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묘' 조롱한 중국 누리꾼…한국 대통령 얼굴에 한자 합성

이지현 기자 2024. 3. 14. 16:3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 중국 누리꾼이 윤석열 대통령과 박정희 전 대통령 얼굴에 한자를 합성한 사진을 자신의 SNS에 올렸다. 〈사진=X캡처〉
영화 '파묘'의 한자 문신을 조롱한 중국 누리꾼이 이번엔 윤석열 대통령과 박정희 전 대통령 얼굴에 한자를 합성한 사진을 올렸습니다.

이 누리꾼은 지난 13일 자신의 엑스(옛 트위터) 계정에 윤 대통령과 박 전 대통령, 가수 지드래곤 얼굴에 한자를 합성한 사진을 올리며 '파묘'를 해시태그 했습니다.

영화 파묘에서 등장인물들이 질병과 액을 막고 귀신과 마귀를 퇴치하기 위해 축경(태을보신경)을 온몸에 새긴 장면이 나오는데, 이를 조롱한 겁니다.

윤 대통령과 박 전 대통령 얼굴에는 '삼성가노(三姓家奴)'라는 글자가 합성돼 있습니다.

삼성가노는 '세 개 성씨를 가진 노비'라는 뜻으로, 삼국지의 등장인물 여포가 정원·동탁 등 양아버지를 여럿 섬기자 장비가 이를 비하하며 붙인 멸칭입니다.

지드래곤 얼굴에는 '마약을 하지 말라'는 문구를 한자로 합성하기도 했습니다.

이 누리꾼은 가수 지드래곤의 얼굴에도 '마약을 하지 말라'는 한자를 합성했다. 〈사진=X캡처〉
이 누리꾼은 "한국 사람들의 패션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한다. 이제 얼굴에 한자를 새기는 게 멋지고 유행에 맞는 행동임을 이해하게 됐다"고 조롱하며 "그래서 그들의 얼굴에 멋진 한자를 새겼다. 여러분들이 좋아하길 바란다"고 적었습니다.

앞서 이 누리꾼은 지난 7일에도 자신의 계정에 "중국에서는 얼굴에 글을 쓰거나 새기는 행위가 매우 모욕적이고 굴욕적인 행위"라면서 "한국인들이 알지도 못하는 한자를 얼굴에 쓴다는 게 우습다. 한국에서는 멋있는 말이 중국어로 번역되면 우스꽝스러워진다"고 글을 올렸습니다.

이 게시물이 확산하면서 논란이 일자 이번엔 전·현직 대통령 얼굴에 한자를 새긴 사진을 재차 올린 겁니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중국 누리꾼들이 파묘를 조롱한 것을 두고 자신의 SNS를 통해 "최근 몇 년간 한국의 드라마 및 영화가 세계인들에게 큰 주목을 받다 보니 중국 누리꾼들의 열등감은 날로 커져가는 모양새"라고 전했습니다.

서 교수는 "물론 건전한 비판은 좋지만 중국 누리꾼들에게 한가지 충고를 하고 싶은 건 이제부터라도 K콘텐츠를 몰래 훔쳐보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라며 "지금까지 '더 글로리', '오징어게임', '우영우' 등 세계인들에게 인기 있는 콘텐츠를 불법 다운로드하여 '도둑시청'하는 것이 그야말로 습관화가 되어버렸다"고 비판했습니다.

그러면서 "K콘텐츠에 대해 왈가불가만 할 것이 아니라 다른 나라 문화에 대한 '존중'을 먼저 배우시길 바란다"고 덧붙였습니다.

Copyright ©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