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유빈x원지안x조현철 '유쾌한 왕따', 7회 칸 시리즈 페스티벌 진출 '쾌거' [공식]

김보라 2024. 3. 13. 09: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유쾌한 왕따'가 제7회 칸 국제 시리즈 페스티벌 랑데부 섹션에 진출해 글로벌 관객들을 대상으로 공식적인 첫 선을 선보인다.

롯데컬처웍스와 클라이맥스 스튜디오가 공동 제작한 시리즈 '유쾌한 왕따'는 오는 4월 개최하는 7회 칸 국제 시리즈 페스티벌에서 비경쟁 부문으로 현지 관객들과 만날 예정이다.

'유쾌한 왕따'는 칸 국제 시리즈 초청 기념으로 스페셜 스틸 2종을 공개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OSEN=김보라 기자] '유쾌한 왕따'가 제7회 칸 국제 시리즈 페스티벌 랑데부 섹션에 진출해 글로벌 관객들을 대상으로 공식적인 첫 선을 선보인다. K-콘텐츠의 위상을 높인 '유쾌한 왕따'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지원을 받아 출품했다는 설명이다.

칸 국제 시리즈 페스티벌(Cannes International Series Festival)은 프랑스 칸영화제가 전세계 드라마와 시리즈 콘텐츠 중 흥행성과 작품성을 갖춘 우수한 콘텐츠를 선정하는 시상식으로 지난 2018년 신설했다. 롯데컬처웍스와 클라이맥스 스튜디오가 공동 제작한 시리즈 '유쾌한 왕따'는 오는 4월 개최하는 7회 칸 국제 시리즈 페스티벌에서 비경쟁 부문으로 현지 관객들과 만날 예정이다.

'유쾌한 왕따'(극본 김보통・민용근, 연출 민용근・양수희)는 원인불명의 이유로 무너진 학교에 고립된 학생들의 어두운 본성이 드러나며 벌어지는 이야기. 김숭늉 작가의 웹툰 '유쾌한 왕따'의 1부 원작을 바탕으로 탄생한 10부작 재난 스릴러 학원물이다.

2부 '유쾌한 이웃'을 원작으로 한 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감독 엄태화)와는 동일한 원작에서 파생된 다른 에피소드를 다루고 있으며, 극본은 'D.P' '황야'의 김보통 작가와 민용근 감독이 집필했다. 영화 '혜화, 동'을 통해 데뷔한 후 영화 '소울메이트'를 통해 연출력을 인정받은 민용근 감독의 첫 시리즈물이다.

영화 '카운트' '마녀(魔女) Part2. The Other One' '장르만 로맨스', 드라마 '미스터 션샤인' 등 장르를 넘나들며 보여준 세밀하고 심도 있는 연기로 고유의 저력을 입증해 나가고 있는 배우 성유빈, 넷플릭스 시리즈 'D.P'로 강렬한 인상을 남기고 글로벌 기대작 넷플릭스 시리즈 '오징어 게임2'으로 기대를 잇는 배우 원지안, 넷플릭스 시리즈 'D.P.'에서 선과 악을 오가는 양면적인 인물인 조석봉 일병 역으로 2022년 백상예술대상 TV 부문 남자 조연상을 수상한 배우 조현철이 호흡을 맞췄다.

'유쾌한 왕따'는 칸 국제 시리즈 초청 기념으로 스페셜 스틸 2종을 공개했다. 13일 공개된 스틸에서는 통제 불가능한 재난 상황 속에서 학교에 고립된 학생들이 억누르고 있던 어두운 이면을 드러냈을 때의 잔혹함이 느껴진다. 또한 피로 뒤엉킨 채 어떠한 사건 한 가운데에 휘말린 위태로운 모습과 공허한 눈빛의 동현(성유빈 분)이 포착되어 작품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원지안은 수현 역을, 조현철은 담임선생님 영균 역을 맡았다.

롯데컬처웍스 최병환 대표이사는 "'유쾌한 왕따'가 칸 시리즈에서 최초로 글로벌 관객과 만나게 된 것은 매우 의미가 있다"며 "상상을 초월하는 극한의 상황에 놓여진 아이들의 불안한 감정과 긴장감을 유발시키는 여러 갈등이 매 에피소드별로 펼쳐지는 만큼 눈을 뗄 수 없는 흡인력으로 글로벌 관객들을 매료시킬 것으로 기대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클라이맥스 스튜디오 변승민 대표는 “22년 시리즈 '괴이', 23년 시리즈 '몸값'에 이어 세 번째로 칸 시리즈에서 '유쾌한 왕따'를 만나게 되어 매우 영광”이라며 “그동안 봐왔던 작품과 다른 장르적 쾌감과 차별성을 강력하게 끌어들일 작품으로 이번 기회를 통해 글로벌 콘텐츠 업계에서 한국 콘텐츠의 명성을 강화하는데 기여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 purplish@osen.co.kr

[사진] 클라이맥스 스튜디오, 롯데컬처웍스

Copyright © OSE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