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훔쳐보지나 마" 서경덕, 中 '파묘' 얼굴 문신 트집에 사이다 일침 [SC이슈]

이우주 2024. 3. 13. 08:5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국에서 영화 '파묘' 속 얼굴 한자 문신 장면을 두고 트집을 잡은 가운데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속시원한 일침을 날렸다.

국내 관람객 8백만 명을 돌파하고, 몽골을 시작으로 133개 국에 판매 및 개봉을 확정지은 영화 '파묘'에 대해 최근 중국 누리꾼들이 SNS를 통해 조롱을 시작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스포츠조선닷컴 이우주 기자] 중국에서 영화 '파묘' 속 얼굴 한자 문신 장면을 두고 트집을 잡은 가운데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속시원한 일침을 날렸다.

국내 관람객 8백만 명을 돌파하고, 몽골을 시작으로 133개 국에 판매 및 개봉을 확정지은 영화 '파묘'에 대해 최근 중국 누리꾼들이 SNS를 통해 조롱을 시작했다.

중국의 한 누리꾼은 엑스(옛 트위터)를 통해 배우들이 화를 피하기 위해 얼굴이나 몸에 한자를 새긴 것에 대한 장면을 두고 "중국에서는 얼굴에 글을 쓰거나 새기는 행위가 매우 모욕적이고 굴욕적인 행위"라며 "한국인들이 얼굴에 모르는 한자를 쓴다는 게 참 우스꽝스럽다. 한국에서는 멋있는 말이 중국어로 번역되면 우스꽝스러워진다"고 조롱했다.

이에 대해 서 교수는 "최근 몇 년간 한국의 드라마 및 영화가 세계인들에게 큰 주목을 받다보니 중국 누리꾼들의 열등감은 날로 커져가는 모양새다"고 전했다. 아울러 "물론 건전한 비판은 좋다. 하지만 중국 누리꾼들에게 한가지 충고를 하고 싶은 건 이제부터라도 K콘텐츠를 몰래 훔쳐보지나 말았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지금까지 '더 글로리', '오징어게임', '우영우' 등 세계인들에게 인기있는 콘텐츠를 불법 다운로드하여 '도둑시청' 하는 것이 그야말로 습관화가 돼 버렸다. 배우들의 초상권을 마음대로 사용하고, 짝퉁 굿즈를 만들어 판매해 자신들의 수익구조로 삼았으며, 무엇보다 몰래 훔쳐 보고 버젓이 평점까지 매기는 일까지 자행해 왔다"며 "K콘텐츠에 대해 왈가불가만 할 것이 아니라 다른 나라 문화에 대한 '존중'을 먼저 배워라"고 일갈했다.

네티즌들 역시 중국의 주장이 터무니없는 흠집내기라며 비판하고 있다. 축경에 새겨진 한자는 중국어가 아닌 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쓰는 문자인데 중국은 마치 한자가 중국어인 것처럼 주장한다는 것.

중국의 K-콘텐츠 흠집내기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중국은 2022년 아이브 장원영이 파리 패션위크에서 '비녀'를 꽂고 나타나자 "봉황 문양이 들어간 비녀는 중국 고유의 상징물"이라 주장하고, 장원영이 한복을 입고 설날 인사를 하자 "설날은 한국에 없었던 문화다. 음력 설이 아닌 중국 설"이라는 황당한 주장을 했다.

또 뉴진스가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의 홍보 영상을 통해 한지를 만드는 모습을 공개하자 "제지술은 중국의 것"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wjlee@sportschosun.com

Copyright © 스포츠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