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 단돈 60만원...” 제주도 홍보하는 제이나 아나운서

안상현 기자 2024. 3. 15. 03:0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스타트업, 공공 분야 서비스 혁신

제주도청이 이달 초 시작한 정책 홍보용 유튜브 방송 ‘위클리 제주’가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화제를 모으고 있다. 진행을 맡은 아나운서가 사람이 아니라 인공지능(AI)으로 만들었기 때문이다. ‘제이나(J-NA)’라는 이름을 가진 AI 아나운서는 20~30대 젊은 여성의 모습으로 각종 제주 지역 정책을 소개한다. 대본을 입력하면 음성이 출력되는 방식으로, 방송마다 달라지는 옷차림에 발음에 맞춰 입 모양도 변화하고 손짓도 하는 등 모르고 보면 사람으로 착각할 만큼 정교하다. 제주도청 관계자는 “에이아이파크라는 AI 스타트업이 개발한 모델을 월 60만원 정도 내고 이용하고 있다”면서 “반응이 좋아서 추가로 협업할 부분이 있는지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내 AI 스타트업들이 공공 분야 서비스를 적극 파고들며 ‘디지털 전환(DX)’에 이은 ‘인공지능 전환(AX)’을 이끌고 있다. 오픈AI의 ‘챗GPT’ 등장 이후 생성형 AI 기술이 급속도로 빨라지는 상황에서 민간에 비해 혁신 기술 도입에서 뒤처질 수밖에 없는 공공기관들을 AI 스타트업들이 도우며 신시장을 개척하고 있는 것이다. 스타트업 업계 관계자는 “제한된 예산을 가진 공공기관과 정부 인증 마크와 시장이 필요한 스타트업은 이해관계가 잘 맞아떨어진다”며 “정부가 최근 도입한 대부분의 AI 서비스에는 스타트업 기술이 녹아 있다”고 했다.

그래픽=김하경

◇경찰 수사·화재 진화도 AI

경찰청은 올 1월 전국 시도 경찰청과 일선 경찰서, 성폭력 피해자 지원 시설인 해바라기센터 등 239개 시설에 ‘AI 음성 인식 활용 조서 작성 시스템’을 도입했다. AI가 수사 과정에서 이뤄진 모든 진술을 기록·저장해 문서화된 조서 형태로 만들어줄 뿐 아니라, 수사 구성 요건에 따라 분류하는 방식으로 범죄 사실 데이터베이스까지 구축해준다. 이 기술을 만들고 고도화한 건 ‘스켈터랩스’와 ‘셀바스AI’ 같은 스타트업들이다. 스켈터랩스 관계자는 “자체 개발한 기계 독해(MRC) 기술을 수사 현장에 맞게 최적화했다”면서 “AI가 조서뿐 아니라 전화통화 녹취 파일에서도 범죄에 해당하는 내용만 뽑아서 알려준다”고 했다.

화재 진화 현장에서도 AI 기술이 적용될 전망이다. 코스닥 상장기업인 AI·빅데이터 기업 ‘바이브컴퍼니’는 소방청과 손잡고 화학물질로 인한 화재나 폭발 사고 발생 시 특정 화학물질을 판독하고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5월 119 종합 상황실과 연계한 현장 실증을 앞두고 있다. 소방 차량의 영상 기록 장치로 확보한 현장 영상에서 불길과 연기 모양, 색, 연소 형태 등을 분석해 사고 물질을 판독하고 대처 방법과 응급조치 요령까지 제공하는 AI 시스템이다. 바이브컴퍼니 관계자는 “17종 유해 화학물질에 대한 53만건의 데이터를 학습시켰다”며 “성능 평가에서 17개 유해 화학 물질에 대해 최대 72.9%의 판독률을 보였다”고 했다.

◇거브테크 육성 나선 정부

공공기관들이 앞다퉈 도입하고 있는 AI 챗봇 서비스 역시 대부분 스타트업이 개발했다. 김포국제공항에서 공항 이용객들을 대상으로 올 1월부터 운영 중인 AI 챗봇 서비스 ‘헬프나우’는 클라우드(가상 서버) 기업인 ‘베스핀글로벌’이 개발했고, 국립국악원의 국악 사전 검색용 챗봇은 AI 스타트업 ‘올거나이즈’가 개발했다. 국회도서관의 AI 챗봇 서비스 ‘아르고스’에는 논문 표절 검색 서비스 ‘카피킬러’로 유명한 무하유가 개발한 법률 관련 데이터 분석 기술이 녹아 있다.

정부는 공공 영역에 각종 첨단 기술을 제공하는 거브테크(GovTech·정부+기술) 스타트업 육성 정책을 강화할 계획이다. 정부 기관의 디지털 전환을 주도하는 디지털 플랫폼 정부위원회는 올해를 AI 도입 원년으로 선포하고 9386억원 규모의 예산을 확정했다. 전년(4207억원) 대비 123% 증가한 규모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도 올해 거브테크 창업 기업 지원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디지털 플랫폼 정부위원회 관계자는 “내년 공개를 목표로 민간 기업들과 함께 정부용 거대언어모델(LLM) 개발을 검토 중”이라며 “정부용 LLM이 구축되더라도 실제 서비스 제공은 스타트업을 통해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