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뛰는 배춧값, 폭주하는 부추값…비 맞더니 미쳐버린 무값

오형주 2024. 3. 15. 16:2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부추와 배추, 상추 등 가격이 산지 기상 악화로 공급량이 부족해지면서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최근 산지에서 흐리고 비가 오는 날씨가 이어지면서 출하가 부진해 공급량 부족에 따른 가격 상승세가 나타났다는 분석이다.

 주산지인 전남 해남과 무안 등지에 비가 많이 내리는 등 일조량이 좋지 못했던 탓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팜에어·한경 농산물가격지수
1년 만에 부추 111%·배추 75%↑
일조량 부족·강우로 출하 부진
오이는 3월 들어 하락세
사진=뉴스1


부추와 배추, 상추 등 가격이 산지 기상 악화로 공급량이 부족해지면서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무도 주산지인 제주 지역의 잦은 호우로 작황이 부진해 오름세로 전환했다.


15일 팜에어·한경 농산물가격지수(KAPI)를 산출하는 예측시스템 테란에 따르면 전날 부추 도매가는 ㎏당 8024원으로 1주 만에 21.79% 뛰었다. 1년 전 대비로는 111.44% 올랐다.

상추 가격은 지난 한 주간 0.9% 하락했지만 전월 대비로는 52.26% 올라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부추와 상추 등 엽채류는 잎이 얇아 날씨가 너무 춥거나 더우면 생장이 늦어지고 상품성이 떨어진다. 최근 산지에서 흐리고 비가 오는 날씨가 이어지면서 출하가 부진해 공급량 부족에 따른 가격 상승세가 나타났다는 분석이다. 이달 초 진행된 ‘삽겹살 데이(3·3데이)’ 등 행사로 돼지고기 소비량이 크게 늘면서 쌈채소 수요가 증가한 점도 영향을 줬다.

배추(7.59%)와 얼갈이배추(16.6%) 등 배추류도 전주 대비 오름세를 이어갔다. 주산지인 전남 해남과 무안 등지에 비가 많이 내리는 등 일조량이 좋지 못했던 탓이다.

지난주에 전주 대비 28% 하락했던 무가 이번주 들어 20% 넘게 오른 점도 주목할 만한 부분이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1~2월만 해도 제주에서 무 작황이 좋아 시세가 많이 떨어졌었다”며 “2월 말부터 제주에 매일 같이 비가 내리며 상품성이 크게 떨어진 상황이라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반면 오이(-22.51%)의 경우 주산지인 경북 지역의 일조량이 평년 대비 좋았고, 3월부터 충청 지역에서 출하가 시작되면서 공급량이 늘어 시세가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는 설명이다. 

‘애플레이션(사과+인플레이션)’이라는 신조어까지 나온 사과는 지난주 1.53% 올라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오형주 기자 ohj@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