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 짱짱 맛있어요”…매일 새벽 4시 아이들 아침 챙기는 ‘엄마의 밥상’

백지연 매경닷컴 기자(gobaek@mk.co.kr) 2024. 3. 13. 13: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북 전주시가 아침밥을 굶는 아이들에게 매일 아침 따뜻한 도시락을 전달하는 '엄마의 밥상' 사업이 화제다.

13일 전주시에 따르면 시는 '밥 굶는 아이가 한 명도 없어야 한다'를 목표로 2014년 10월 아침밥을 거르거나 결식이 우려되는 18세 이하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엄마의 밥상'을 시작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엄마의 밥상’ 도시락. [사진 제공 = 연합뉴스]
전북 전주시가 아침밥을 굶는 아이들에게 매일 아침 따뜻한 도시락을 전달하는 ‘엄마의 밥상’ 사업이 화제다.

13일 전주시에 따르면 시는 ‘밥 굶는 아이가 한 명도 없어야 한다’를 목표로 2014년 10월 아침밥을 거르거나 결식이 우려되는 18세 이하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엄마의 밥상’을 시작했다. 대상자 대부분은 부모 없이 할머니·할아버지와 생활하거나 장애인 부모와 지내고 있어 아침밥을 거르는 때가 많다.

사업 초기 183명이던 대상자는 현재 270여 명으로 늘었다.

시는 매주 평일 5회 아침밥과 국, 반찬 3개를 담은 도시락을 아이들에게 배달한다. 금요일에는 주말에 배달하지 않으므로 더 많은 음식을 담는다.

끼니당 9000원인 이 도시락으로 아이들이 사실상 1년 365일 내내 아침 식사를 챙겨 먹을 수 있게 되는 셈이다.

생일이 되면 4만원 상당의 케이크나 문화상품권도 전달한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감염병 대유행) 당시 학교 급식마저 중단된 탓에 아침을 든든히 먹을 수 있는 ‘엄마의 밥상’ 도시락이 큰 역할을 해온 것으로 전해진다.

새벽 4시부터 준비해 오전 7시 안에 배달을 마쳐 아이들은 든든한 한 끼를 먹고 등교할 수 있었다.

배달 도시락에 남긴 감사 편지. [사진 제공 = 연합뉴스]
수거한 빈 도시락에는 간혹 아이들의 손 편지가 온기를 전한다. “진짜 ‘짱짱’ 맛있었어요! 저 오늘 밥 두 그릇 먹었어요. ‘딜리셔스’, 다음에도 맛있게 해 주세요. 감사합니다”라며 거듭 감사한 마음을 표하는 것이다.

‘선한 영향력’을 접한 지역 기업과 시민 등도 손을 보태 지금까지 ‘엄마의 밥상’에 답지한 후원금은 총 11억7700여 만원에 달한다. 간식부터 한우, 의류까지 다양한 기부도 함께 이뤄진다.

올해 사업비는 전액 시비로 8억5000만원이 편성됐고, 정기후원하는 개인 후원자들은 연간 1500만원을 지원하고 있다.

이 사업은 2015년 시민들이 선택한 전주시 최고 정책으로 꼽혔고, 제3회 대한민국 지방자치 박람회에서 우수정책으로 소개되기도 한다.

시 관계자는 “10년째 하루도 거르지 않은 엄마의 밥상은 시민이 함께 차린 밥상이 될 만큼 울림이 크고 따뜻한 사업으로 자리 잡았다”며 “아이 곁에서 묵묵히 따뜻한 밥상을 차려주는 엄마의 마음으로 사업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