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엔 알리, 한국엔 OOO 있다”…소비자도 판매자도 줄 서는 ‘이곳’

김효혜 기자(doubleh@mk.co.kr) 2024. 3. 12. 16:2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균일가 생활용품점 다이소가 고물가 시대 새로운 뷰티 채널로 부상하면서 입점을 원하는 중소 화장품 브랜드가 늘고 있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중소 화장품 브랜드들은 CJ올리브영만큼이나 다이소에 입점하기 위해 공을 들이고 있다.

네이처리퍼블릭과 VT코스메틱 등 앞서 다이소에 입점한 중소 화장품 브랜드들이 눈에 띄는 성과를 내고 있는 덕분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작년 19개 브랜드 신규 입점
다이소 전용 제품 출시 잇달아
12일 다이소 명동역점 뷰티 코너에서 한 고객이 마스크팩 상품을 고르고 있다. [김효혜 기자]
균일가 생활용품점 다이소가 고물가 시대 새로운 뷰티 채널로 부상하면서 입점을 원하는 중소 화장품 브랜드가 늘고 있다. 1000~5000원 대 초저가 화장품을 무기로 ‘가성비’를 앞세운 다이소의 전략이 10대를 제대로 저격하면서 다이소가 10대들의 ‘뷰티 방앗간’이 된 까닭이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중소 화장품 브랜드들은 CJ올리브영만큼이나 다이소에 입점하기 위해 공을 들이고 있다. 네이처리퍼블릭과 VT코스메틱 등 앞서 다이소에 입점한 중소 화장품 브랜드들이 눈에 띄는 성과를 내고 있는 덕분이다.

실제로 다이소 뷰티 MD들에게는 신규 브랜드 입점 문의가 쇄도하고 있다. 지난 2021년 다이소에 입점한 신규 브랜드는 단 4개에 불과했지만 작년에는 19개로 훌쩍 늘었다. 매달 1개 이상의 브랜드가 신규 입점했다는 얘기다.

다이소 관계자는 “특히 작년부터 신규 입점 문의가 크게 늘었다”면서 “작년 말 기준 다이소에선 총 26개 화장품 브랜드의 약 250여 종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소 화장품 브랜드들은 다이소 전용 브랜드를 론칭하거나 전용 제품을 내놓으며 다이소 고객들과 접점을 늘리려 공을 들이고 있다.

네이처리퍼블릭과 투쿨포스쿨, 코스모코스 등에 이어 지난 6일에는 더마코스메틱 브랜드 ‘닥터지’를 키워낸 고운세상코스메틱이 다이소 전용 스킨케어 브랜드 ‘랩잇’(Lab.it)을 론칭하고 다이소 입점 소식을 알렸다.

다이소는 전국 매장 수가 1500개가 넘어 1400여개 매장이 있는 올리브영보다 접근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균일가 생활용품점이라는 컨셉에 맞게 화장품 가격이 1000원~5000원으로 무척 저렴해 10대들에게 인기가 높다. 요즘 초등학생들 사이에서는 다이소에서 화장품을 구경하고 쇼핑하는 것이 일종의 놀이 문화가 됐을 정도다. 어린 고객들에게 브랜드 인지도를 확 높일 수 있고, 또 그들을 브랜드 팬덤에 유입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에 더해 10대들이 즐겨 하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인 틱톡과 유튜브에서 최근 다이소 화장품 리뷰 및 추천 영상이 유행한 것도 관심을 증폭시켰다. 저렴한 가격에 비해 기대 이상으로 품질이 괜찮다는 호평이 주를 이룬 덕분에 다이소의 작년 뷰티 매출은 전년 대비 85%나 신장했다.

12일 다이소 명동역점 뷰티 코너가 손님들로 붐비고 있는 모습. [김효혜 기자]
실제 다이소에서는 쿠션 팩트가 3000원~5000원이고, 틴트와 마스카라는 2000원~3000원, 앰플과 수분크림 등은 5000원에 불과하다. 그러나 제품 대부분이 한국콜마, 코스맥스, 코스메카코리아 등 국내 대표 화장품 제조사에서 만들어진 것이어서 일정 수준 이상의 품질을 갖췄다.

뷰티 업계 관계자는 “아직 브랜드 인지도가 높지 않고 매출 규모가 크지 않은 중소 화장품 브랜드들에게 다이소는 올리브영만큼이나 매력적인 오프라인 채널로 떠올랐다”며 “오프라인 뷰티샵은 올리브영이 꽉 잡고 있는 시장이다 보니 다이소가 대항마로 성장하길 바라는 분위기도 있다”고 전했다.

한편 다이소는 앞으로도 뷰티 부문을 확장해 다양한 브랜드를 선보일 예정이며 뷰티용품도 늘려갈 계획이다. 다이소 관계자는 “고객들이 트렌디한 화장품과 뷰티용품을 계속해서 균일가로 구매하실 수 있도록 다양한 상품을 준비하고 있다”고 전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