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시세(금값) 12일 0.154%↓

2024. 3. 12. 09:5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오늘의 금값시세 © 금시세 닷컴(현재 금값 골드바,24K,18K,14K)

금시세 닷컴 화요일인 12일 기준, 순금 한 돈은 팔때 347,000 원, 살때 386,000 원에 거래되고있다. (Gold24K-3.75g)

18K는 팔때 256,000 원, 살때 289,000 원에 거래되고 있다.

14K는 팔때 199,000 원, 살때 225,000 원에 거래되고 있다.

백금은 팔 때 138,000 원, 살 때 146,000 원에 거래할 수 있다. (Platinum-3.75g)

은은 팔 때 3,700 원, 살 때 4,000 원에 거래할 수 있다. (Silver-3.75g)

한국표준금거래소에 따르면 오늘의 금시세는 12일 하락했다.

2024년 3월 12일 기준 한국표준금거래소에 따르면 12일 순금 1돈(Gold 24k-3.75g) 살때 금가격, 391,000원(VAT포함)이다.

한국표준금거래소에 따르면 순금 1돈(Gold 24k-3.75g) 내가 팔때 금가격, 340,000원(VAT포함)이다.

18k는 살때 제품시세를 적용하고, 팔때 249,900원이다.

14k는 살때 제품시세를 적용하고, 팔때 193,700원이다.

백금은 살때 163,000원이며, 팔때 127,000원이다. (Platinum-3.75g)

은은 살때 4,420원이며, 팔때 3,290원이다. (Silver-3.75g)

오늘 금값시세, 금값 추이 ©신한은행(현재 금시세, 국제 금가격, Gold24K, 금값, 금값시세한돈)

신한은행에 따르면 오늘 12일 09:48:15 37회차 현재 고시기준 국내 금시세(금값)는 순금(24K) 시세는 1g당 91,952.22 원으로 이전 금시세(금값)인 92,094.21원 보다 141.99원 (등락률  -0.154%) 하락했다.

한돈이 3.75g인 것을 감안하면 1돈당 344,821원이다. (Gold24k-3.75g)

국제 금시세(금값)는 이날 09시 48분 현재 기준 트로이온스(T.oz, 약31.1g)당 2,181.12 달러다.

현재 국제 금 가격은 11일 국제 금값시세대비 +0.006% 변동하여 T.oz(약31.1g)당 0.13달러(등락률 +0.006%) 상승했다.

이날 현재 시간 기준 국내 가격은 하락했고, 국제 가격은 상승했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09시 48분 기준 1311.40원이다.(매매기준율, 원/달러 환율)

달러화 강세와 약세, 글로벌 중앙은행의 금 매입,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발언과 FOMC 회의 내용, 전쟁 등이 금 가격 변화에 큰 영향을 준다.

다음은 금시세(금값) 전망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요약했다.

12일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 도구에 따르면 미국 현지시간 2024년 3월 20일 FOMC회의에서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금리를 인하 할 확률을 3.0%로 전망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 도구는 2024년 5월 1일에 금리를 0.25%p 인하 할 확률은 18.6로, 0.5%p 인하 확률은 0.5%로 전망했다. 2024년 6월 12일 금리 인하 가능성은 약 72% 수준이다.

11일 국내 금시장은 92,094.21원으로 장을 마감했다. 2월 29일 종가 기준 1g당 87,958.28원을 기록했으나, 미국의 2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예상치보다 낮은 47.8로 하락했다. 이로 인해 경기 침체 우려와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시기가 앞당겨질 수 있다는 기대가 커지고, 6월 금리인하 가능성을 약 70%까지 끌어올렸으며, 금 시장이 급등하는 모습을 보였다. 여기에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의 금리 인하를 시사하는 발언에 통화 가치가 하락한 것도 한 몫을 했다. 미국의 2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발표 이후 3월 4일부터 11일까지 종가 기준 90,740.63원, 91,360.68원, 91,801.31원, 92,001.09원, 92,267.57원, 92,094.21원을 기록하며 연일 최고가를 경신했다.

11일 국제 금시장은 2,180.99달러를 기록하며 장을 마감했다. 국제 금 시장에서도 2월 29일 T.oz(약 31.1g)당 2,046.43달러로 장을 마쳤으나, 미국의 2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발표 이후 3월 4일부터 11일까지 종가 기준 2,119.09달러, 2,125.59달러, 2,147.89달러, 2,160.69달러, 2,179.29달러, 2,180.99달러를 기록하며 연일 최고가를 경신했다.

최근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이는 지정학적인 리스크가 계속해서 장기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홍해 사태와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간의 전쟁 등 국제 간 분쟁이 계속되면서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미 연준을 비롯한 주요 선진국의 금리 인하 기대감 또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금리 인하 기대감은 물가가 반등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 연준의 금리 인하 시점이 더 이상 미뤄지지 않을 것이라는 지표들이 발표되었다. 이로 인해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며, 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신흥국 중앙은행에서 최근 금을 많이 매입하는 추세도 보고되고 있다. 미국 국채 수익률에 대한 선호가 강했던 것과 달리 미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가 높아지면서 금으로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금값 상승세에 소비자들이 금을 구매하기 위해 은행의 골드바 판매가 늘어나는 현상도 보이고 있다. 은행 골드바의 판매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보아, 시장은 금값 강세가 계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하고 있다. 금 시장의 상승 요인이 많아지고, 금에 대한 수요가 높게 유지될 것으로 예상되며, 금 가격이 더 상승할 여지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어제 국제 금시장에서 금은 0.078% 상승하며 장을 마감했다. 시장은 금의 장기적인 투자가치 상승과 통화가치 하락, 기술주의 하락 등 상승세를 보이고 있어 장기적으로는 더 높은 상승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아시아와 유럽의 주식 시장에서 큰 변동은 없었다. 미국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현재 4.080% 수준이며, 달러 가치의 큰 변동은 없었다. 이번 주에 미국의 2월 소비자 물가지수(CPI)가 발표될 예정이며, 시장은 전년 대비 3.7%의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번 미국의 소비자 물가지수는 3월에 있을 FOMC회의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금 가격은 최근에는 세계적으로 금리가 낮아질 것이라는 기대로 인한 통화가치 하락, 전통적인 안전자산이라는 인식, 각국 중앙은행들이 금을 매입하는 추세, 지정학적 불안감 등의 영향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금 가격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며, 앞으로 더 오를 수 있는 금을 직접 구매하기 위해, 소비자들이 실물 금을 구매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국내 5대 은행 중 KB, NH, 신한, 하나, 우리 등에서 팔려나간 골드바의 규모가 66억 1,922만 원으로, 이는 지난 10월 이후 4개월 중에서 가장 많은 금액이다.

일본 경제가 지난 4분기 성장률은 전분기 대비 0.1% 상승했다. 일본 중앙은행(BOJ)이 마이너스 금리 정책 종료를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시장에서는 일본 중앙은행이 3월 회의에서 금리를 올릴 가능성을 53%로 예상하고 있지만, 일부는 4월 회의까지 결정이 연기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로이터 경제학자들의 전망에 따르면, 일본의 4분기 GDP는 연간 1.1%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일본 중앙은행(BOJ)이 이번 달에 마이너스 금리 종료를 고려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원인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내수 소비는 여전히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미국 상원 의회 은행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금리 인하가 멀지 않았다고 밝혔다. 하지만, 추가 지표를 조금 더 봐야한다고 기존의 신중한 입장도 고수했다. 또한, 미국 경제는 강하고 지속적으로 성장세를 보이고 있지만, 고용시장에 대해서는 인력이 부족하다고 평가했다. 미국 상무부는 식품 및 에너지 품목을 제외한 근원 물가가 2.8% 상승했다고 밝혀, 인플레이션이 1년 전보다 많이 낮아진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파월 의장의 발언에 금리 인하 기대감은 더욱 커졌으며, 미국 증시는 크게 상승했다. 미국 국채 수익률은 하락했고, 미국 달러의 가치 또한 낮아지며, 환율이 하락했다.

중국은 최근에 추가로 12톤의 금을 구매하여, 지속적으로 금을 매입하고 있다. 세계 금 협회의 분석가에 따르면, 중국의 금 보유량은 이제 총 2,257톤에 달한다. 중국은 이제 2015년 이후 두 번째로 긴 연속적인 금 매입 행진을 이어가고 있지만, 이번 16개월 동안의 매입량은 이전에 비해 상당히 많다. 중국은 불안정한 세계 경제 상황에서 다른 국가 통화를 소유하는 것이 더 이상 좋은 선택이 아니라고 판단하며, 중앙은행이 계속해서 금을 매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관련하여 금값은 최근에 2,160달러를 넘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많은 분석가들은 중앙은행의 끝나지 않는 수요가 금 가격이 2,000달러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금시세(금값) 전망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는 매일 업데이트하고있다.

bnt뉴스 라이프팀 기사제보 life@bntnews.co.kr

Copyright © bnt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