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행기 심장 치료한다”…아시아 최대 규모 공장, 영종도에 ‘첫 삽’

조윤희 기자(choyh@mk.co.kr) 2024. 3. 14. 15:5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한항공 항공기 엔진정비 클러스터
조원태 “韓MRO 경쟁력 강화”
5780억원 들여 4년간 공사
정비가능 엔진 年 360대로
외항사 정비수주 확대 기대
인천 영종도 운북지구에 세워지는 대한항공 엔진 정비 공장 조감도 [사진 제공 = 대한항공]
대한항공이 항공기 정비(MRO) 사업을 확장하기 위해 인천 영종도 운북지구에 초대형 엔진 정비 클러스터를 구축한다. 이번 엔진 정비 공장이 문을 열면 아시아에서 가장 큰 MRO 단지가 될 예정이다. 그동안 국내 항공사들이 해외에 의존해 온 항공 정비 수요를 국내로 돌려 MRO 사업의 성장을 꾀하는 한편 지역 고용 창출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14일 대한항공은 오후 인천 중구 운북동 부지에서 엔진 정비 공장 기공식을 열었다고 밝혔다. 기공식에는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을 비롯한 대한항공 임직원과 유정복 인천시장,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맹성규 더불어민주당 의원, 배준영 국민의힘 의원, 윤원석 인천경제자유구역청장, 김정일 코오롱글로벌 대표 등이 참석했다.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은 이날 기공식 기념사를 통해 “고도의 엔진 정비 능력을 확보한다는 것은 기술력 보유의 의미를 넘어 항공기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다는 것”이라며 “새로운 엔진 정비 공장이 완공되면 대한항공은 대한민국 항공 MRO 사업 경쟁력 강화의 요람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14일 오후 인천 중구 운북동에서 열린 대한항공 신 엔진정비공장 기공식에서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과 유정복 인천시장을 비롯한 내빈들이 시삽 세리머니를 하고 있다. 대한항공은 항공기 엔진 정비 역량 확충과 유지·보수·정비(MRO) 사업 확장을 위해 엔진 정비 클러스터를 아시아 최대 규모로 구축한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새로운 엔진 정비 공장은 지하 2층, 지상 5층 건물로 지어질 예정이다. 공사 부지는 연면적 14만211㎡(약 4만2414평) 규모로 축구장 20개에 달하는 규모다. 대한항공은 이번 공사에 총 5780억원을 투입한다. 2027년 완공될 예정으로, 아시아 최대 규모 항공 정비 단지로 기록될 전망이다.

국내 유일의 민간 항공기 엔진정비공장을 갖춘 대한항공은 1976년 보잉707 항공기 엔진 중정비 작업을 시작한 이후 현재까지 5000여대의 엔진을 재탄생시키며 세계 상위 10위 수준의 정비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자회사 진에어를 포함한 국내 항공사와 델타항공, 중국 남방항공 등 해외 항공사의 엔진을 수주하고 있다.

새로운 MRO 단지가 조성되면 대한항공은 부천시에 있는 엔진정비공장을 운북동으로 이전하는 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대한항공은 그동안 부천 공장에서 항공기 엔진 정비를, 영종도 운북지구의 엔진 시험 시설(Engine Test Cell·ETC)에서 엔진 출고 전 최종 성능 시험을 해왔다.

새로 지어지는 MRO 단지는 해당 ETC 옆에 건설돼 엔진 시운전 과정에서 효율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게 대한항공 측의 설명이다. 고(故) 조양호 전 한진그룹 회장 시절인 2016년 대한항공은 글로벌 엔진 제작사 프랫 앤 휘트니(Pratt & Whitney)와 합작 설립한 아이에이티를 통해 ETC를 열었다. 당시 조 전 회장은 ETC 완공식에 참석했을만큼 상용 항공기 엔진 사업 확장에 힘을 쏟았다.

이번 공정 확대를 계기로 대한항공의 MRO 역량은 대폭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비 가능한 엔진 대수가 연 100대에서 360대로 늘어나고 다룰 수 있는 항공기 엔진 종류도 다양해진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국내 항공 MRO 산업 경쟁력이 강화하게 되면 국내 대형 항공사와 저비용항공사(LCC)의 해외 정비 의존도를 낮추는 한편 외항사 물량도 확보할 수 있어 외화 유출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고 언급했다.

현재 대한항공은 프랫앤휘트니(PW)사의 PW4000 시리즈 및 GTF 엔진, CFM인터내셔널(CFMI)사의 CFM56, 제너럴일렉트릭(GE)사의 GE90-115B 엔진 등 총 6종에 대한 분해조립(오버홀) 정비를 수행해왔다.

오버홀 정비 방식은 인가된 정비 방법, 기술 및 절차에 따라 항공 제품의 성능을 생산 당시 성능과 동일하게 복원하는 것을 말한다. 작업 후 인가된 기준 및 절차에 따라 성능 시험을 진행해야 해 제작사로부터 기술 인가를 받아야 하는만큼 높은 기술력이 요구된다.

국내 항공사 중 항공기 엔진 오버홀 정비를 할 수 있는 곳은 대한항공이 유일하다. 향후 대한항공은 GE의 GEnx 시리즈, CFMI의 LEAP-1B를 포함해 정비 가능한 엔진 모델 수를 총 9종으로 늘릴 방침이다.

아시아나항공과의 통합 이후 MRO 시너지는 더욱 커질 전망이다. 향후 롤스로이스의 Trent XWB 엔진 등 아시아나항공 보유 항공기 엔진에 대한 타당성 검토도 진행할 예정어서 대한항공의 정비 역량은 확대할 것으로 기대된다.

일자리 창출 효과도 크다. 항공업계에서는 대한항공 엔진 정비 클러스터가 구축되면 관련 인력 고용이 총 1000명 이상으로 늘어날 것으로 추산한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