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래 ‘밤양갱’ 덕에 신난 윤영달 메세나협회장 “문화의 힘 대단”

이강은 2024. 3. 12. 17:1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제 문화예술은 기업에게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메세나 활동은 단순히 예술 지원하는 차원을 넘어 기업의 뿌리를 튼튼히 하는 일이에요."

한국메세나협회 12대 회장으로 선출된 윤영달 크라운해태제과그룹 회장은 12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취임 기자간담회를 갖고 "고객이 없는 기업은 없고, 모든 고객을 행복하게 만드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 예술"이라며 이렇게 강조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윤영달 크라운해태제과 회장, 12대 한국메세나협회 회장 취임
국악, 조각, 시 분야 지원해온 예술 애호가
“메세나 활동은 기업 뿌리 튼튼히 하는 일”
“기업 지원 상대적으로 부족한 전통음악의 활성화에 더 노력할 것”
“예술지원 매칭펀드 정부 예산 늘려야”
비비 노래 ‘밤양갱’ 인기 덕에 해태제과 연양갱 생산능력 늘리기도

“이제 문화예술은 기업에게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메세나 활동은 단순히 예술 지원하는 차원을 넘어 기업의 뿌리를 튼튼히 하는 일이에요.”

한국메세나협회 12대 회장으로 선출된 윤영달 크라운해태제과그룹 회장은 12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취임 기자간담회를 갖고 “고객이 없는 기업은 없고, 모든 고객을 행복하게 만드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 예술”이라며 이렇게 강조했다. 
윤영달 한국메세나협회 신임 회장이 12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기업의 예술지원의 방향 등을 설명하고 있다. 뉴시스
오래전부터 국악을 중심으로 조각, 시 분야를 지원해온 예술 애호가로도 잘 알려진 그는 “예술을 통해 우리 고객들을 즐겁게 해보자는 생각으로 예술지원을 시작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특히 20년 이상 지원해온 국악에 대한 사랑은 각별하다. ‘우리 소리’의 독창성을 구체화하고자 명인·명창들과 뜻을 모아 ‘국악’의 새로운 이름으로 ‘한음’을 만들기도 했다. 한음 영재들을 발굴하기 위해 매주 열리는 ‘영재한음회’는 지난해 11월 200회를 맞이했다. 지리적·경제적으로 문화예술을 접하기 힘든 아동들과 함께하는 ‘한음캠프’도 10년이 넘었다. 2004년부터 매년 여는 ‘창신제’는 국내 민간기업이 주최하는 전통음악 공연 중 최대 규모다. 남산한옥마을에 위치한 서울남산국악당 ‘크라운해태홀’은 2017년 크라운해태제과의 후원으로 노후 설비를 교체해 지금의 모습을 갖추게 됐다.

윤 회장은 “전임 회장들이 훌륭하게 기반을 닦아 놓은 메세나협회를 맡게 돼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며 “예술 장르의 균형 발전을 위한 노력과 더불어 기업의 지원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전통음악의 활성화에 더 노력을 기울이고 싶다”고 밝혔다.

메세나협회가 한국문화예술위원회와 함께 2007년부터 운영 중인 ‘예술지원 매칭펀드’ 사업의 정부지원 예산이 감소하는 것에 대한 우려도 나타냈다. 기업이 예술단체를 지원하는 금액에 비례해 문예진흥기금을 추가 지원하는 이 사업의 누적 매칭 건수는 1937건으로, 약 527억원이 예술계에 지원됐다.

윤 회장은 “매칭펀드는 대표적인 민·관 협력 사업으로 정부기금 투입 대비 기업지원금이 3배 이상 지원됐고, 이는 사회적 효과를 감안할 때 백배 천배 이상의 효과”라며 “사실 그 효과가 ‘메가 폭발’이라 할 정도인데, 왜 깎였는지 모르겠지만 (정부의 예산 삭감은) 방향을 잘못 잡은 것 같다. 늘어났으면 한다”고 말했다.

윤 회장은 최근 음원 차트를 휩쓴 가수 겸 배우 비비의 노래 ‘밤양갱’을 언급하며 “요즘 아주 신이 난다”고도 했다. “‘밤양갱’ 덕에 (연양갱) 캐파(생산능력)를 늘렸어요. 이 노래가 히트를 치며 덕을 많이 보고 있습니다. 문화의 힘이 정말 대단해요.” 해태제과 연양갱은 1945년 해태제과 설립과 함께 탄생한 국내 1호 과자로 ‘원조 연양갱’으로 불린다.

장기하가 작곡하고 비비가 부른 ‘밤양갱’에는 ‘내가 먹고 싶었던 건 달디단밤양갱, 달디달고 달디달고달디단밤양갱” 등의 가사가 등장한다. 이 노래가 인기를 끌면서 국내 주요 편의점의 양갱 매출이 크게 증가하는 등 ‘밤양갱’이 소비자의 양갱 구매 욕구를 자극한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이강은 선임기자 kelee@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