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 48% ‘셀프 인상’ 밀레이 아르헨 대통령, 결국 ‘없던 일로’ [여기는 남미]

임석훈 2024. 3. 12. 09:1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기득권층의 특권을 타파하고 국가를 대수술을 하겠다고 공약한 하비에르 밀레이 아르헨티나 대통령이 긴축의 고삐를 바짝 조이고 있다.

지난 2월 밀레이 대통령이 서명한 대통령령에 따라 대통령과 장관 등 임명직 고위 공무원의 월급은 이달부터 48% 인상될 예정이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사진=밀레이 대통령

기득권층의 특권을 타파하고 국가를 대수술을 하겠다고 공약한 하비에르 밀레이 아르헨티나 대통령이 긴축의 고삐를 바짝 조이고 있다. 고위 공무원의 월급 인상을 백지화하는 대통령령이 11일(현지시간) 발동됐다. 지난 2월 밀레이 대통령이 서명한 대통령령에 따라 대통령과 장관 등 임명직 고위 공무원의 월급은 이달부터 48% 인상될 예정이었다.

밀레이 대통령은 “(48%에 달하는) 월급 인상을 단행하도록 대통령령을 만든 건 (포퓰리즘의 원조 격인 페론당이 집권하고 있던) 2013년 발동된 대통령령이 있었기 때문이라는 보고를 받았다”면서 “(이 대통령령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나도 서명해야 했던) 대통령을 폐기했다”고 밝혔다.

백지화된 대통령령은 기본급 16% 상향, 공무원 월급인상률 14% 적용 등을 포함해 임명직 고위 공무원의 월급을 48% 올리도록 했었다. 대통령월급은 406만8728페소(약 4800달러)에서 7100달러로 뛸 수 있었다.

결정을 번복하면서 밀레이 대통령은 2010년 당시 국가원수로 재임한 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 전 대통령(여)과 설전을 벌였다. 밀레이 대통령은 “페르난데스 전 대통령이 재임하면서 임명직 공무원은 직업 공무원보다 더 많은 월급을 받도록 했고 대통령령을 발동해 이를 제도화했다”면서 권력을 잡은 기득권 정치세력의 특혜성 조치였다고 비난했다.

이에 대해 페르난데스 전 대통령은 “대통령이 대통령령에 서명하면서 내용도 읽어보지 않느냐. 월급은 자신이 올려놓고 14년 전 (내가) 발동한 대통령령을 탓한다”고 맞받았다. 밀레이 대통령은 페르난데스 전 대통령에게 “연금을 1400만 페소(약 1만6500달러)나 받고 계신데 연금도 좀 깎아보면 어떻겠나. 최저연금만 받으시면 어떠시겠느냐”고 다시 되받았다.

페르난데스 전 대통령은 남편 네스토르 키르치네르 전 대통령에 이어 대선에 도전해 선거를 통한 부부 간 권력승계라는 아르헨티나 초유의 기록을 세우면서 2007년부터 2015년까지 대통령으로 재임했다. 2019년엔 부통령으로 선출돼 2023년까지 부통령과 상원의장 직을 겸임했다. 현직 대통령의 월급보다 페르난데스 전 대통령이 수령하는 연금이 훨씬 많은 이유다.

한편 밀레이 대통령은 지난해 대선 유세 때 전기톱을 들고 퍼포먼스를 벌이면서 재정운영을 개혁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정부부처를 18개에서 9개로 줄여 정부조직의 덩치를 줄인 밀레이 대통령은 해외순방 때 전용기 대신 민간 항공기를 이용하는 등 긴축의 실천에 앞장서고 있다.

남미통신원 임석훈 juanlimmx@naver.com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