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 never-ending housing problem (KOR)

2024. 3. 15. 10:1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제학의 '슈바베의 법칙'에 따르면 생계비에서 주거비용 지출이 많을수록 삶이 곤궁하며, 이런 현상은 빈곤층일수록 더 심하다.

그렇다면 부자들은 슈바베 지수가 낮다는 뜻인데 한국은 그렇지 않다.

부자든 가난뱅이든 주거비가 높은 것은 한국의 특징이다.

이는 주거가 삶의 편의가 아니라 신분의 허세이기 때문이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The failure of housing policy is the basis of all ills in the Korean economy.

SHIN BOK-RYONGThe author is a emeritus professor of history at Konkuk University. According to Schwabe’s law in economics, the greater the expenditure share of housing, the more difficult living becomes, and the trend is more evident for the poor. The rich, therefore, should have a lower Schwabe Index, but this is not the case in Korea.

The news of someone’s house priced at 15 billion won ($11.4 million) and another spending 7.2 billion won on renovations for the spring is shocking enough to frustrate ordinary people. I remember myself getting lost after going to the bathroom when I visited a rich family.

Whether one is rich or poor, housing costs are high in Korea. Housing prices are high, with the cost of building walls and gates the highest in the world. In some cases, you have to pass through nine gates to meet the owner. Housing is not for convenient living but to show off one’s status. In 982, Choi Seung-ro, a founding contributor of the Goryeo Dynasty (918-1392), was worried that Koreans spent too much money on their homes.

Kim Bu-sik (1075-1151), a civil servant of the mid-Goryeo Dynasty, pointed out the issue of luxury housing in the most painful way. He is a controversial figure, but thanks to his book, “Samguksagi,” or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the period could be vividly restored. A descendant of King Gyeongsun, the last king of the Unified Silla, was not favorable toward Baekje. But when discussing the palace of Baekje’s King Onjo, he recorded, “It was frugal but not shabby, beautiful but not lavish.”

In modern economics, one person requires about five pyeong (178 square feet) to live comfortably, so if the space is about 30 pyeong, it is big enough for a family of four to live in. The founder of the Japanese conglomerate Matsushita lived in a small two-story house all his life, but such a recommendation is nearly meaningless in Korea.

Because of the housing shortage, newlyweds have to work for 25 years to own a home without debt. This delayed the young generation’s marriage and childbirth, leading the country to a population cliff.

The failure of housing policy is the basis of all ills in the Korean economy. A government that cannot solve this perennial problem is incompetent.

김부식의 주택론신복룡 전 건국대 석좌교수(역사학)

경제학의 '슈바베의 법칙'에 따르면 생계비에서 주거비용 지출이 많을수록 삶이 곤궁하며, 이런 현상은 빈곤층일수록 더 심하다. 그렇다면 부자들은 슈바베 지수가 낮다는 뜻인데 한국은 그렇지 않다. 누구는 집값이 150억 원이고, 누구는 봄철 내부 수리비가 72억 원이 들었다는 기사에 서민의 억장이 무너진다. 언제인가 나는 부잣집에 갔다가 화장실에 다녀온 후 방을 못 찾은 기억이 오래 남아 있다.

부자든 가난뱅이든 주거비가 높은 것은 한국의 특징이다. 집값이 높고, 특히 담장과 대문 건축비는 세계에서 가장 비싸다. 대문을 아홉 번 지나가야 주인마님을 만나는 경우도 있다. 이는 주거가 삶의 편의가 아니라 신분의 허세이기 때문이다. 이미 고려 건국공신 최승로는 우리 민족은 집에 너무 많은 돈을 쓴다는 걱정을 982년에 남겼다.

호화 주택 문제를 가장 뼈아프게 지적한 인물은 고려 중기 문신 김부식(金富軾·1075~1151)이다. 그에 관한 평가는 말이 많지만, 그가 저술한『고려사』 덕분에 그 시대사를 생생하게 복원할 수 있었다. 통일신라의 마지막 왕이던 경순왕의 후손인 그는 백제를 그리 고운 눈으로 보지 않았다. 그런데도 그는 백제 온조의 저택(궁궐)을 논하면서 '검소하지만 누추하지 않았고 아름답지만 사치스럽지 않았다(儉而不陋 華而不侈)'고 기록했다.

현대 경제학에서 말하는 주거의 정도는 식구 한 명에 5평, 4인 가구라면 30평 정도면 불편하지 않다. 일본 재벌 마쓰시타(松下)의 창업주는 평생 2층 다다미의 작은 단독 주택에 살았다. 그러나 한국에서 이런 권고는 별로 의미가 없다.

주택난 때문에 신혼부부가 25년을 벌어야 빚 없이 내 집을 마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혼기와 출산을 늦추고 출산율 절벽 현상이 초래됐다. 주택 정책의 실패가 한국 경제에서 만악의 근본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정권은 무능하다.

Copyright © 코리아중앙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