니다.

산림 당국도 이 같은 추세를 반영해 현재 2월부터 5월 15일까지로 돼 있는 '봄철 산불 조심 기간'을 확대하는 방안을 연구 중입니다.

YTN 정혜윤입니다.

영상편집: 전주영

그래픽 :유영준, 김도윤

YTN 정혜윤 (jh0302@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Copyright ©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